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29:49

푸른 피안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귀멸의 칼날/설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키부츠지 무잔
, 도깨비(귀멸의 칼날)
,
,
,
,

<rowcolor=#fff>푸른 피안화
[ruby(青,ruby=あお)]い [ruby(彼,ruby=ひ)][ruby(岸,ruby=がん)][ruby(花,ruby=ばな)] | Blue Spider Lily
파일:Kimetsu_BlueLycoris.png
[1]

1. 개요2. 작중 언급3. 효능4. 비판5. 귀멸 학원!6. 관련 문서

1. 개요

만화 귀멸의 칼날에 등장하는 꽃. 말 그대로 파란 꽃잎의 석산이다.

무잔이 찾아다니는 꽃. 무잔이 구태여 도깨비들을 늘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2. 작중 언급

무한열차 편의 에필로그, 아카자무잔의 대화에서 최초로 언급된다.

이후 상현 소집에서 무잔의 입을 통해 다시 한 번 언급, 상현들이 푸른 피안화를 찾기는커녕 귀살대조차 전멸 시키지 못한다고 존재 의의를 모르겠다며 꾸짖는다.

대장장이 편의 막바지에서 드러난 무잔의 과거 회상에서 그 전모가 공개되는데, 헤이안 시대 병약했던 인간 무잔을 도깨비로 만들어 버린 게 그 푸른 피안화로 만든 약이라고 한다.

이 약을 복용하며 치료 받던 도중, 기력의 회복에 진전이 없다고 판단해 분노에 휩싸인 무잔이 그만 자신을 지극정성으로 돌보던 의사를 죽여버리고 만다. 하지만 약의 효과가 뒤늦게 나타나 무잔은 초인적인 힘을 손에 넣게 되는데, 의사에게서 끝까지 온전한 진료를 받지 못한 부작용 때문인지 햇빛 아래로 나갈 수는 없었다.

그제서야 무잔은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을 도깨비로 만든 약의 재료들을 찾아다녔으나, 그 중 푸른 피안화 하나만은 도저히 찾을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무잔은 태양을 극복하는 체질의 도깨비를 찾아 늘린 도깨비들을 동원해 장장 1000년에 걸쳐 푸른 피안화를 찾았으나 끝내 찾지 못했고, 예상치 못한 태양을 극복한 도깨비의 등장에 푸른 피안화에 대해 완전히 관심을 거두고 그 쪽에 총력을 기울이게 된다. 결국 최종전이 끝나고 자신이 죽을 때까지 피안화의 행방은 알 수 없었고, 결말에서야 그 장소가 언급된다. 바로 탄지로네 집 앞, 요리이치의 아내인 우타의 무덤의 위였다.

작중 주요 인물이 온갖 고초를 겪으며 찾던 것이 사실 시작 지점에 있었다는 반전은 벨기에의 동화 파랑새처럼 허무함, 아이러니를 나타내는 흔한 소재다. 사실 평온한 삶을 살고 싶었다면 무잔의 초인적인 능력 덕분에 조용히만 산다면 누구도 그를 죽일 수 없었겠지만 이런 극악한 방법을 동원하여 찾던 바람에 수많은 사람들의 원한을 사고 그들의 원한이 서린 조직의 추격을 받아서 결국 죽게 된다. 정작 그 꽃은 이미 지나간 곳에 피어 있고, 그 꽃은 낮에 피어 있기 때문에 도깨비를 풀어 찾는 방법으로는 절대 찾을 수 없었다, 라는 것이 소박하기 그지없는 무잔의 욕망과 그걸 이루기 위함이라 하기에는 이해할 수 없는 사악한 행적을 대비 시키고자 하는 의도의 끝맺음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에필로그에서 나온 바로는, 원래부터 다 자라고 며칠 만에 시드는 굉장히 생명력이 약하고[2] 희귀한 식물인 데다 낮에만 꽃을 피운다. 즉, 햇빛 아래로 나갈 수 없는 몸이 된 무잔은 자력으로 절대 찾을 수 없었던 것이다. 팬북에서 밝혀진 설정에 따르면 푸른 피안화는 원래 꽃을 피우는 것이 굉장히 힘들며 조건이 맞지 않으면 1년 동안 한 번도 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탄지로의 집 근처에도 푸른 피안화가 있었으나 꽃이 피는 경우가 굉장히 희귀해 푸른 피안화를 본 것은 탄지로키에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푸른 피안화가 피어있던 자리는 요리이치의 아내인 우타가 묻혀있던 자리라고 한다.

현대에 이노스케의 증손자인 아오바에 의해서 세상에 공개되었으나 실수로 시들게 해버렸다고 한다. 이 꽃에는 지금까지 본 적 없는 성분이 있었고 이 성분을 연구하고자 했던 외국 학자들의 비난이 쏟아졌다고 한다. 물론 푸른 피안화의 생명력이 매우 약한 데다가 안에 있던 새로운 성분이라는 것이 어떤 일을 초래했었는지를 생각해보면 오히려 멸종하는 것이 인류에게 다행이라고 볼 수 있다.

무잔의 언급에 의해 푸른 피안화가 짙푸른 색으로 묘사되지만, 204화에 공개된 바에 따르면 푸른 피안화는 오히려 창백한 색으로 채색되며, 루이전에서 나타난 탄지로의 주마등에서도 이와 같은 묘사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자연산의 푸른색 식물들이 띄는 것처럼 백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인다. 즉 무잔은 자신이 찾던 피안화를 발견해도 본인은 알아볼 수 없을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로 약 1000년에 걸쳐 도깨비들이 찾아 헤맸음에도 불구하고 귀살대 측에선 이런 움직임을 파악하지 못했는지 푸른 피안화는 오로지 무잔과 다른 도깨비들 사이에서만 거론된다. 물론 귀살대 입장에서야 무잔과 도깨비의 소재 및 그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의 차단이 주된 관심사이니 그럴 수도 있는 일이지만, 무잔의 측근으로서 오랜 세월 함께 했을 타마요도 탄지로와의 대화나 막판 귀살대와 협력하면서 이에 대해 거론하지 않았던 것은 기묘한 일.

3. 효능

푸른 피안화를 재료로 만들어진 약이 병약했던 무잔을 도깨비로 만들었다. 무잔은 치료 도중 홧김에 의사를 죽여버려 당초 의사가 예정했던 치료를 다 끝내지 못해서인지 햇빛 아래에서는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다만 의사가 무잔의 치료라는 대전제 외에 어떤 의도로 이 약을 동원했는지 불명인 것처럼 푸른 피안화의 구체적인 효능이나 원리도 불능이라, 무잔이 설령 푸른 피안화를 찾아 약을 제조했다 해도 태양을 극복 가능했을지는 불명이다.

4. 비판

작품의 주적인 무잔의 기원이자 목표로서 중요한 설정이었으나, 비중에 비해 전혀 다뤄지지 않은 채 마지막에 밝혀진 비밀이나 설정이 작위적이고 엉성하기 그지없다는 이유로 결말에 대한 대표적인 비판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귀멸의 칼날/비판 및 논란/설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귀멸 학원!

학교 전체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최신식 슈퍼 컴퓨터로 나온다.

6.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 이미지는 애니메이션 2기 1화에서 아카자의 언급을 통해 공개된 푸른 피안화의 모습으로 1기 ED 첫 장면의 팔레트 스왑 버전이다.[2] 정작 그 효능은 푸른 피안화와 마찬가지로 생명력이 약하던 무잔이 1000년을 넘게 장수하게 만들 정도의 강력한 생명력을 부여했다는 것이 아이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