[clearfix]
1. 개요
이 문서는 KBO 리그에 존재했던 선수영입 제도인 해외교포 선수 영입 제도를 통해 입단한 선수들을 나열한 문서이다. 1군 정식 경기에 출전하지 않았더라도 계약을 완료하여 팀 활동에 참가한 선수들이 기재되어 있다. 해당 연도에 수상 경력이 있는 선수는 굵게 표시한다. 해외교포 선수의 체류 국가 표시는 다음과 같으며, 비고란에 별도의 국가 표시가 없는 선수는 재일교포 선수이다. 프로리그 경력이 없는 선수는 비고란에 각주로 표시한다. [[호주| ]][[틀:국기| ]][[틀:국기| ]] AUS | 호주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MEX | 멕시코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미국 |
구단 순서는 전년도 시즌 통합 승률 순으로 기재한다.
2. 1980년대
해외교포 선수 영입 제도는 1983년에 최초 도입되었다. 그러나 1982년 프로야구 창설 당시 원년 멤버로 입단했던 선수 중에 해외교포인 선수가 존재한 관계로, 여기선 1982년 선수 목록을 별도로 기재한다.2.1. 1982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MBC 청룡 | 김시철 | 이시카와 아츠시 (石川厚) | 투수 | [1] |
2.2. 1983년
OB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롯데 자이언츠는 해외교포 선수를 영입하지 않았다. 해외교포 선수 제도 최초 도입 목적은 선수단 기량이 약했던 팀의 전력 보강이었으므로, 선수단 규모가 작았던 삼미와 해태가 우선적으로 해외교포 선수을 영입하였다. 멕시코 야구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던 이원국을 데려온 MBC 청룡은 예외.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MBC 청룡 | 이원국 | 에르네스토 카를로스 쿡 리 (Ernesto Carlos Kuk Lee) | 투수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MEX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주동식 | 우다 토쇼쿠 (宇田東植) | 투수 | 신규 영입 |
김무종 | 키모토 시게미 (木本茂美) | 포수 | 신규 영입 베스트 10 수상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미 슈퍼스타즈 | 장명부 | 후쿠시 히로아키 (福士敬章) | 투수 | 신규 영입 역대 시즌 최다승, 최다 탈삼진 골든글러브 수상 |
이영구 | 키야마 에이큐 (木山英求) | 내야수 | 신규 영입 |
2.3. 1984년
전 시즌 이원국의 실패를 경험했던 MBC 청룡은 해외교포 선수를 영입하지 않았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주동식 | 우다 토쇼쿠 (宇田東植) | 투수 | |
김무종 | 키모토 시게미 (木本茂美)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미 슈퍼스타즈 | 장명부 | 후쿠시 히로아키 (福士敬章) | 투수 | |
이영구 | 키야마 에이큐 (木山英求) | 내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일융 | 니우라 히사오 (新浦壽夫) | 투수 | 신규 영입 |
송일수 | 이시야마 가즈히데 (石山一秀) | 포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신규 영입[2] |
홍신차 | 도쿠야마 신지 (徳山新次) | 내야수 | 신규 영입[3]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신규 영입 최다 안타 골든글러브 수상 |
박덕용 | 키쿠무라 도쿠요 (菊村德用) | 투수 | 신규 영입 |
2.4. 1985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
홍신차 | 도쿠야마 신지 (徳山新次) | 내야수 | ||
오헌조 | 고 켄스케 (呉憲助) | 투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일융 | 니우라 히사오 (新浦壽夫) | 투수 | 시즌 최다승 |
송일수 | 이시야마 가즈히데 (石山一秀)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MBC 청룡 | 유고웅 | 야나기사와 타카오 (柳沢高雄) | 내야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
김정행 | 카나이 마사요시 (金井正幸) | 투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김무종 | 키모토 시게미 (木本茂美)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청보 핀토스 | 장명부 | 후쿠시 히로아키 (福士敬章) | 투수 | |
이영구 | 키야마 에이큐 (木山英求) | 내야수 |
2.5. 1986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일융 | 니우라 히사오 (新浦壽夫) | 투수 | |
송일수 | 이시야마 가즈히데 (石山一秀)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
김정행 | 카나이 마사요시 (金井正幸) | 투수 | 노히트노런 달성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김무종 | 키모토 시게미 (木本茂美)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승률 1위 |
박창언 | 키하라 아키히코 (木原彰彦) | 내야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MBC 청룡 | 유고웅 | 야나기사와 타카오 (柳沢高雄) | 내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청보 핀토스 | 김기태 | 가네시로 모토야스 (金城基泰) | 투수 | 신규 영입 |
김신부 | 가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 투수 | 신규 영입 | |
고광수 | 다카하라 히로히데 (高原広秀) | 내야수 | 신규 영입[4]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장명부 | 후쿠시 히로아키 (福士敬章) | 투수 |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5] |
2.6. 1987년
재일교포 야수로 재미를 못 봤던 OB는 교포선수 신규 영입을 하지 않았고, 장명부가 크게 실패했던 빙그레 또한 신규 영입을 하지 않았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김무종 | 키모토 시게미 (木本茂美)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기태 | 가네시로 모토야스 (金城基泰) | 투수 | 트레이드 영입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MBC 청룡 | 유고웅 | 야나기사와 타카오 (柳沢高雄) | 내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
김정행 | 카나이 마사요시 (金井正幸)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청보 핀토스 | 김신부 | 가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 투수 | |
고광수 | 다카하라 히로히데 (高原広秀) | 내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2.7. 1988년
해외교포 선수 외에 OB 베어스는 재미교포 외야수 서일권과 계약하였는데, 서일권은 1985년 신인드래프트에 기지명된 바가 있고, 이미 신고 선수로 1984년 베어스 2군 창설 시 활동하는 등 선수 활동을 한 경력이 있기에 해외교포 선수 자격이 아니었다. 1991년 LG에 입단하는 서왕권은 그의 동생인데, 서왕권은 해외교포 선수 자격으로 한국야구에서 활동하였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김무종 | 키모토 시게미 (木本茂美) | 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
정용생 | 오오타 타츠오 (太田龍生) | 투수 | 신규 영입 시즌 중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
김정행 | 카나이 마사요시 (金井正幸)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
송재박 | 요시모토 히로시 (吉本博) | 외야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MBC 청룡 | 유고웅 | 야나기사와 타카오 (柳沢高雄) | 내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
김홍명 | 미야기 히로아키 (宮城弘明) | 투수 | 신규 영입 [6]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태평양 돌핀스 | 김신부 | 가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 투수 | |
김일부 | 하마다 카즈오 (浜田一夫) | 투수 | 신규 영입 [7] |
2.8. 1989년
해태 타이거즈는 연봉 협상 문제로 1984년 퇴단한 주동식 이후 해외교포 선수의 신규 영입이 없었고, 김무종이 퇴단한 이후 1994년까지 해외교포 선수를 보유하지 않았다. 롯데 자이언츠는 도위창이 팀을 떠난 가운데 선수로 뛰던 홍문종 및 여타 일본인 코치 영입에 집중하여 교포 선수를 영입하지 않았고[8], MBC 청룡 또한 해외교포 선수를 영입하지 않았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타율 1위, 골든글러브 수상 |
김홍명 | 미야기 히로아키 (宮城弘明)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
송광훈 | 다케다 미츠쿠니 (竹田光訓) | 투수 | 신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
송재박 | 요시모토 히로시 (吉本博) | 외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태평양 돌핀스 | 김신부 | 가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 투수 |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3. 1990년대
1991년 해외교포 선수의 2명 출장제한 규정이 폐지되면서 LG, 삼성 등 특정 팀에서 해외교포 등록 선수가 증가했으나, 1995년 해외교포 선수의 등록을 2명으로 제한하면서 해외교포 선수가 감소하였다. 이후 1998년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면서 해외교포 선수 제도는 사실상 사장되었다.3.1. 1990년
OB 베어스는 재미교포 포수 정재호를 해외교포 선수로 영입하였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
김홍명 | 미야기 히로아키 (宮城弘明)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태평양 돌핀스 | 홍문종 | 도쿠야마 후미무네 (徳山文宗) | 외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
송광훈 | 다케다 미츠쿠니 (竹田光訓)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송재박 | 요시모토 히로시 (吉本博) | 외야수 | |
정재호 | 재호 정 (Chaeho Chong) | 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9]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트레이드 영입 |
김신부 | 가네시로 노부오 (金城信夫) | 투수 | 트레이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김병수 | 가나자와 노부히코 (金沢信彦) | 외야수 |
3.2. 1991년
LG는 재일교포 일색이던 해외교포 선수 풀에 미국 국적 선수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OB는 이와 반대로 재미교포 선수인 정재호의 돌발행동에 데인 탓인지 91 시즌엔 교포선수 영입을 하지 않았으며, 1군에 첫 참가한 쌍방울도 해외교포 선수를 보유하지 않았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서왕권 | -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신규 영입 |
윤찬 | 찬 윤 (Chan Yun) | 내야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신규 영입 시즌 중 영입[10]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
김홍명 | 미야기 히로아키 (宮城弘明)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태평양 돌핀스 | 송재박 | 요시모토 히로시 (吉本博) | 외야수 | |
정문언 | 사토 후미히코 (佐藤文彦) | 외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김병수 | 가나자와 노부히코 (金沢信彦) | 외야수 |
3.3. 1992년
기존 2명이던 해외교포 선수의 출장인원 제한이 폐지되었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빙그레 이글스 | 김홍명 | 미야기 히로아키 (宮城弘明)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
최일언 | 야마모토 가즈히코 (山本一彦)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김행희 | 가네야마 고키 (金山幸喜) | 외야수 | 신규 영입[11]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태평양 돌핀스 | 정문언 | 사토 후미히코 (佐藤文彦) | 외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서왕권 | -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윤찬 | 찬 윤 (Chan Yun) | 내야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쌍방울 레이더스 | 황태호 | 히야마 야스히로 (桧山泰浩) | 투수 | 신규 영입 |
강창남 | 고야마 마사오 (小山昌男) | 투수 | 시즌 전 퇴단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고원부 | 요시무라 모토토미 (吉村元富) | 외야수 | 트레이드 영입 시즌 중 방출 |
3.4. 1993년
삼성은 강태윤, 강춘경, 한명호 3명의 선수를 영입한데 이어 재미교포인 최용희까지 시즌 중에 영입하여 4명의 교포 선수를 수집하였다. 반면 삼성, LG, 쌍방울을 제외한 5개 팀은 교포 선수를 보유하지 않으며 팀 간 해외교포 선수에 대한 온도차가 심하였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강태윤 | 나카야마 요시미츠 (中山義允) | 외야수 | 신규 영입[12] |
강춘경 | 도쿠모토 아츠노리 (徳本春敬) | 외야수 | 신규 영입[13] | |
한명호 | 아사노 아키히로 (浅野明浩) | 투수 | 신규 영입[14] | |
최용희 | 대니얼 최 (Daniel Choi)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시즌 중 영입[15]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윤찬 | 찬 윤 (Chan Yun) | 내야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김태민[16] | 데이비드 킴 (David Kim) | 외야수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AUS 신규 영입 [17]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쌍방울 레이더스 | 김성길 | 가네모토 세이키치 (金本誠吉) | 투수 | 트레이드 영입 |
3.5. 1994년
해태, 롯데가 각각 전성철, 홍순기를 영입했지만 실패하였다. 반면 삼성은 김실까지 영입하면서 교포 선수를 5명이나 보유하였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전성철 | 불명 | 내야수 | 신규 영입[18]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신규 영입 |
강태윤 | 나카야마 요시미츠 (中山義允) | 외야수 | ||
강춘경 | 도쿠모토 아츠노리 (徳本春敬) | 외야수 | ||
한명호 | 아사노 아키히로 (浅野明浩) | 투수 | ||
최용희 | 대니얼 최 (Daniel Choi)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윤찬 | 찬 윤 (Chan Yun) | 내야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김태민 | 데이비드 킴 (David Kim) | 외야수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AUS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홍순기 | 코노 준키 (鴻野淳基) | 내야수 | 신규 영입 |
3.6. 1995년
엔트리에 해외교포 선수를 2명 초과하여 등록할 수 없도록 해외교포 선수 규약이 개정되었다. 점점 효용을 잃어가던 해외교포 선수 제도가 이 시즌을 기점으로 사장되기 시작했다.한편 삼성은 여전히 교포 선수를 4명 보유하였는데, 강태윤 대신 최용희를 5월에 잠시 1군에 등록했다가 6월 이후 선수 등록을 해제했다. 한명호는 1군 엔트리에 등록된 바가 없다.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전성철 | 불명 | 내야수 | |
정윤현 | 커티스 정 (Curtis Jung)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신규 영입 시즌 중 영입 [19]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
강태윤 | 나카야마 요시미츠 (中山義允) | 외야수 | ||
한명호 | 아사노 아키히로 (浅野明浩) | 투수 | ||
최용희 | 대니얼 최 (Daniel Choi)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윤찬 | 찬 윤 (Chan Yun) | 내야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김태민 | 데이비드 킴 (David Kim) | 외야수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AUS |
3.7. 1996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용희 | 대니얼 최 (Daniel Choi)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김태민 | 데이비드 킴 (David Kim) | 외야수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AUS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정윤현 | 커티스 정 (Curtis Jung)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쌍방울 레이더스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3.8. 1997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해태 타이거즈 | 정윤현 | 커티스 정 (Curtis Jung)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최용희 | 대니얼 최 (Daniel Choi) | 투수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USA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쌍방울 레이더스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3.9. 1998년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면서, 김실 단 한명을 제외하고 해외교포 선수는 전멸하였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OB 베어스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시즌 중 트레이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쌍방울 레이더스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시즌 중 트레이드 |
3.10. 1999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두산 베어스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4. 2000년대
1995년 해외교포 선수 제도 개정 이후로 2000년대에는 해외교포 선수 제도의 개정이 없었다. 사실상 제도가 사문화된채 방치되었던 실정.4.1. 2000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두산 베어스 | 김실 | 다나카 미노루 (田中実) | 외야수 |
4.2. 2001년
김실이 은퇴하면서 2001 시즌 해외교포 선수는 한명도 활동하지 않았다.4.3. 2002년
이일의가 LG에 입단하면서 해외교포 선수의 명맥은 이어졌다. 지난 시즌 해외교포 선수가 전멸했기에 규정이 삭제된 것으로 착각한 현장에서 이일의에 대한 선수자격 시비가 제기되기도 했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이일의 | 요시모토 가즈요시 (吉本一義) | 외야수 | 신규 영입 |
4.4. 2003년
2003년 외국인 선수 2명 보유 제한이 부활하면서 잠시 해외교포 선수 영입이 다시 활성화되었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고지행 | 다카야마 토모유키 (高山智行) | 내야수 | 시즌 중 트레이드 영입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이일의 | 요시모토 가즈요시 (吉本一義) | 외야수 | |
김진유 | 야마다 마사히로 (山田真裕) | 투수 | 신규 영입[20]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한화 이글스 | 고지행 | 다카야마 토모유키 (高山智行) | 내야수 | 신규 영입 시즌 중 트레이드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김영화 | 미츠야마 히데카즈 (光山英和) | 포수 | 신규 영입 |
4.5. 2004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삼성 라이온즈 | 고지행 | 다카야마 토모유키 (高山智行) | 내야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김진유 | 야마다 마사히로 (山田真裕) | 투수 |
4.6. 2005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LG 트윈스 | 김진유 | 야마다 마사히로 (山田真裕) | 투수 |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한화 이글스 | 고지행 | 다카야마 토모유키 (高山智行) | 내야수 | 시즌 전 재영입 |
4.7. 2006년
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롯데 자이언츠 | 김용강 | 아마노 유고 (天野勇剛) | 외야수 | 신규 영입 |
4.8. 2007년~2008년
김용강이 방출되면서 다시 해외교포 선수의 명맥이 끊겼다.4.9. 2009년
한화 이글스가 3년만에 해외교포 선수인 강병수를 영입했으나, 이것이 해외교포 선수의 최후의 출장기록으로 남게되었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한화 이글스 | 강병수 | 오하라 헤이슈 (大原秉秀) | 내야수 | 신규 영입 |
5. 2010년대
강병수가 방출된 후, 2011년 SK 와이번스에서 김대유를 영입한 것이 마지막 해외교포 선수 영입이었고, 2015년 해외교포 선수 제도가 공식적으로 폐지되면서 더 이상의 해외교포 선수 제도 하에 활동한 선수는 없다.5.1. 2010년
해외교포 선수가 없었다.5.2. 2011년
2010 시즌 후 SK는 한신 타이거스 소속이었던 김대유를 영입하였다. 그러나 김대유는 1군 기록이 없었고 2군에서도 5경기 4.1이닝만을 투구하고 시즌 후 방출되었다. 2011년 1월 해외 아마출신 선수 영입 시 반드시 신인 지명을 거쳐야 한다는 규정이 신설되었고[21], 2015년 해외교포 선수 조항이 공식적으로 삭제되면서 해외교포 선수 제도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구단명 | 성명 | 해외명 | 포지션 | 비고 |
SK 와이번스 | 김대유 | 가네무라 다이유 (金村大裕) | 투수 | 신규 영입 |
[1] 해외교포 선수 제도가 생기기 전에 영입되었지만, 해외교포의 자격을 충족하므로 여기에 서술한다. 게다가 프로야구 원년 창단 멤버이므로 선수 영입 조항에 크게 구애받지 않았다.[2] 최초의 프로리그 경력이 없던 해외교포 선수였다. 대학 재학 시기 일본 사회인야구 세이노운수(西濃運輸) 팀에 입단하기로 결정했으나 OB에 입단했다.[3] 일본 사회인야구 세이노운수-니코니코도(ニコニコドー) 소속.[4] 프로리그 경력 없이 호세이대학를 졸업하고 입단했다.[5] 1985년에 신규 영입되었으나 빙그레의 전년도 1군 미참가로 인해 1군에 처음 출장하였다.[6] 은퇴 후에 한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순수 일본인으로 밝혀졌다. KBO 최초의 일본 단독 국적 선수라고 할 수 있다.[7] 부계는 일본인이었다.[8] 결국 해당 시즌 일본인 코치 영입에는 실패하였고, 1990년에 도위창을 다시 코치로 영입한다.[9] 캘리포니아 주립대 노스리지 캠퍼스 출신으로 1985 MLB 드래프트 36라운드 전체 824번에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지명되었으나 입단을 거부하고 대학에 진학하였다. OB 입단 후 1990년 8월 25일 투구를 고의로 피해 주심을 직격하여 10경기 출장 정지를 당한 경력이 있다.[10] 대학 재학 시기 MLB 텍사스 레인저스에 지명 오퍼가 있었으나 철회된 경력이 있다.[11] 일본 사회인야구 신일본제철 오이타(新日鉄大分) 소속.[12] 일본 사회인 야구 일본IBM야스(日本IBM野洲) 소속. 현재 효고현 니시노미야시에서 야구교실을 운영하고 있다.[13] 아이치대학을 졸업한 후 선수 경력이 없었다.[14] 오사카부립 이쿠노공업고등학교(生野工業高等学校) 을 졸업하고 입단하였다.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고교 선수가 입단한 사례이다. 대만 웹에 따르면 삼성 방출 후 1997년 퉁이 라이온즈에 연습생으로 입단했다고 한다.[15] 입단을 거부했지만 MLB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지명된 경력이 있다.[16] 은퇴 후 미네소타 트윈스 아시아 태평양 스카우터로 근무하며 박병호의 미네소타 진출을 도왔다. 아들은 현재 피츠버그 파이리츠 마이너 소속인 제이든 킴이다.[17] 호주 세미프로 리그였던 구 ABL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18] 오사카상업대학(大阪商業大学)에서 활동했다는 사실 외에 알려진 경력이 없다.[19] 캘리포니아 주립대를 졸업하였다. 훗날 롯데 감독으로 선임된 제리 로이스터 감독 통역 및 보좌로 유명세를 탔다.[20] 일본 사회인야구 NKK 소속.[21] 2011년 야구규약 제105조(지명) 7항, "한국 및 외국 프로야구 소속선수로 등록한 사실이 없는 한국 국적의 해외 아마출신선수는 연고지에 상관없이 반드시 지명을 거쳐 입단해야 하며, 신청 마감은 국내 지명 30일 전까지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