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직업별 스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전 캐릭터 공통 스킬 | |||||||||||
[[귀검사/남자/공통스킬| | [[웨펀마스터(던전앤파이터)/스킬| 웨펀마스터 | [[소울브링어(던전앤파이터)/스킬| 소울브링어 | [[버서커(던전앤파이터)/스킬| 버서커■ | [[아수라(던전앤파이터)/스킬| 아수라■ | [[검귀(던전앤파이터)/스킬| 검귀 | |||||||
[[귀검사/여자/공통스킬| | [[소드마스터(던전앤파이터)/스킬| 소드마스터 | [[다크템플러(던전앤파이터)/스킬| 다크템플러 | [[데몬슬레이어(던전앤파이터)/스킬| 데몬슬레이어 | [[베가본드/스킬| 베가본드 | [[블레이드(던전앤파이터)/스킬| 블레이드■ | |||||||
[[격투가(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넨마스터/남자/스킬| 넨마스터 | [[스트라이커(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스트라이커 | [[스트리트 파이터(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스트리트 파이터 | [[그래플러(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그래플러 | ||||||||
[[격투가(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넨마스터/여자/스킬| 넨마스터 | [[스트라이커(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스트라이커 | [[스트리트 파이터(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스트리트 파이터 | [[그래플러(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그래플러■ | ||||||||
[[거너(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레인저(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레인저 | [[런처(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런처 | [[메카닉(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메카닉 | [[스핏파이어(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스핏파이어 | [[어썰트(던전앤파이터)/스킬| 어썰트 | |||||||
[[거너(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레인저(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레인저 | [[런처(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런처 | [[메카닉(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메카닉 | [[스핏파이어(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스핏파이어■ | [[패러메딕(던전앤파이터)/스킬| 패러메딕■ | |||||||
[[마법사(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엘레멘탈 바머/스킬| 엘레멘탈 바머 | [[빙결사/스킬| 빙결사 | [[블러드 메이지(던전앤파이터)/스킬| 블러드 메이지 | [[스위프트 마스터/스킬| 스위프트 마스터 | [[디멘션 워커/스킬| 디멘션 워커■ | |||||||
[[마법사(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엘레멘탈마스터(던전앤파이터)/스킬| 엘레멘탈마스터 | [[소환사(던전앤파이터)/스킬| 소환사 | [[배틀메이지(던전앤파이터)/스킬| 배틀메이지 | [[마도학자(던전앤파이터)/스킬| 마도학자■ | [[인챈트리스(던전앤파이터)/스킬| 인챈트리스■ |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남자/공통스킬| | [[크루세이더(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크루세이더■ | [[인파이터(던전앤파이터)/스킬| 인파이터 | [[퇴마사(던전앤파이터)/스킬| 퇴마사 | [[어벤저(던전앤파이터)/스킬| 어벤저 |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여자/공통스킬| | [[크루세이더(던전앤파이터)/여자/스킬| 크루세이더■ | [[이단심판관/스킬| 이단심판관 | [[무녀(던전앤파이터)/스킬| 무녀 | [[미스트리스(던전앤파이터)/스킬| 미스트리스 | ||||||||
[[도적(던전앤파이터)/공통스킬| | [[로그(던전앤파이터)/스킬| 로그 | [[사령술사/스킬| 사령술사 | [[쿠노이치(던전앤파이터)/스킬| 쿠노이치 | [[섀도우 댄서(던전앤파이터)/스킬| 섀도우 댄서 | ||||||||
[[나이트(던전앤파이터)/공통스킬| | [[엘븐나이트/스킬| 엘븐나이트 | [[카오스(던전앤파이터)/스킬| 카오스■ | [[팔라딘(던전앤파이터)/스킬| 팔라딘 | [[드래곤나이트(던전앤파이터)/스킬| 드래곤나이트■ | ||||||||
[[마창사/공통스킬| | [[뱅가드(던전앤파이터)/스킬| 뱅가드 | [[듀얼리스트(던전앤파이터)/스킬| 듀얼리스트 | [[드래고니안 랜서/스킬| 드래고니안 랜서 | [[다크 랜서/스킬| 다크 랜서 | ||||||||
[[총검사/공통스킬| | [[히트맨(던전앤파이터)/스킬| 히트맨 | [[요원(던전앤파이터)/스킬| 요원 | [[트러블 슈터/스킬| 트러블 슈터 | [[스페셜리스트(던전앤파이터)/스킬| 스페셜리스트 | ||||||||
[[아처(던전앤파이터)/공통스킬| | [[뮤즈(던전앤파이터)/스킬| 뮤즈■ | [[트래블러(던전앤파이터)/스킬| 트래블러 | [[헌터(던전앤파이터)/스킬| 헌터 | [[비질란테(던전앤파이터)/스킬| 비질란테 | [[키메라(던전앤파이터)/스킬| 키메라■ | |||||||
외전 | [[다크나이트(던전앤파이터)/스킬| 다크나이트 | [[크리에이터(던전앤파이터)/스킬| 크리에이터■ | ||||||||||
범례 | 물리 공격형, 마법 공격형, 하이브리드형, 버퍼 직업, 미구현된 직업 ■고정 데미지 |
1. 개요
여성 프리스트 직업군의 공통스킬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스킬의 분류는 게임 내 미전직(=노전직) 캐릭터의 스킬창에 배치된 것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 분류는 균열된 차원의 장비에 부여하는 스킬 목록에 따른 분류와는 무관합니다. 목차의 직업명을 클릭하면 해당 직업의 스킬 문서로 연결됩니다.- 마스터 레벨: SP로 올릴 수 있는 최대 레벨을 의미합니다.
- 최대 레벨: 장비/아바타/스킬/크리쳐 등을 통해 올릴 수 있는 최대 상한 레벨을 의미합니다.
- 스킬 기본 정보 작성시 템플릿:던전 앤 파이터/스킬을 참고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 ◇가 붙은 스킬은 특정 직업으로 전직 시 스킬 습득 제한이 적용되는 스킬입니다.
2. 크루세이더 계열
2.1. 홀리 스매쉬
| 액티브 | |||
신성력을 담아 거병으로 전방을 내려친다. 타격된 적은 바운스 되어 공중으로 뜬다. | ||||
습득 레벨 | 2n - 1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4초 | |
SP소모 | 15 | 무큐 소모량 | 없음 |
스매쉬!
캐릭터 생성 시 1레벨 기본 지급.
공격한 적을 낮게 튕긴다. 공격속도가 빠르다면 라이징 슬래쉬로 띄우는 것도 가능하다.
크루세이더 계열의 스킬이지만 신실한 열정의 버프 지속 시간 증가 효과를 발동시키지 않는다.
2.2. 치유의 기도
| 버프 | |||
신께 기도를 드려 자신의 상처를 치유해 HP를 회복한다. 크루세이더로 전직 시 회복량이 증가하고, 주변 파티원도 함께 치유해 HP를 회복시킨다. 라파엘의 축복을 습득하면 용맹의 아리아, 재생의 아리아 시전 중 치유의 기도를 사용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2 + 3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15초 | |
SP소모 | 15 | 무큐 소모량 | 없음 |
버프 효과 | |
HP 회복량 (37레벨 기준) | 26059 |
크루세이더 전직 시 HP 회복량 비율 | 150% |
치유 적용 범위 | 900px |
HP 회복 속도가 남성 크루세이더의 패스트 힐 수준으로 빠르다. 남성 프리스트의 슬로우 힐과는 달리 크루세이더로 전직하지 않는 이상 자신만 HP를 회복할 수 있다.
2020년 9월 17일 여성 크루세이더 진 각성 패치로 스킬 시전 속도가 이동속도의 영향을 받던 것이 캐스팅 속도의 영향을 받도록 변경되고 후딜레이가 줄었다.
2.3. 큐어
| 버프 | |||
범위 내 파티원들의 상태 이상을 치유한다. | ||||
습득 레벨 | 10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1 | 최대 레벨 | 11 | |
시전 시간 | 0.5초 | 쿨타임 | 10초 | |
SP소모 | 50 | 무큐 소모량 | 없음 |
버프 효과 | |
상태 이상 최대 해제 수 | 5개 |
적용 범위 | 1530px |
Cureness / Remend
동명의 남성 프리스트의 스킬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2020년 9월 17일 여성 크루세이더 진 각성 패치로 진 각성 이전의 남성 크루세이더와 마찬가지로 실전성이 떨어지던 원인인 레벨 간격 및 상태이상 해제 가능 레벨 수치가 조정되었다. 2022년 3월 17일 시즌 8 업데이트로 상태이상의 레벨 시스템이 삭제되면서 SP 50짜리 단일 레벨 스킬로 변경되었다.
1레벨만 찍어도 모든 상변이 해제되도록 바뀐데다 시즌8의 높아진 상변 비중과 맞물려 프리스트 직업군 전체가 찍어볼만한 스킬로 변모했다.
2.4. 홀리 플래쉬◇
| 액티브 | |||
신성력으로 빛을 만들어 전방으로 던진다. 빛은 적과 충돌하면 폭발하여 명속성 마법 피해를 입힌다. | ||||
습득 레벨 | 1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4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크루세이더 이외의 직업으로 전직 시 변경사항 | 스킬 습득 불가 |
전방으로 빛의 구체를 던져 적에게 닿는 순간 폭발을 일으킨다. 쿨타임이 짧지만 15레벨 스킬인 만큼 노전직 캐릭터로 육성하는 것이 아닌 이상 잠깐만 사용하게 되며, 크루세이더 이외의 직업으로 전직하면 스킬창에서 사라져서 습득이 불가능하다.
110레벨 시기 기준으로 크루세이더라면 자주 쓰게 된다. 결전의 십자가에 피해량이 100% 증가 옵션과 함께 싱글플레이 전용 효과인 피해량 증가량도 20% 증가하고, 범위 증가가 딸려있다. 여기에 시전하면 그랜드 크로스 크래쉬, 리펜텐스 스매시 남은 쿨타임 2% 감소까지 붙어있어 피해량은 피해량대로 빛의 세례보다 높아지며, 미미하긴 해도 주력 스킬의 쿨타임이 조금이나마 빨리 돌고 스킬 쿨타임이 짧아 자주 쓰기도 좋다.
3. 이단심판관 계열
3.1. 라이징 슬래쉬
액티브 | ||||
거병을 크게 휘둘러 적을 가격하여 공중으로 띄운다. 스킬 레벨이 증가할 수록 띄우는 힘이 증가한다. 크루세이더 전직 시 독립 공격력으로 적용된다. | ||||
습득 레벨 | 3n - 2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10 | 최대 레벨 | 2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기본)
(성화 버프 적용 시)[1]
여성 프리스트의 기본 어퍼 스킬. 캐릭터 생성 시 1레벨 기본 지급.
남성 프리스트의 공참타와는 달리 후방 판정이 없고 슈퍼아머 지속 시간이 짧다.
3.2. 강습
액티브 | ||||
공중에서 거병으로 빠르게 낙하하며 지상을 내려찍고, 뒤로 뛰어오른다. 일정 높이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4초 | |
SP소모 | 15 | 무큐 소모량 | 없음 |
사용 가능한 최소 높이 | 70px |
충격파 크기 | 100% |
심판관의 전투술 습득 시 추가 효과 | 뒤로 뛰어오른 상태에서 점프 공격, 플레게의 화염병, 플레게의 정수 사용 가능 |
공중에서 사용 시 대각선 방향으로 급강하한다. 최소 높이 제한이 70px라 남성 귀검사의 에쉔 포크, 여성 귀검사의 태산압정 등과는 달리 백스텝 도중에는 사용할 수 없다.[2]
이단심판관은 백스텝 중 점프 공격, 플레게의 화염병 플레게의 정수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기본 스킬들과는 달리 성화 상태에서 강습을 써도 성화 상태를 유발하지 않는다.
약간의 버그가 있는데, 표기상으로는 타격과 충격파의 물리 공격력이 같지만 타격 공격력은 평타만큼도 나오지 않는다. 공격력의 x%가 아니라 x만큼의 공격력으로 공격하는 것 같은 수준이다.
3.3. 무기 막기
액티브 | ||||
무기를 세워 전방의 공격을 막아내 피해를 감소 시킨다. 스킬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계속 방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전방의 공격을 막아낸 다음에는 스킬들을 막기 자세를 캔슬하고 사용할 수 있다. | ||||
습득 레벨 | 5 + 5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5 | 최대 레벨 | 15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2초 | |
SP소모 | 15 | 무큐 소모량 | 없음 |
물리/마법 피해 감소율 (5레벨 기준) | 41% |
남성 귀검사의 가드에 대응되는 스킬. 지속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대신 스킬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 무기 막기 상태가 지속된다.
스킬 설명에도 나와있듯이 무기로 막고 있는 전방에서 공격받아야 피해 감소가 적용된다. 뒤에서 공격받으면 피해가 그대로 들어온다.
3.4. 단죄의 십자가◇
액티브 | ||||
악을 단죄하는 십자 교차 형태의 2단 베기 공격 성화 상태에서는 적에게 지속 피해를 유발하고, 성화 스택을 1회 소모한다. | ||||
습득 레벨 | 1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6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이단심판관 이외의 직업으로 전직 시 변경사항 | 스킬 습득 불가 |
Punish!
거병을 십자 형태로 휘둘러 전방을 타격한다. 공격속도는 무난한 편이다.
전직 전에는 남성 귀검사의 고어 크로스의 느린 버전 같은 느낌으로 쓸 수 있지만 이단심판관 이외의 직업으로 전직하면 스킬창에서 사라져서 습득이 불가능하다.
4. 무녀 계열
4.1. 날벼락부
액티브 | ||||
벼락의 힘이 봉인 된 부적으로 벼락을 소환하여 전방에 날벼락을 소환한다. [무녀 전직 시 추가기능] - 벼락 크기 증가[3] - 피격된 적 바운드 적용 [대행자의 권능 습득 시 추가기능] - 주변 350px 이내의 적 탐색 후 공격 - 적 부재 시 시전 불가 - 오브젝트 타격 불가 - 최대 12명 타격 - 적 1명 당 타격 제한 1회 | ||||
습득 레벨 | 1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5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낙하 거리 | 230px |
낙뢰 크기 비율 | 100% |
짜릿할 거야. / 날벼락!
(대행자의 권능 습득 시) 신벌을. / 멸하리.
(대행자의 권능 습득 시) 신벌을. / 멸하리.
전방에 날벼락을 소환한다. 거리가 고정되어 있어 캐릭터 바로 앞은 타격하지 못하지만 범위가 적당히 넓어서 생각보다 맞추기 쉬운 편으로, 대략 평타 범위 조금 앞부분에 번개가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무녀 전직 시 캐릭터 바로 앞까지 타격할 수 있을 정도로 범위가 증가한다.
무녀의 기본기 중 SP 대비 공격력 효율은 별로 좋지 않지만 범위가 넓고 Z축도 길어서 공중 공격까지 가능하다.
대행자의 권능 습득 시 마법진 안의 적을 탐색해서 공격하도록 변경되는데, 적이 탐색 범위 내에 없으면 스킬 아이콘이 비활성화되며 오브젝트 타격 기능이 사라진다. 여기에 더해 타격 가능한 적의 수가 12로 제한되는데, 다수의 낙뢰 이펙트를 출력하면서 생기는 처리 지연을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버그인지, 의도된 사항인지는 모르겠지만 염주 사출 사용 도중에는 아이콘이 활성화되어 사용할 수 있다.
5. 미스트리스 계열
5.1. 넥 업 사이드
액티브 | ||||
거병을 길게 늘어뜨려 적을 찍은 후 내려친다. 잡기 가능 적에게 찍기 성공 시 무적 상태가 되며, 이후 후방키 입력으로 적을 뒤로 던질 수 있다. 잡기 불가 적에게는 홀드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타락의 칠죄종 상태에서 시전 시 찍은 적을 캐릭터 위치로 끌어온 후 내려친다. 크루세이더 전직 시 독립 공격력으로 적용된다. | ||||
습득 레벨 | 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5초 | |
SP소모 | 15 | 무큐 소모량 | 없음 |
거기! / 핫!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하하핫!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하하핫!
(뒤로 칠 때)
타격 잡기 스킬로 찌르기에 적중된 적 하나를 바닥에 내려치거나 뒤로 던진다. 찌르기 공격은 다수에게 동시 적용되지만 하나의 적만 잡을 수 있으며, 잡기 불가능한 적에게는 찌르기 데미지만 들어간다. 적을 잡고 내려칠 때까지는 무적이다.
후방키를 입력하여 뒤로 던진 후에 캐릭터가 함께 뒤로 방향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시전하기 전에 바라보던 방향으로 그대로 서 있기 때문에 뒤로 던진 적은 내버려 두고 반대 방향으로 다른 스킬들을 쓰는 흠좀무한 상황이 자주 벌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게 버그인지, 의도된 사항인지는 알 수 없다. 후방 판정이 있는 무거운 죄업, 미전진 상태의 듀얼 슬래쉬, 사이드 매서커를 쓰면 전/후방 판정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쪽으로 연계하면 편하다. 아니면 정 귀찮더라도 컷 인 대쉬로 이동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 경우는 베고 난 후 후방 판정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에는 낫을 사용하지 않고 다리에 달린 입이 뱀처럼 튀어나와서 적을 문다.
5.2. 무거운 죄업
액티브 | ||||
전방에 원죄의 힘이 담긴 충격파 공격을 가한다. 일곱개의 대죄 버프 상태에서 타격 성공 시, HP/MP를 회복하고 적을 홀드시킨다. | ||||
습득 레벨 | 8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6초 | |
SP소모 | 15 | 무큐 소모량 | 없음 | |
기꺼이 죄를 짊어지겠나이다. |
Press. / 쌓여!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견뎌 봐!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서비스야.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견뎌 봐!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서비스야.
전방을 주먹으로 내리쳐 충격파 데미지를 입힌다. 미스트리스의 주요 선홀기 중 하나로, 일곱개의 대죄 습득 시 HP와 MP를 7% 회복시키는 회복기도 겸한다. 최상단/최하단 판정을 동시에 지니며, 캐릭터 뒤에도 타격 판정이 있지만 넥 업 사이드로 적이 뒤로 던져지는 거리 정도까지다.
5.3. 컷 인 대쉬◇
액티브 | ||||
시전 시 전방으로 대시하고, 대시 중 Z키 또는 X키 입력 시 올려베기를 시전한다. 미스트리스 전직 시 대시 가능 횟수가 증가하고, 무녀로 전직 시 사용이 불가하다. 대시 중 스킬키 추가 입력으로 연속 대시가 가능하며, 후방키를 입력으로 이동 방향 조절이 가능하다. 죄의 근원을 습득하면 시전 중 슈퍼아머 상태가 되고, 2회 대시 후 스킬키 추가 입력 시 악마로 변하며 전진베기를 시전한다. 후방키 입력으로 전진베기 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전진베기 공격력은 올려베기와 동일하다. | ||||
습득 레벨 | 13 + 2n | 선행 스킬 | 없음 | |
마스터 레벨 | 60 | 최대 레벨 | 70 | |
시전 시간 | 즉시 시전 | 쿨타임 | 6초 | |
SP소모 | 20 | 무큐 소모량 | 없음 |
대시 가능 횟수 | 1회 |
미스트리스 전직 시 대시 가능 횟수 | 2회 |
무녀 전직 시 변경사항 | 스킬 습득 불가 |
대쉬!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에헷~
(타락의 칠죄종 변신 중) 에헷~
(추가 타격 모션)
전방의 짧은 거리를 이동하며, 이동 중 Z키나 X키를 누르면 적을 띄운다. 어퍼 데미지가 기본기 치고는 상당하기에 전직 후 스킬이 몇 개 없는 초반부에도 써먹을 수 있다. 단, 단축키에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단축키를 한 번 누르면 대쉬만 하고 공격은 하지 않는다.
이동기로 써먹을 수 있을 것 같지만 후딜레이가 길고 이동 거리도 짧아서 미스트리스가 아니면 달리는 것이 훨씬 빠르다. 물론 순간적인 회피기로는 사용할 수 있다.
미스트리스 전직 시 2번까지 대쉬할 수 있게 되며, 2회의 대쉬 사이에 올려베기를 시전할 수 있다. 커맨드로 사용할 경우 →&Z로(&는 게임 내 커맨드 등록창 설명 참조.) 등록하면 스킬 시전 중 Z는 추가 대쉬로, X는 올려베기로 나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X 로 등록하면 X가 추가 대쉬, Z가 올려베기다.
후방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스킬 특성상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어 전직 전에는 별 볼일 없고,[4] 전직 후에는 전진+후진 혹은 스킬 캔슬로 후진을 두 번 사용할 수도 있다. 후진+전진으로 인파이터의 더킹/스웨이 캔슬 흉내를 낼 수도 있는데, 이때 후진하더라도 추가 공격은 더킹 시리즈처럼 앞쪽만 벤다.
무녀 전직 시 축지성촌으로 대체된다.
2017년 3월 9일 패치로 쿨타임이 3초 줄어들고 공격력이 줄어들었다.
2022년 8월 4일 리뉴얼 패치로 죄의 근원 습득 시 뒤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1] 성화의 버프 모션도 라이징 슬래쉬와 공유한다.[2] 태산압정의 경우 10px의 최소 높이 제한이 있긴 하지만 이 수치는 백스텝 도중에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다.[3] 25% 증가[4]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고 평타 캔슬 후 후방 대쉬로 사용하면 볼 수 있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