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2 08:07:21

피 클라우젤

파일:external/www.falcom.com/mon02.gif토르즈 사관학교
특과 클래스 Ⅶ반의 구성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1px; margin-top:-8px; margin-bottom:-16px"
파일:サラちびきゃら.png
담임
사라 발레스타인
파일:エマちびきゃら.png파일:マキアスちびきゃら.png파일:リィンちびきゃら.png
반장
엠마
밀스틴
부반장
마키아스
레그니츠
리더
린 슈바르처
파일:アリサちびきゃら.png파일:ラウラちびきゃら.png파일:ユーシスちびきゃら.png파일:エリオットちびきゃら.png
일반 학생
알리사
라인폴트
일반 학생
라우라
S. 알제이드
일반 학생
유시스
알바레아
일반 학생
엘리엇
크레이그
파일:フィーちびきゃら.png파일:ガイウスちびきゃら.png파일:ミリアムちびきゃら.png파일:クロウちびきゃら.jpg
일반 학생

클라우젤
일반 학생
가이우스
워젤
편입생
밀리엄
오라이온
편입생
크로우
암브러스트
}}}}}} ||

파일:attachment/f0083271_4e63cfc35d0c1.gif 유격사 협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c482d><colcolor=#ecac6c> 리벨 쿠르츠 나르단(A) · 애거트 크로스너(A) · 셰라자드 하비(A) · 에스텔 브라이트(B) · 요슈아 브라이트(B) · 아넬라스 엘피드(B) · 간돌프 · 카르나 · 글라츠 · 원 · 스팅 · 릿지 · 로코 · 딘 · 레이스
크로스벨 아리오스 매클레인(A) · 벤첼 · 스콧 · 링 · 에올리아 · 나하트 바이스(준) · 클로에 바넷(준)
에레보니아 사라 발레스타인(A) · 토발 랜도너(B) · 피 클라우젤(B)
칼바드 진 바섹(A) · 일레인 오클레르(A) · 알비스(C) · 그레이 아놀드(G)
레미페리아 카타리나 포드
은퇴 카시우스 브라이트(S) · 댄 러셀 · 아이네스 · 유안}}}}}}}}}
파일:Fie_Claussell_(Kuro).png
여의 궤적 일러스트
일단 길드 규약에 따라 행동했고
국제 조약도 어기지 않았어. 아슬아슬하게.
프로필
이름 フィー・クラウゼル
Fie Claussell
피 클라우젤
사용 무기 쌍총검
생년월일 칠요력 1188년 8월 31일
가족관계 루트거 클라우젤(양부)
나이 15세(섬1 서장~5장)
16세(섬1 6장~섬2)
17세(섬3~섬4 제3부)
18세(섬4 전일담~시작)
20세(여1, 여2)
162cm
소속 서풍의 여단 《[ruby(서풍의 요정, ruby=실 피 드)]》
토르즈 사관학교 특과 클래스 7반 (섬1, 2)
에레보니아 유격사 협회 (정유격사) (섬3, 4, 시작)
에레보니아 유격사 협회 (B급) (여1부터)
성우 카네모토 히사코[1]/커샌드라 리[2](북미판)

[clearfix]

1. 개요

영웅전설 섬의 궤적 시리즈의 등장인물이자 토르즈 사관학교/VII반의 일원.

2. 특징

처음엔 반 내에 최연소자였으나, 편입생에게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고양이 같은 이미지가 강하며, 취미도 낮잠과 낮잠 잘 포인트를 물색하는 것. 그래서 비는 시간에는 여기저기 다니며 종종 낮잠을 자는 모습이 발견되는데, 특히 깊은 연륜을 가진 베아트릭스 양호 교관이 피의 사정을 파악하고 이모저모 신경 써주는지라 가장 자주 발견되는 곳은 양호실 침대. 이런 모습으로 인해 '자유롭게 살아가는 도도한 고양이 같다'라는 비유를 많이 듣는다. 실제로도 고양이와 어느정도 의사소통이 되는 것인지 동네 고양이 보스와 교섭을 하는 임무를 맡기도 하였다. 평범한 고양이는 아니긴 하지만 셀린과도 친한 편. 타입은 다르지만 역시 동물에 자주 비유되는 밀리엄 오라이온과도 여타 같은 반 사람들 보다는 나이차가 적은 면도 있어서 그런지 상당히 친하다.

성격은 어둡다기보다는 저혈압에 만사 귀찮아하는 스타일. 처음엔 사귀기 어려워 보이는데 의외로 사교성은 좋아서 농담도 하곤 한다. 사실 말수가 적긴 하지만 할말은 다 하는 스타일이고, 또 할 때는 하는 성격이다. 처음에는 학교생활 및 학업에 대한 의욕이 없었는지, 귀찮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살며 주로 어디선가 자고있는 상태로 발견되는 등 타인과 그다지 교류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게임 초반의 모습은 아버지 같은 엽병왕이 죽었고 다른 가족과도 헤어진 지 얼마 안 되었을 때인데다 피 본인이 어떤 목적이나 목표가 있어서 사관학교에 들어온 것도 아니니 의욕이 없을 만도 하다. 학업에 열의가 없는 것이 세프티아 교회에서 가르쳐 주는 기초 학력이 부족한 것 때문이라고 판단한 엠마 밀스틴이 공부도 가르쳐 주면서 허물없이 지내기 위해 노력하고 알리사 라인폴트도 여기에 어느정도 협력하여 점점 생활에 대해 귀찮다거나 의욕 없어하는 모습이 줄어간다.

중간고사 성적은 전교 72등으로 특과 7반 중엔 최하위인데, 7반 멤버 중에 가장 공부와 인연이 없는데다 사관학교 학생들 중에서는 연소자에 속하기 때문. 나이대와 토르즈가 수준 높은 명문학교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성적이 매우 잘 나온 편.

말투가 조금 독특하다. 장음을 잘 쓰지 않는 편으로 '그렇네' 하며 동의할 때 そうだね라 하지 않고 そだね라 짧게 말하며 하며, ~일지도, 하는 식으로 말 끝을 흐리는 경향이 있다. 한글 정발판에서는 '~라는 듯' 라고 번역되었다. '알았다'라고 답하는 말도 여러가지로 쓰는데 가장 자주 쓰는 말은 라저. 긴급한 상황이나 전력을 다하는 상황에서는 '야(Ja)'를 사용한다. 행동거지도 제법 귀여워서, 표정은 거의 그대로 무뚝뚝하지만 모션은 V사인을 하거나 링크 어택으로 마무리하면 하이파이브를 하는 등 생각보다 발랄하다.

나이가 어리기 때문인지 자라온 환경 탓인지 격식과 예의에 서툴며, 높은 사람을 상대하는 자리에서도 말을 가리지 않는 편이다. 또한 나이가 어린 것 치고는 남녀간의 분위기 파악에도 능숙해서 이걸로 린과 알리사를 잘 놀려먹는다(…).

엽병 시절의 습관이 몸에 배여 있어서 새로운 곳에 가면 그 곳이 얼마나 안전한가 확인하는 습성이 있고 밤에도 혼자 정찰을 하러 다니기도 한다. 수치심이 별로 없어서 웬만큼 노출도 높은 옷을 입어도 전혀 부끄러워하지 않고 옷을 고르는 기준도 예쁜 것보다는 활동성이나 실용성이 더 좋은 것을 고르는 경향이 있다.

에스텔 브라이트에 이어 이번 시리즈의 스트레거사의 스니커즈 팬인 인물. 여러 종류의 제품을 소지하고 때에 맞게 고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아리 소속은 원예부. 원예부 활동 장소가 바로 보이는 학교 가운데 뜰에서 낮잠자는 일이 많아서 부장과 면식이 생기면서 그대로 입부한 듯 하다. 그런데 사실 다른 이유도 있었다.

2에서는 린이 처음으로 재회하는 멤버 3인방 중 한 명. 통신기 너머로도 믿을 수 없다는 듯이 여러번 재확인을 요구하며 마키아스가 흉내내는거 아니냐는 소리까지 한다. 이후 엘리엇을 먼저 보내는 모습에서 불안감을 느낀 유저들도 여럿 있지만 다행스럽게도 바로 만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말자. 높은 언덕에서 나타나더니 그대로 린을 덮치며 재회의 기쁨을 맛보았다. 아무래도 팔콤은 무감정해 보이는 로리 캐릭들의 갭 모에를 매우 좋아하는 것 같다. 티오 라던가

린 슈바르처와의 관계는 인연 이벤트에서는 살짝 얼굴 붉힐 때도 있고, 여지껏 해온 것에 따라 알핀 라이제 아르노르의 댄스제안에 반응하는 면도 보인다. 클레어가 린을 불러냈을 때 데이트로 오해하고 노골적으로 실망하는 표정을 짓기도 하고, 미스티가 둘이 데이트하러 왔냐고 물어봤을 때 긍정했지만 그 밖에 본편 중에서는 이렇다 할 호감이 엿보이는 면이 없다. 이성으로의 호감이 있는 건지는 불확실하며, 있다고 해도 1편 시점에서는 '편한 오빠' 수준의 관계라서 아직 자각이 없는 듯하다. 대사 내용만 보면 연인이라기보다는 친근한 '가족' 쪽에 더 가까운 듯 하다. 이는 린도 마찬가지라서 피를 '돌봐줘야 하는 여동생' 정도로 여길 뿐 딱히 이성으로 의식하는 장면은 없다.

인연 이벤트의 점괘는 '가까이에 있는 상대가 고양이처럼 따르고 있는 모양. 제멋대로인 성격을 따뜻하게 지켜봐줄 수 있는 너그러운 마음을 지닐 것'.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피 클라우젤/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게임 내 성능

4.1. 영웅전설 섬의 궤적

파일:Fie_Claussell_-_S-Craft_(Sen).png
S 크래프트 컷인
오브먼트 라인 4 - 2 - 1 - 1 공격 속성
슬롯 속성제한 風 - O - O - O - 風 - O - 時 - O B B B -

공격능력이 전반적인 부문에서 뛰어나고, 반대급부로 방어능력은 아군 최저급인 극단적인 캐릭터. 7반 인원 중에서 가장 높은 SPD의 보유자로 여기에 SPD 증가량이 가장 높고 시작시 SPD 버프를 걸어주는 마스터 쿼츠 레이븐을 초기장비하고 있어서 그대로 사용하면 대부분의 아군이 한 번 움직일 동안 두세번 연거푸 움직이는 것도 가능할 정도다. 기본 공격력이 괜찮은 편이며 크래프트도 전부 범위형에 위력과 부가효과가 좋으면서 전반적으로 딜레이가 짧아 다채로운 공격을 펼치는 게 가능하며, 자세 붕괴도 3가지 속성에 대응하기 때문에 크래프트 사용시의 붕괴능력도 뛰어나다. 여기에 속도가 더해져 대미지 한방의 숫자는 화려하지 않지만 누적 대미지는 린 슈바르처라우라 S 알제이드에게도 크게 밀리지 않을 정도. 반대로 HP, DEF, ADF 같은 방어 능력이 전부 뒤떨어지며 특히 HP는 어지간한 아츠 캐릭 보다도 못한 최저 수준을 자랑한다. 그 대신이라고 하기까지는 뭐하지만 아무 장비 없는 상태에서도 절대회피가 5% 기본적으로 붙어있고, 개조무기에도 회피율이 10%(제무리아 스톤 무기인 경우 15%) 달려있어서 일반적인 공격은 적당한 회피세팅에 심안을 이용하는 것으로 어떻게 대처할 수 있고, 회피가 안되는 공격아츠의 경우는 본인의 높은 행동력으로 빠르게 구동해제를 하여 막을 수 있다. 워낙 유리몸인지라 아예 서브 캐릭터 슬롯에 박아놨다가 극딜이 필요한 타이밍에 꺼내서 쓰고 다시 넣는 식의 운용도 생각해볼만하다.

하지만 보스전의 경우 종종 나오는 S 크래프트가 회피도 차단도 안되는데 피의 낮은 체력으로는 들어오는 데미지를 도저히 견딜 수가 없는지라 물리무효 아츠 아다마스가드를 이용한 보조를 해 줄 사람을 반드시 필요로 한다. 그래도 아다마스 가드의 물리무효 효과는 1회 막기 전까지 무한 지속이며 공격을 회피하는 경우 소비되지 않는지라 회피 100%를 만들면 캐릭터 사용이 한결 편해진다. 전체적으로 간편하게 심안을 걸어줄 수 있고 행동턴이 빠른 만큼 빠르게 소비되는 CP도 채워줄 수 있는 알리사 라인폴트와 조합하는게 좋다.

스토리 상에서는 라우라 S 알제이드와의 링크를 추천하는데, 스토리 상의 이야기처럼 최강이라고 하기에는 뭐하나 피가 크래프트를 이용하여 자세 붕괴를 거듭 터뜨리면 그만큼 라우라가 평타를 더 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다, 라우라의 광원아로 적을 한군데로 몰면 크래프트의 범위가 좋은 피가 많은 적을 동시에 타격하기 쉬워지고 또 그만큼 적의 자세붕괴가 잘 일어 나므로 그럭저럭 나쁘지는 않은 편이다.

다른 캐릭터와 달리 필드어택이 적과의 거리에 따라 2회베기와 총쏘기로 나뉜다. 적이 없는 경우는 그냥 2회베기. 2회베기는 후딜이 쓸데없이 길어서 숙달되지 않으면 괜히 2회베기 하다가 적과 노멀 인카운트 하는 불상사(...)를 맞이하는 일이 많으나, 숙달되면 리더 체인지 없이 몬스터에겐 제대로 총을 쏘고 항아리는 2회베기로 빠르게 깰 수 있는 소소한 이점이 있다. 속성이 3개인데도 모두 B라 스턴을 걸기 편하다.
간다, 실피드 댄스! 한 건 해결.

4.2. 영웅전설 섬의 궤적Ⅱ

파일:gkg23dI.png
S 크래프트 컷인
144레벨 기준 스테이터스
HP EP STR DEF ATS ADF SPD DEX AGL MOV
14924 570 875 305 1566 1094 94 50 79 8

전작보다 쓰기 훨씬 편해졌다. 기본 스탯으로 주어지는 회피율이 무려 30%로 올랐고 카운터 공격에도 원거리 범위가 추가되어 진정한 회피형 전사로 거듭났다. 거기에 크래프트 전부가 지점 지정으로 바뀌어 사용하기 매우 편하다. 게다가 이번작에서 회피셋을 맞추기가 상당히 쉬워서 초반에는 50퍼만 맞추어서 심안버프 후반에는 심안 없이도 90퍼는 그냥 맞춘다. 쿼츠 역린을 끼워놓고 적진에 던져놓으면 파트너와 피가 신나게 반격 다음턴에 러쉬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서 신기합일 상태의 린이나 라우라 사라 같이 평타가 강한 캐릭과 링크 시켜놓는 것이 좋다. 피는 피하고도 남았을 공격을 이 녀석들이 굳이 맞아주는 웃픈 상황은 무시하자 근접 필드액션의 무한한 후딜레이도 어느정도 개선되었지만 필드액션은 아무래도 밀리엄, 라우라, 비록 힘들어졌지만린 등으로 하기에 사용 빈도가 높진 않은 듯. 보통은 무라쿠모, 역린과 조합해 딜링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가지만 마스터 쿼츠 윙을 껴서 진정한 언터쳐블을 만들어보는 것도 방법이다.

한 가지 단점이라면 지점지정으로 변해서 전작보다는 나아졌지만 S크래프트만 제외하고는 여전히 스킬범위가 좁다는 것이다. 이게 생각보다 많이 모여있지 않으면 한번에 맞추기는 힘든 편.
이걸로 끝낼게. 악세스! 섀도우 브리게이드!

4.3. 영웅전설 섬의 궤적Ⅲ

파일:FCB2CBB9-A0E0-42EE-944A-EE292D90C81D-8447-000011CC7913CBCA.png
S 크래프트 컷인
오브먼트 라인 3 - 2 - 1 - 1 공격 속성
슬롯 속성제한 風 - O - 時 - O - 風 - O - O A S A -

고정 회피율이 25%로 약간 너프되었지만 여전히 높은데다 회피 3 쿼츠 및 뇌신주[5] 추가, 회피율 증가를 달고 있는 각종 악세서리들의 추가로 회피 100%를 맞추기가 오히려 더 수월해졌다. 거기에 회피시 데미지를 추가해주는 마스터 쿼츠 시리우스의 추가로 회피 카운터 세팅의 성능이 오히려 강화되었다. 이게 1.5배, 2배 수준이 아니라 쿼츠 1레벨부터 +300%(4배), 7레벨에는 +600%(7배)가 되기 때문에 후반에는 한번 회피할 때마다 10000이 넘는 데미지를 때려박는 피를 볼 수 있다. 여기에 전작의 역린의 효과를 이어받은 분노 쿼츠를 달면 링크 어택까지 가능하다. 좀 오버파워 아닌가 싶을 정도의 성능.[6]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게임에서는 의외로 강하다는 느낌을 받기가 힘들다. 일단 첫 등장하는게 1장이기 때문이 이 시점에는 위와 같은 세팅을 맞추는게 어렵고, 이번 작품의 시스템이 브레이크를 통한 공격적인 플레이를 지향하도록 되어 있는데 회피 플레이가 주가 되는 피가 그 장점을 최대한으로 살리기는 어렵다. 이건 다른 캐릭터들도 마찬가지지만 전체적으로 크래프트의 CP 소모가 늘어난것도 난점이다. 다만 시리우스를 달면 한 전투에 회피 3번 정도만 해도 거의 S크래프트에 준하는 데미지를 줄 수 있어서 본전은 충분히 뽑는데다가, 여전히 파티 원톱의 스피드를 가지고 있어 유틸성이 높기 때문에 구 7반 중 성능이 좋은 쪽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파티원이고 뭐고 다 신경 안쓰고 플레이한다면 이런 것도 가능하다.

4.4. 영웅전설 섬의 궤적Ⅳ

전작과 크게 다르지 않은 느낌으로 운용할 수 있다. 심안, 버프없이 쉽게 회피 100%를 맞출 수 있고(라이더 부츠, 카이저 밋시, 빅토리 벨트 등) 낮은 STR을 시리우스+고즈를 이용해 강력한 회피 카운터를 날리는 식으로 보완이 가능하다. 다만 시리우스가 레벨 10까지 가더라도 카운터 데미지가 400%(5배)밖에 안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너프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고즈가 부담스럽다면 크리티컬 데미지를 늘려주는 궁니르를 서브에 착용하는 선택지도 있다. 마침 회피 카운터 위주로 굴리게 되는 피와 상성이 끝내주는 쿼츠인 분노[7]가 있다보니 궁니르와의 상성도 상당히 괜찮다.
혹은 회피탱의 안정성을 높히기 위해 높은 확률로 적의 어그로를 끄는 이지스를 메인이나 서브에 끼는 것도 좋다.[8]

4.5. 영웅전설 시작의 궤적

전 캐릭터 최고의 기본속도를 가진 캐릭터이며, 기본 회피 25%로 리샤와 함께 공동 1위. 그 대신 공방이 처참한지라[9]회피나 스텔스 특화 쪽으로 방향성이 거의 고정되어있다. 그 대신 특화 부분의 성능에서는 여전한 강캐. 고난이도로 갈 수록 애초에 적에게 차례가 돌아오지 않도록 궁리하는 전술이 주가 되는데다 합류가 늦고, 무엇보다 시리우스의 성능이 너프를 세게 먹은지라[10] 회피보다는 스텔스 특화 쪽이 고평가를 받고 있다.

엔딩 이후 들어갈 수 있는 몽환회랑 최종전에서는 거의 치트키 수준으로 활약한다. 보스의 공격이 물리필중기가 없어서 대부분 회피가 가능하고 회피가 불가능한 공격은 체력을 1로 만드는지라 행동 이후 들어오는 도트뎀만 조심하면 죽을 일이 없다. 게다가 보스가 거는 안티오더가 경직시간을 무려 10배로 만드는데 이마저도 회피카운터를 주력으로 하는 피에겐 오히려 이득이 된다. 단 보스가 사용하는 절대반사는 주의해야 한다. 비슷한 전법을 쓸 수 있는 캐릭터가 몇개 있지만 회피에 세팅을 몰아주거나 심안이 필수인 타 캐릭터와 다르게 피는 그냥 적당히 세팅해도 기본 회피 100이 맞춰지고 원거리 카운터가 가능해서 정말 편하게 보스몹을 잡을 수 있다.

4.6. 영웅전설 여의 궤적

파일:fie_s_craft.jpg
S 크래프트 연출

참전하는 시기는 제3장과 제5장(유격사 협회 선택 시)으로 게스트 플레이어블 캐릭터들 중에선 일레인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해볼 수 있다.

4.7. 영웅전설 여의 궤적 II -CRIMSON SiN-

파일:kuro2_update_03.jpg
S 크래프트 컷인
초기 할로우코어 : 카미오 얼터

클리어 후 메르헨 가르텐에서 플레이어블로 합류한다. 캐릭터 메커니즘과 회피 시스템이 바뀌었기 때문에 섬궤 2부터 이어져왔던 회피 카운터 세팅은 아예 불가능하다.

일단 시스템적으로 시궤 까지의 회피율은 필중기를 제외한 통상공격&크래프트(즉, 물리 계수인지 마법 계수인지는 관계 없이)를 회피했고, 마법 회피율은 마법필중기와 공격아츠를 회피했지만, 여궤에선 회피율은 오로지 물리공격만 마법 회피율은 오로지 마법 공격과 공격아츠만 회피 가능하게 시스템이 개편되었기 때문에 회피율 100%를 만들어도 통상 공격이나 크래프트가 마법 공격이면 회피가 불가능하다.

거기다 피 자체가 원거리 캐릭터가 아닌 근거리 캐릭터 취급이라 섬궤1처럼 회피 카운터가 근거리 공격이므로 회피해도 카운터가 잘 발동하는 캐릭터도 아니게 되었다.

미라쥬 레이드의 CP소모율이 풀강기준 34이므로 진 사혼 벨트를 장착하고 무한 스텔스를 유지하는 셋팅이 가장 특징에 맞게 되었다.

5. 기타

파일:IMG_3622.jpg
새벽의 궤적 일러스트

최상위 인기 캐릭터라서 그런지 전체적으로 점포 특전이 피가 메인인 경우가 꽤 많다. 히로인인 알리사 라인폴트 다음으로 제일 많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B2 태피스트리도 피가 메인인 경우가 4개의 그림 중 2개나 되며, 점포특전 미니 OST에는 점포마다 각각 4명의 다른 캐릭터가 그려져 있는데 피도 이 캐릭터들 중 한 명이다. 다른 3명의 캐릭터들이 주인공인 린 슈바르처, 히로인인 알리사 라인폴트, 스토리상 엄청난 존재감을 과시중인 크로우 암브러스트인 걸 생각하면 물건너에서 피의 인기가 어느정도인지 실감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한 건지 섬의 궤적 2에서도 스토리상 비중은 별로 없었는데도 패키지에서 가장 크게 그려졌다. 그 뿐만 아니라 팔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서도 프로필 사진이 피인 경우도 있고[11] 메인을 자주 차지하기도 하며 TGS에서도 피가 메인이었다. 아무래도 성격이 비슷한 부분이 있는 전작의 티오 플래토의 뒤를 잇는 로리 캐릭으로 팔콤이 미는 것 같은데, 이 때문인지 한국은 토와 허셜의 인기가 엄청나서 조금 묻힌 편이지만 본고장인 물건너에서는 피의 인기가 엄청나다. 비공식이지만 개인이 실시하는 인기순위 투표에서 1위와 2위는 알리사와 피가 항상 꽉 쥐고 있다. 둘 사이의 순위가 왔다갔다 할 뿐 다른 캐릭터들은 이 둘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지 못하고 있는 게 사실. 참고로 10주년 기념으로 치러진 인기투표에서는 결국 전체 8위 섬의 궤적 기준 1위에 등극했다. 참고로 알리사는 표가 전작 캐릭터들과 갈린 탓일까 10위, 나머지는 순위권 외(…). 14년 연말즈음 치러진 섬의 궤적 2 인기투표에서도 린과 크로우에 이어 3위에 등극, 여성캐릭터중 1위를 차지했다.
파일:2E58F255-29FC-49DE-A869-E00125231ED8.jpg
섬의 궤적IV DLC 설정화

하지만 섬궤3부터 이 쿨시크 로리 속성을 알티나 오라이온이 가져가버리면서 본인은 딱히 잘못한 것도 없는데 인기가 폭락해버렸다. 그래도 부자는 망해도 3년은 간다고 일본에선 섬3 인기투표는 6위, 섬4 인기투표는 5위. 사실 폭락이라기에도 뭐한 것이 객관적으로 보면 여전히 최상위권이다. 객관적으로는 여전히 대단한 미인인데다[12] 부드러워진 모습이 좋다는 의견도 있다.

이외에 전체적으로 호평일색인 2의 겨울옷 차림도 매우 눈에 띄는데 일단 배를 홀라당 내놓고 있다. 게다가 바지도 핫팬츠, 비록 재킷에 머플러까지 두르고 있다고는 하지만 특과 7반중 가장 노출도가 높은 복장을 15세 소녀 로리가 하고 있다는 점에서 팔콤의 신사력을 옅볼 수 있다. 3D모델링에선 외복사근의 음영묘사를 묘하게 해 놔서 거의 치골장골 말고이 보이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표현되어 있다. 게임 내에서의 절망적인 모션도 어느정도 개선, 특히 눈뜨고 봐줄 수가 없던 기본 전투자세가 상대적으로 훨씬 역동적으로 변했다.

1의 엔딩 대사는 "난, 내가 지키고 싶은 것을 위해 싸워. 엽병단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니, 그 이상의 각오로. 린을……모두라는 이름의 가족을 반드시 지켜낼 테니까……!"

전작에서 나온 서풍의 여단 출신인 인물 가르시아 로시를 살짝 언급하기도 한다. 1의 학원제에서 스텔라 가르텐에 피와 같이 입장하면 들을 수 있데, 전문을 인용하면 "꽤 오래 전에 곰 같이 우락부락한 아저씨가 나갔을 땐 다들 아쉬워했었지. 의리 있고 주변도 잘 챙겨주고, 단장과도 마음이 맞았던 거 같고. 어딘가 상회에 스카웃받아 나갔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뭐 하고 있으려나." 그래서 가르시아가 감옥에 갇혀 있다는 걸 알게되면 어떻게 반응할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참고로 엽병왕과 붉은 성좌의 투신의 싸움을 결투 장소 근처에서 지켜봤는데 그러면서 자신처럼 엽병인 붉은 성좌의 여자아이와 만났다고 한다. 일단 이 때 싸우지는 않았고, 같이 고양이를 돌보기도 했다고. 그리고 상대쪽에서 싸울 의욕이 없었다 한다. 허나 표현은 영 아닌 것이 식인 호랑이같은 아이였다고 한다. 피와 만난 엽병 여자아이는 누군지 이름이 명확하게 나오지는 않았으나 붉은 성좌 소속인데다 표현으로 보아 아무리 봐도 셜리 올랜도다. 후에 셜리와 재회했을 때에 어떻게 반응할지, 그리고 셜리쪽에서 피를 어떻게 생각할지는 의문이었는데 3에서 나름 정답게(?) 얘기하는 모습이 나왔다.

절대적인 강함은 꾸준히 성장 중이지만 상대적인 강함은 미묘하게 퇴보하고 있다는 느낌을 준다. 섬궤1까지만 해도 입학식에서 사라의 함정을 유일하게 피한 7반 멤버로서 심상찮은 느낌을 주었고 라우라와 함께 최강 콤비라 불렸다. 그러나 섬궤2부터는 커지는 스케일과 속속들이 튀어나오는 강자들, 그들에 맞춰 급성장하는 구7반 전투원들[13]에 비해 성장세가 처지는 느낌이다.[14] 그래도 피의 나이를 감안하면 굉장히 강한 것이 사실이다. 멀리 갈 것 없이 신7반이 피와 동나이대인데 그들과 비교해보면 간단하다.


[1] 여의 궤적에서는 아니에스 클로델의 절친 중 한명인 '오데트'와 중복 캐스팅이다.[2] 알핀 라이제 아르노르와 중복. 근데 갭이 좀 있다. 한사람은 쿨데레, 한사람은 귀공녀.[3] 설정집에서 나온 마지막 모션은 건카타 라고적혀있고 그럭저럭 역동적인 모션인데 게임상에서는 그저 피가 빙글도는것으로 밖에 안 보인다...[4] 스텔스 상태로 혼자 살아남으면 적이 그냥 턴을 넘기는것을 볼수 있다. 심지어 전체범위 공격이 날라와도 대상에서 제외된다.[5] 전작에도 같은 이름의 쿼츠는 있었지만 효과가 바뀌었다. 이번 작품은 심플하게 회피율 20% 추가.[6] 거기에 피는 기본 회피율이 달려있어서 회피 100%를 맞추기가 쉽기 때문에 굳이 심안과 회피효과를 얻기 위해 시리우스를 메인으로 장착할 필요가 없다. 피에게 서브로만 달아주고 다른 캐릭터, 특히 자력 심안과 원거리 카운터가 가능한 사라에게 메인으로 달아서 회피 유격사 콤비를 만드는 것도 가능.[7] 회피 카운터가 반드시 크리티컬, 회피율 10%도 붙어있다보니 회피 세팅에도 좋다. 명중률 100%와 라 포르테는 덤.[8] 메인에 끼면 절대반사 2회가 딸려온다.[9] 어느 정도냐면 엘리 맥도웰하고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10] 레벨 15까지 올려도 300% 상승에 그친다.[11] 발매 이후에는 알리사 라인폴트로 변경되었다.[12] 차기작에서 일레인이 직접 인증해준다.[13] 기존에도 전투력이 크게 부각되진 않았던 알리사 라인폴트, 마키아스 레그니츠, 엘리엇 크레이그보다는 확실히 강할 것으로 예상되나 나머지 멤버들에 비하면 한 수 떨어져 보인다. 일단 유시스 알바레아, 밀리엄 오라이온과 비슷한 급으로 보이며, 주인공 린 슈바르처나 기동자 중 1명이자 1, 2 때부터 이미 달인급 강자여서 논외로 쳐야 하는 크로우 암브러스트는 넘기더라도 비슷한 수준이었던 라우라 S 알제이드에 더해 가이우스 워젤엠마 밀스틴이 너무 폭풍성장을 해버려서 피의 성장은 잘 부각되지 않는 편이다.[14] 팬들은 구7반 교관이었던 사라 발레스타인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합류가 피의 억제기 노릇을 하는 게 아닌가 추정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