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히스토릭 킹덤 Prehistoric Kingdom | |
<nopad> | |
<colbgcolor=#339933><colcolor=#fff> 개발 | Blue Meridian[1] |
유통 | Crytivo |
플랫폼 | Microsoft Windows |
장르 | 건설 경영 시뮬레이션 |
출시 | 2022년 4월 28일 (앞서 해보기) |
엔진 | 유니티 |
한국어 지원 | 미지원 |
관련 사이트 | 크라이티보 페이지 |
1. 개요
Take control of limitless power in Prehistoric Kingdom to build, manage and grow the ultimate zoo for extinct animals.
- 스팀 소개 문구
2014년부터 개발되고 있는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2022년 4월 28일 앞서 해보기 버전으로 출시되었다.- 스팀 소개 문구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의 정신적 후속작으로 시작된 게임으로[2], 쥬오제 팬들은 물론, 고생물 팬과 일부 주 타이쿤 시리즈의 팬까지 기대하고 있는 작품이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 ||
구분 | 최소 사양 | 권장 사양 |
<colbgcolor=#339933><colcolor=#fff> 운영체제 | Windows 7 / 8 / 8.1 / 10 64-bit | |
프로세서 | Intel Core i5-2300 AMD FX-4300 | Intel Core i7-4770 AMD FX-8350 |
메모리 | 8 GB RAM | 16 GB RAM |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GTX 1060 AMD Radeon R9 380 4 GB of VRAM | NVIDIA GeForce RTX 2060 AMD Radeon RX 5600 XT 6 GB of VRAM |
API | DirectX 10, 11 | |
저장 공간 | 10 GB |
3. 발매 전 정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발매 전 정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발매 전 정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시스템과 특징
4.1. 운영
플레이 화면의 좌측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운영에 관련된 메뉴가 배치되어 있다.- 공원 서비스 (Park Service): 공원 운영의 핵심이 되는 기능들이 이 메뉴에 포진해 있다.
- 동물 육아실: 동물을 탄생시키는 육아실 건물의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공원 안에 설치된 육아실 건물을 클릭하여 이 메뉴로 접근할 수도 있다.
- 발굴지: 세계지도에 발굴지의 위치가 표시되며, 이 메뉴를 통해 어느 곳의 화석을 발굴할지 결정할 수 있다. 화석 차고지 건물을 클릭하여 접근할 수도 있다.
- 연구: 공원의 운영을 윤택하게 만들 연구들을 진행할 수 있는 메뉴이다. 연구단지 건물을 클릭하여 접근할 수도 있다.
- 재정: 공원의 수입과 지출을 확인할 수 있다. 수입, 고정지출비용, 건설비용, 구매비용, 대출비용 항목으로 나눠 표시할 수 있다.
- 동물: 동원 내에 있는 동물들을 표시하는 메뉴이다. 공원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동물, 보유종 수, 전체 개체 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메뉴에서 여러 동물을 동시에 선택하여 한번에 판매할 수도 있다.
- 직원: 직원 고용, 월급 설정, 훈련 등 직원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메뉴이다. 직원센터 건물을 클릭하여 접근할 수도 있다.
- 공원 관리 (Park Management): 공원 평점, 이동 가능 구간 확인 등 공원 운영과 관련된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다.
- 공원 공지사항 (Park Notification): 공원 내의 사건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 특정한 일이 일어날 때마다 알림이 온다.
- 공원 이슈 (Park Issue): 공원 내에서 조치해야 할 사항을 표시해준다.
- 육아실 수용소 (Nursary Holder): 육아실에서 탄생시키는 중이거나 배양이 완료된 동물을 표시해준다.
- 팔레오피디아 (Paleopedia): 동물, 고식물, 발굴지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도감.
4.2. 조성
플레이 화면의 하단 가운데 인터페이스는 건설 밑 환경 조성에 관련된 메뉴가 배치되어 있다.- 철거 (Demolition): 이미 공원에 설치된 구조물을 제거할 수 있다.
- 우리 (Enclosure): 동물을 가둘 울타리와 테라리움, 직원이 드나드는 통로를 건설할 수 있다.
- 경로 (Path): 관람객과 직원이 다닐 길을 건설할 수 있다.
- 모듈 (Module):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다.
- 동물 관리: 먹이그릇, 먹이 행동풍부화 구조물, 동물 쉼터 등의 구조물이 표시된다.
- 관람객 시설: 편의시설, 어트랙션, 교육시설, 의자와 쓰레기통 등이 표시된다.
- 공원 물류시설: 먹이창고와 먹이 생산시설, 비료 생산시설 등이 표시된다.
- 공원 운영: 육아실, 화석 차고지, 연구단지, 직원센터 등 기본적인 공원 운영에 필요한 건물들이 표시된다.
- 공원 전력시설: 공원의 시설들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설들이 표시된다.
- 모듈러 부품 (Modular Pieces): 건물을 꾸밀 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자잘한 부품들이 표시되다.
- 조립된 건축물 (Modular Prefabs): 모듈러 부품을 이용해 미리 꾸며놓은 건축물을 바로 불러올 수 있다. 플레이어가 직접 꾸며놓은 것을 저장해놓았다가 나중에 사용할 수도 있고, 창작마당에서 다른 플레이어들이 올려놓은 것을 구독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
- 환경 조성 (Terraforming): 공원 내의 지형을 변경할 수 있다.
- 초목 페인팅: 식물들을 배치할 수 있다.
- 지표 페인팅: 땅의 질감을 변경할 수 있다.
- 지형 조형: 경사, 구덩이 등 지형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 물 페인팅: 물이 채워진 구간을 만들 수 있다.
4.3. 도움말
단축키 F1로 접근 가능. 프리히스토릭 킹덤의 시스템이 정리되어 있는 메뉴이다. 유저가 직접 게임 내 기능들을 쓸 수 있게 도와주는 튜토리얼 기능도 지원한다.4.4. 스크린샷 모드
인터페이스에서 스크린샷 모드를 별도로 지원한다. 단축키 F2로도 접근 가능. 이 모드에서는 필드 오브 뷰(FOV), 카메라 각도, 레터박스, 노출(Exposure), 시간이 흐르는 속도 등을 직접 설정하여 화면 보정을 미리 진행할 수 있으며, 그 상태에서 엔터키를 눌러 스크린샷으로 남길 수 있다.4.5. 날씨&시간 접근
하단 우측 인터페이스의 날짜 표시나 좌측 인터페이스를 클릭해서 접근 가능. 시간과 기온, 기상예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샌드박스 모드에서는 강제전환 기능을 활성화하여 플레이어가 원하는 시간과 날씨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참고로 게임 내에서 1년이 지나려면 1배속 기준으로 현실에서 1시간이 지나야 한다.
4.6. 게임 모드
- 시나리오 모드: 스토리를 따라 진행하는 모드. 현재는 튜토리얼만 플레이 가능하다.
- 챌린지 모드: 특정 조건 하에서 공원을 운영하는 모드. 쉬움, 보통, 어려움 난이도로 나누어지며, 난이도가 오를 수록 초기 자본과 처음 해금된 동물 수[3]가 줄어들고 폭풍이 부는 빈도가 증가한다.
- 샌드박스 모드: 원하는 대로 공원을 꾸미고 운영하는 모드. 창작(Creative), 경영(Tycoon), 커스텀(Custom)의 세 가지 초기 설정이 존재한다.
- 커스텀 설정은 시작 전에 초기 자금, 전력과 시설 내구도 및 먹이 무제한 여부, 모든 동물 및 연구 해금 여부, 동물의 만족도 적용 여부와 질병, 배설, 노화, 사망의 적용 여부, 관람객 복지 적용 여부, 캐릭터 대사 출력 여부를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다.
- 창작 설정은 질병, 노화, 사망을 제외한 모든 요소가 활성화 되고 초기 자금이 무한대로 설정된다.
- 경영 설정은 캐릭터 대사 출력과 동물 관련 요소, 관람객 복지만 활성화 된다. 초기 자금은 무한대로 설정된다.
4.7. 등장인물
- 나이젤 마븐: BBC의 공룡대탐험 스페셜들(Chased by Dinosaurs, Sea Monsters)과 ITV의 Prehistoric Park의 진행자였던 나이젤 마븐 본인이 직접 출연하며, 목소리도 직접 맡았다. 튜토리얼에서 플레이어에게 시스템을 알려주며, 다른 게임 모드에서도 동물을 풀어놓거나 클릭하면 해당 동물에 관한 정보나 소감을 남기기도 한다.
프리히스토릭 킹덤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앞서 해보기 트레일러. 트레일러에서 Prehistoric Park가 떠오르게 하는 장면들도 보여[4] 후속작이 아니냐는 농담도 있었다. 그 다음날 진행한 스트리밍에서 밝히길 이전부터 나이젤이 이 게임에 관심을 갖고 있어 제작진이 직접 더빙을 부탁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인게임 초상화를 보면 나이젤 뒤로 미크로랍토르 한 마리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또한 Prehistoric Park의 나이젤을 연상시키는 부분.
- 알렉산더 윈스턴 경(Sir. Alexander Winstone): 개발 초기 드로카드로카 섬에 관한 설정이 남아있던 시기, 공원 설립에 도움을 주는 후원자라는 설정의 인물이다. 앞서 해보기 출시 후 한동안 언급되지 않아 폐기된 줄 알았으나, 직원 고용 메뉴에서 공원의 설립자라고 짤막하게 언급된 것을 볼 수 있다.
4.8. 지역
새 공원 만들기를 통해 게임을 시작할 때 공원을 짓게 되는 맵이다. 앞서 해보기 현재 버전 기준으로 일곱 가지 지역이 지원되며, 업데이트를 통해 계속해서 추가할 예정. 맵의 넓이는 모든 지역이 4,194,304㎡로 동일하다. 현재 구현된 지역은 다음과 같으며, 이러한 타이쿤 게임들이 주로 가상의 공간이나 섬을 배경으로 하는 것과 대조되게, 대부분 실존하는 지역이 구현되어 있으며, 그 재현율도 높다.- 스페인(코스타 델 솔 Costa Del sol)[5]: 관목지 생물군계
- 영국(골드핀치 필즈 Goldfinch Fields)[6]: 온대 생물군계
- 코스타리카(아레날 화산 국립공원 Parque Nacional Volcán Arenal)[7]: 열대 생물군계
- 요르단(Bahr Harin)[8]: 사막 생물군계
- 탄자니아(응고롱고로 분화구 Ngorongoro Crater): 초원 생물군계
- 캐나다(캐나다 로키 산맥 Canadian Rockies): 냉대 생물군계
- 미국(레드우드 밸리 Redwoods Valley)[9]: 해안 생물군계
4.9. 1인칭 모드
1.14.39 버전부터 추가된 기능. 하단 우측 인터페이스의 사람 모양 아이콘을 클릭한 뒤, 착지하고자 하는 지점을 클릭하여 돌입할 수 있다.이 모드에서는 주 타이쿤 2의 1인칭 모드처럼 공원 내의 사람이 된 것처럼 직접 걸어다니며 구경할 수 있다. 의자에 앉거나 쌍안경을 보는 등의 간단한 상호작용도 가능.
업데이트가 더 진행되면서 먹이통을 다시 채우거나 배변을 치우는 등 공원 운영과 연관된 상호작용도 추가될 예정이다.
5. 발굴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발굴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발굴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동물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동물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동물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식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식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식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구조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구조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구조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연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연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리히스토릭 킹덤/연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0. 도전 과제
<rowcolor=white> 아이콘 | 도전 과제명 |
| Spared Every Expense 파산 상태에 돌입 |
| Crowds o' Plenty 공원에 5,000명의 관람객이 존재 |
| Tycoon 챌린지 모드에서 5성 공원 달성 |
| Fossil Record 챌린지 모드에서 모든 동물 해금 |
| Hatchling 동물을 공원에 방사 |
| Noah's Park 모든 동물의 암컷과 수컷을 공원에 방사 |
| Sabre-Toothed Cat 챌린지 모드에서 스밀로돈을 공원에 방사 |
| Three Horned Face 챌린지 모드에서 트리케라톱스를 공원에 방사 |
| Tyrant Lizard King 챌린지 모드에서 티라노사우루스를 공원에 방사 |
| Primigenius 챌린지 모드에서 털매머드를 공원에 방사 |
| Exhibit A... 방사장 50개 건설 |
| ...Exhibit B 방사장 100개 건설 |
| Imaginarium 한 세이브에서 5시간 플레이 |
| Public Domain 스팀 워크샵에 아이템을 업로드 |
| Sharing is Caring 스팀 워크샵에서 아이템을 다운로드 |
파일:New High Score.jpg | New High Score 챌린지 모드에서 한 방사장이 최대 전시 평점 달성 |
| Keeping Score 챌린지 모드에서 5개의 방사장이 최대 전시 평점 달성 |
| Perfect Score 챌린지 모드에서 10개 방사장이 최대 전시 평점 달성 |
| Ecosystem 챌린지 모드에서 다섯 종을 전시한 방사장이 동물 복지 70% 이상 달성 |
| Menagerie Manager 25마리의 동물을 전시한 방사장이 동물 복지 90% 이상 달성 |
| Titan 챌린지 모드에서 브라키오사우루스를 공원에 방사 |
| Spine Lizard 챌린지 모드에서 스피노사우루스를 공원에 방사 |
| Guardian 혈연이 아닌 새끼를 입양한 동물 보유 |
파일:Newborn_Prehistoric Kingdom Achivement.jpg | Newborn 공원에서 자연번식으로 태어난 동물 보유 |
| Ancestor 3세대 이상 대가 이어진 조상 동물 보유 |
| Unrequited Lover 3번 이상 구애를 실패한 동물 보유 |
| Misfit 어떤 동물과도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한 채 노년이 된 동물 보유 |
| That's One Big Pile Of... 청결도가 0%인 방사장 보유 |
11. 기타
원래 이 게임의 제작진들은 'Jurassic Genetics'라는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를 거의 계승한 듯한 경영 시뮬레이션의 개발진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Jurassic Genetics의 실상은 게임이 나오기도 전에 돈을 기부한 게이머들의 돈을 먹튀하고, William Peschke의 디자인을 도용하는 등 온갖 병폐로 가득 찬 물건이었다. 분노한 팬들이 여기 블로그를 따로 만들어 정리할 정도.[10] 결국 이런 일이 연이어 벌어지자 Genetics의 개발은 공중분해되었다.[11]여기서 빠져나온 개발진들이 나뉘어서 본 작품과 프리히스토릭 프리저브를 만들게 되었다. 또한 개발 초기에는 Wrath of the Goliaths의 제작진 중 한 명이 이 게임의 개발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현재는 더 이상 이 게임의 개발에 관여하지 않는 듯하다.
고생물학적 고증이 뛰어난 것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실제로 2018년 개발자 질의응답에서 밝힌 바로는 고생물을 디자인할 때 관련 논문을 참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래도 게임 개발의 문제로 연구 내용을 반영하는데 한계는 있다고 한다. 이 게임과 마찬가지로, 공룡을 소재로 한 동물원 시물레이션 게임인 메소조이카의 제작진들 중 한 명이 고증오류와 관련된 지적에 나는 팔레오아티스트가 아닌 그냥 아티스트니까 닥치라고 대답하는 무책임한 태도를 보여주는 해프닝이 일어나면서 더욱 비교된 요소이다. 사우리안도 개발 초기에 비슷하게 이런 부분에서 호평을 받았지만, 해당 게임의 제작진의 횡령 사건 및 지체되는 업데이트 등으로 인하여 사실상 그나마 제대로 개발이 진행되는 게임은 프리히스토릭 킹덤 뿐이라고 할 수 있다.
프리 알파 데모 출시 불과 5일 뒤에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이 공개되었는데, 영화 공식 라이센스 게임이고 개발사도 공원 경영게임에는 잔뼈가 굵은 프론티어 디벨롭먼트라서 프리히스토릭 킹덤의 입지가 줄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허나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이 발매된 직후에는 대부분의 유저들이 혹평했고, 이후의 패치를 통해 단점이 나름대로 개선되었음에도 상당히 낮은 수준인 공룡의 인공지능과 애니메이션에 실망한 사람들이 이 게임에 기대를 걸게 되었다.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의 발매 전에도 프리히스토릭 킹덤은 여러 요소에서 더 이상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의 정신적 후속작만으로 보기는 어렵고, 우수한 고증을 중심으로 하는 공원 경영 시뮬레이션을 지향하므로 타격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개발 초기의 로고 | 2019년 6월 13일 이후의 로고 |
2022년 8월 24일, 앞서 해보기 1.0.4 업데이트와 함께 스팀 창작마당을 지원하게 되었다.[12] 아직은 모듈러 건설 시스템으로 만든 건축물들만 공유 가능하며 모듈러 시스템에 익숙하지 않은 플레이어들은 창작 마당에서 마음에 드는 건축물을 구독하여 게임상에 활용할 수 있다.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가 정신적 후속작이고 개발자들이 쥬라기 공원을 매우 좋아하는지 게임 곳곳에서 쥬라기 시리즈가 자주 언급된다.
[1] 기존의 팀명은 'Shadow Raven Studios'였으나 2020년 9월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팀명만 바꾼 것이니 당연히 제작진은 기존과 동일.[2] 제작진의 말에 의하면 쥬오제 뿐만 아니라 주 타이쿤 시리즈, 시티즈: 스카이라인에서도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3] 쉬움 난이도에서는 인기도 1성 동물 2종, 2성 동물 1종, 3성 동물 1종을 처음 해금하고 시작할 수 있다. 보통 난이도는 3성 동물을 제외한 3종류가 활성화 되고, 어려움 난이도는 1성 동물 2종만 활성화된다.[4] 초반부의 숲 사이로 아르겐티노사우루스들의 모습이 드러나는 장면, 그리고 미크로랍토르가 나오는 장면의 "집에 두고 온 녀석이 떠오른다"라는 대사.[5]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의 해안 지방으로, 날씨가 좋고 연평균 기온이 높아 스페인의 대표적 휴양지로 유명하다.[6] 의외로 실존하지 않는 장소다.[7] 코스타리카의 국립공원. 아레날 화산, 차토 화산, 아레날 호로 이루어진 국립공원으로, 게임 내에서도 화산과 서쪽의 호수, 열대우림에 어지럽게 흐르는 강이 구현되어있다. 차토 화산의 경우 대략 3500년 전 이후로 활동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레날 화산은 지금도 활동하는 활화산으로, 화산활동이 심해지면 국립공원을 폐쇄하므로 사실 동물원이나 테마파크를 짓기에 적합한 곳은 아니다.[8] 골드핀치 필즈와 더불어 유이하게 실존하지 않는 곳. 게임 내외로 원어인 아랍어로 표기된 지역명을 알 수 없기에, "두 개의 바다"라는 뜻의 바레인(البحرين, Al Bahrain)을 변형시켜서 만들었다고 추측할 수 밖에 없다. Bahrبحر가 바다이므로 Harin 바다라는 뜻이 될 것이다.[9] 바닷가에 맞닿은 숲 환경을 감안했을 때, 레드우드 국립공원(Redwood national park)를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에 있으며, 캘리포니아의 주립공원이기도 하다.[10] 단, 이미지 링크들은 실종 상태.[11] 이 사태의 원흉들은 이후 Jurassic Park Genesis라는 이름으로 돌아와 다시 개발을 진행했었다. 개발자는 프리히스토릭 킹덤이 거짓말을 하는 거라 주장했다.[12] 이 비공식 콘텐츠와 관련된 역사도 화려한 것이, 원래 가능하다고 했다가 게임 엔진을 유니티 엔진으로 선정하면서 모드 지원을 하지 않는다고 밝혔던 경력이 있다. 어느 유저가 이 게임과 같은 엔진을 쓴 사우리안의 앞서 해보기와 이 게임의 데모판을 모딩한 뒤로 입장이 다시 바뀌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