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9:26:55

포뮬러 1/2019시즌/7R~12R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1R~6R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포뮬러 1/2019시즌/13R~17R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2. 파일:캐나다 국기.svg 7R : 포뮬러 1 피렐리 그랑프리 드 캐나다 2019 (캐나다 GP)
2.1. 퀄리파잉2.2. 레이스
3. 파일:프랑스 국기.svg 8R : 포뮬러 1 그랑프리프랑스 2019 (프랑스 GP)
3.1. 퀄리파잉3.2. 레이스
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9R : 포뮬러 1 마이월드 그로서 프라이스 폰 외스터라이히 2019 (오스트리아 GP)
4.1. 퀄리파잉4.2. 레이스
5. 파일:영국 국기.svg 10R : 포뮬러 1 롤렉스 영국 그랑프리 2019 (영국 GP)
5.1. 퀄리파잉5.2. 레이스
6. 파일:독일 국기.svg 11R : 포뮬러 1 메르세데스-벤츠 그로서 프라이스도이칠란트 2019 (독일 GP)
6.1. 퀄리파잉6.2. 레이스
7. 파일:헝가리 국기.svg 12R : 포뮬러 1 롤렉스 마자르 나그디 2019 (헝가리 GP)
7.1. 퀄리파잉7.2. 레이스

1. 개요

포뮬러 1의 2019 시즌 중 7R부터 12R까지를 정리한 문서.

2. 파일:캐나다 국기.svg 7R : 포뮬러 1 피렐리 그랑프리 드 캐나다 2019 (캐나다 GP)

2.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10.240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206s 2번째
P3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680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0.831s 4번째
P5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839s 5번째
P6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861s 6번째
P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084s 7번째
P8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623s 8번째
P9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3.741s 11번째[-3][Impeding_ALB_Q1]
P1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No time PL[Chassis_chang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1:11.786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014s 9번째
P12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35s 10번째
P13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350s 12번째
P14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407s 13번째
P15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No time 14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12.122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75s 15번째
P17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108s 16번째
P18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44s 17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495s 18번째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271s 19번째 }}}}}}}}}
2019 캐나다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제바스티안 페텔이 시즌 첫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팀메이트인 샤를 르클레르도 3위에 들며 페라리는 모처럼 더블 포디움과 우승에 유리한 위치에서 스타트할 수 있었다. 메르세데스 팀에선 해밀턴이 2위를 차지하였으나, 보타스가 6위에 그치며 아쉬운 결과를 내었다.

한편 Q2 세션 종료 직후 케빈 마그누센이 마지막 코너에서 미끄러져 큰 충돌을 내며 대이변의 기록들을 연출하였다. 마그누센이 충돌 직전, 많은 드라이버들이 타임 트라이얼을 하고 있었으나, 그의 충돌 때문에 막스 베르스타펜이 11위로 Q2에서 탈락하였으며, 팀메이트인 로맹 그로장 역시 랩타임을 기록하지 못하며 No time으로 15위에 그쳤다. 팀라디오로도 그로장 역시 깊은 분노를 감추지 않았으며, 마그누센은 가까스로 Q3에 진출했으나, 섀시 교체로 인해 익일 레이스는 피트레인 스타트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2.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29:07.084 (70랩) 25
2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3.658s[+5s][Forcing_off_HAM] 18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4.696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51.043s 12+1[F]
5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57.655s 10
6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 Lap 8
7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 Lap 6
8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 Lap 4
9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2
10위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 Lap
12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7위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2 Laps
18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 Laps
DNF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59랩)[Collision_damage_GIO]
DNF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8랩)[Suspension]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13.078 (Lap 69)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24.6%
2019 캐나다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제바스티안 페텔이 폴 포지션을 차지하여 페라리 시즌 첫 우승이 기대됐지만 5초 페널티를 받으면서 루이스 해밀턴이 우승했고 동시에 메르세데스의 연속 우승이 그대로 이어졌다.

이번 그랑프리의 핫 이슈는 당연히 '5초 페널티'이다. 1위로 달리던 페텔이 3번 코너에서 오버스티어를 겪었고 4번 코너 옆 잔디를 가로질러 트랙으로 복귀했다. 트랙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2위로 달리던 루이스 해밀턴과 접촉할 뻔했지만 별 사건없이 그대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심판들은 '위험하게 트랙에 복귀했다(Unsafety Track Rejoin)'라며 페텔에게 5초 타임 페널티를 주었고 페텔을 납득할 수 없다는 팀 라디오로 강한 불만을 표했다. 즉, 해밀턴과 5초 이상 벌리지 못하면 그대로 우승을 해밀턴에게 내줘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 것. 현재 이 논란은 국내외 안 가릴 정도로 불거졌으며 대다수는 이 페넡티를 왜 줬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많다.


먼저 그 상황에서 페텔은 그립을 잡기 위해 애를 썼고 그립을 잡지못하면 벽에 충돌되는 상황이었다. 페텔은 카운터스티어링을 활용하여 그 상황을 피하였고 그때 루이스 해밀턴과 접촉할 뻔했다. 고의성이 없었고 전 사례 등을 보았을 때 별 징계 없이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었다.[후에] 사건 영상을 보면 페텔이 트랙을 벗어날 때, 트랙에 복귀했을 때 그립을 잃어버렸고 카운터스티어링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것을 종합해보면 페텔은 해밀턴을 블럭한 것이 아니라 그립을 잡기 위해서 차를 조종하였다고 본다.

심지어 2017 시즌 이탈리아 그랑프리에서 나온 페르난도 알론소'Five seconds it's a Joke'라는 말이 다시 나오는 상황. 일단 페라리 측은 판정 번복이 안되면 항소를 하겠다고 표명했고 실제로 항소를 하였다. 하지만 FIA측은 항소를 기각하면서 페라리 팬과 안티들의 논쟁이 잠시 일기도 했었다. 근데 사례를 봐도 여태 FIA측이 항소를 받아들여서 판정을 번복한 일이 거의 없다.

한편 메르세데스는 보타스의 슬럼프가 걱정거리가 되었다. 모나코에서 4등으로 마무리한 보타스가 이번 레이스에서도 4등으로 마무리하여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레드불은 베르스타펜이 9그리드에서 출발하여 5등으로 경기를 마무리하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가슬리가 5그리드에서 출발하여 8등으로 마무리하는 안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가슬리는 르노의 휠켄버그와 리카르도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는 등 레드불의 레이서에 걸맞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의견이 많다.

르노는 리카르도와 휠켄버그가 각각 6위와 7위를 차지하면서 오랜만에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레이싱 포인트는 랜스 스트롤이 홈 레이스에서 9위로 피니쉬하며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반면 하스는 중위권 팀들 중 이번 레이스에서 제대로 죽을 쒔다. 퀄리파잉에서 케빈 마그누센이 Q2에서 혼자 벽에 들이받고 자폭을 해버리는 바람에 근처에 있던 로맹 그로장의 랩타임을 망쳐버렸고, 결국 그로장이 14위, 마그누센이 뒤에서 2등인 17위로 레이스를 마무리하며 영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마그누센은 팀 라디오를 통해서 반쯤 멘붕한 상태로 차에 대해서 징징댔다가 급기야 군터 스타이너 감독에게 "궁시렁대는 것 좀 작작해라" 며 한 소리 듣기도 했다.

파일:2019 f1 canada.gif
1위와 2위 피켓을 바꿔 버린 페텔. 얼마나 납득이 안갔으면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62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33
3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00
4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88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72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295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172
3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24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30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28

3. 파일:프랑스 국기.svg 8R : 포뮬러 1 그랑프리프랑스 2019 (프랑스 GP)

3.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28.319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286s 2번째
P3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646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090s 4번째
P5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099s 5번째
P6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203s 6번째
P7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1.480s 7번째
P8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599s 8번째
P9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865s 9번째
P1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5.101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30.421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040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112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0.123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317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019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1:31.445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19s 19번째[Last_place][Power_unit_elements]
P17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181s 16번째
P18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281s 17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344s 20번째[Last_place][Power_unit_elements]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760s 18번째 }}}}}}}}}
2019 프랑스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차량의 퍼포먼스가 순위에 직결되기 쉬운 이곳에서 메르세데스 듀오가 프런트 로우를 독점하며 좋은 주말의 시작을 알렸다. 그 뒤로는 페라리의 제바스티안 페텔이 아닌 샤를 르클레르가 들어서며 모처럼 좋은 그리드를 차지하였다. 페라리에게 아쉬운 점은 정작 페텔이 7위에 그친 것. 그를 앞선 드라이버들은 막스를 포함한 것과 더불어, 다름 아닌 맥라렌 듀오였다. 지난 시즌에 비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지만, 이 경기 전까지 이렇다할 임팩트 있는 숏런을 선보이지는 못했는데, 비로소 맥라렌의 발전을 이곳에서 보임으로써 맥라렌 팬들에게 기쁨을 선사해주었다. 두 드라이버가 모두 좋은 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한 만큼, 익일 레이스에서 어떤 전략을 들고 나올지도 지켜봐야 할 요소이다.

레드불은 한편,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피에르 가슬리가 9위에 그치며 또 다시 한숨을 내뱉을 수밖에 없었고, 또 다른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르노 팀은 다니엘 리카도가 8위로 분전했으나, 니코 휠켄베르크는 13위에 그치며 아쉬움이 존재하였다. 하스 팀의 로맹 그로장은 17위로 Q1에서 탈락하며 실망스러운 결과를 맞이하였다.

3.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24:31.198 (53랩) 25
2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18.056s 18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8.985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34.905s 12
5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1:02.796 10+1[F]
6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35.462 8
7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6
8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 Lap 4
9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 Lap 2
10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 Lap[+10s][Track_advantage][Rejoin_Unsafely]
12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7위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 Lap
18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9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DNF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44랩)[기권] }}}}}}}}}
패스티스트 랩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32.740 (Lap 53)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26.4%
2019 프랑스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레이스 시작 전 그리드 순위에 잠시 변동 사항이 생겼었는데, 다닐 크비얏과 조지 러셀은 파워 유닛 부품의 할당량을 초과하였다는 이유로 페널티를 받아 그리드 후미인 19위, 20위로 각 순위를 배정받았다.

레이스 초반에는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가 막스 베르스타펜을 추월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6번쨰 랩에서 조지 러셀은 10번 코너 아웃라인에서 팀 동료 로버트 쿠비차에게 추월을 허용했으나, 트랙 밖으로 밀려나 트랙 거리 표시기를 들이받았다. 그 다음 랩에서 페텔은 사인츠와 노리스를 제치고 5위로 순위를 올렸다.

안토니오 지오비나치는 소프트 컴파운드 타이어의 성능 저하로 인해 페이스를 끌어올리기 위해 고군분투하였다. 이후 지오비나치는 8번째 랩에서 첫 번째로 피트인 하였다. 10번째 랩에서, 세르지오 페레즈는 첫번째 랩에서 트랙을 벗어나 이점을 보았다는 이유로 5초 페널티를 받았다. 스튜어드에 따르면 첫번째 랩에서, 4번 코너를 가로질렀기 때문에 페널티를 부여했다지만, 이 이후에도 페레즈는 알렉산더 알본과 케빈 마그누센을 제쳐 13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페널티를 받았어도 순위변동에는 별 지장이 없었다.

21번째 랩에서 베르스타펜은 첫 번째로 피트인하는 드라이버들중에서 상위권에 있었다. 샤를 르클레르는 다음 랩에서 피트인 하였으며, 이때 아직 피트인 하지 못한 페텔은 해밀턴에게 한참 뒤쳐져 있었으므로 해밀턴이 계속 선두를 유지하였다. 페텔은 다음 랩에서 피트인 한후 베르스타펜 다음으로 5위권 이내로 재진입하였다. 랜스 스트롤은 마지막으로 첫 번째 피트 인을 하였다.

레이스가 중반으로 접어들자, 로맹 그로장은 알수없는 차량고장으로 인해 45번째 랩에서 리타이어 하였다. 이때 VSC상황이 발동되어 50번째 랩까지 유지되었다.페텔은 경기 막바지에 이르러서야 마지막 랩에서 드라이버들 중 끝에서 두번쨰로 피트인하여 소프트 컴파운드 타이어로 교체한 후 패스티스트 랩을 기록하였다.

마지막 랩에서 차량 유압계 문제에 시달리던 노리스는 8번 코너 앞에서 다니엘 리카르도에게 추월당했다. 리카르도는 노리스를 트랙에서 밀어내어 코너안쪽을 차지하였고, 밀려난 노리스는 다시 트랙으로 복귀하였다 . 노리스가 트랙을 벗어난 틈을 타 키미 라이코넨과 니코 헐켄베르그가 노리스를 추월하였고, 이후 라이코넨이 리카르도를 추월하였다. 그러나 이후 리카르도는 다시 라이코넨을 제치고 7위에 올랐다. 리카르도는 경기가 끝난후 총 2차례의 5초 페널티를 받았는데, 첫번째는 안전하지 않게 트랙으로 다시 복귀한 것, 두번째는 트랙을 벗어나 이점을 본것 등이었다. 이로 인해 그는 기존의 포인트권에서 벗어나 11위로 순위가 하락하게 되었다.
이번 그랑프리에서는 노리스가 오늘의 드라이버로 선정되었으며, 최종적인 경기 순위는 해밀턴-보타스-르클레르 순으로 체커기를 받았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87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51
3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11
4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00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87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338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198
3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37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40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32

4.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9R : 포뮬러 1 마이월드[19] 그로서 프라이스 폰 외스터라이히 2019 (오스트리아 GP)

4.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03.003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259s 4번째[-3][Impeding_RAI_Q1]
P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436s 2번째
<colcolor=#fff> P4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534s 3번째
P5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069s 10번째[-5][Gearbox]
P6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096s 5번째
P7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163s 6번째
P8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176s 7번째
P9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196s 8번째
P1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No time 9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1:04.466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024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0.050s 15번째[-5][Power_unit_elements]
P13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99s 18번째[Last_place][Power_unit_elements]
P14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0.324s 12번째
P15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9.135s 19번째[Last_place][Power_unit_element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1:04.778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11s 13번째
P17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054s 14번째
P18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546s 16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126s PL[Parc_ferme]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428s 17번째 }}}}}}}}}
2019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페라리는 파워 유닛의 힘을 통해 직선 주로에서 이번 시즌에 큰 힘을 얻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페라리의 레이스카를 탄 샤를 르클레르가 시즌 두 번째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웃을 수 있었다. 챔피언십을 독주하는 해밀턴을 0.2초 차이로 누르고 차지한 폴 포지션이며 레드불의 홈 팬들 앞에서 막스 베르스타펜과 함께 프런트 로우에 서게 되었다. 다만 페라리의 제바스티안 페텔이 또 다시 아쉬운 퀄리파잉을 맞이했는데, 차량 이슈로 인해 Q3에 나오지 못하며 10위를 기록하며 익일 레이스는 9번째에서 스타트할 수밖에 없었다.

메르세데스 듀오는 세컨드 로우에서 스타트하며 아쉬운 결과를 보였으나, 레이스에선 어찌될지 모르기에 충분히 우승과 더블 포디움을 노릴 수 있게 되었고, 팀의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레드불은 막스에게 시즌 첫 우승을 기대할 수 있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피에르 가슬리가 저조한 퀄리파잉을 치루며 해결되지 않은 숙제를 떠안고 가게 되었다. 하스의 케빈 마그누센은 기어박스 교체로 인한 페널티가 아쉬우나, 5위를 기록하며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고, 맥라렌의 신예 노리스가 이번에도 좋은 기록으로 상승세를 보여주었다.

4.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22:01.822 (71랩) 25+1[F]
2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2.724s 18
3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18.960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19.610s 12
5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22.805s 10
6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 Lap 8
7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 Lap 6
8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 Lap 4
9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2
10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2위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 Lap
17위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8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9위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2 Laps
20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 Laps }}}}}}}}}
패스티스트 랩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07.475 (Lap 60)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74%
2019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베르스타펜이 18년도에 이어 19년도에도 레드불 서킷에서 레드불 카로 우승하며 혼다 엔진이 13년만에 첫 우승을 해냈고, 시즌 최초로 메르세데스 외의 팀이 우승했으며, 시즌 최초로 루이스 해밀턴이 포디엄에 들지 못했다.

페라리의 유망주 샤를 르클레르가 바레인에 이어 두 번째 폴 포지션을 차지하며 경기 스타트. 2위로 출발한 해밀턴이 코스 이탈로 인해 프론트 윙을 깨먹고 베르스타펜 역시 좋은 스타트를 하지는 못하면서 르클레르가 1위로 달리던 도중, 르클레르가 조금 일찍 하드 타이어로 교체했다. 베르스타펜은 그보다 10랩 늦게 피트인 하여 하드 타이어로 교체했는데, 이때부터 베르스타펜이 미친듯한 페이스로 앞의 차들을 추월하며 르클레르를 따라잡기 시작했다. 결국 경기 종반에 이르러 르클레르와 베르스타펜의 배틀이 시작됐는데, 이른 피트인으로 인한 타이어 마모와 더불어 DRS 존이 3개나 되는 레드불 링에서 맥스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결국 피니시를 3랩 앞둔 69랩째, 3번째 코너 이전 긴 DRS 존에서 막스 베르스타펜이 인사이드를 차지하며 르클레르와 타이어 컨택이 일어났다. 결국 르클레르는 트랙 밖으로 밀려 포지션을 양보해야만 했다.

파일:max_leclerc_battle_austria2019.gif

이후 르클레르가 베르스타펜을 따라잡지 못하며 베르스타펜 우승. 이 컨택으로 인해 FIA에서 공식 조사가 들어가기도 했지만 결과가 변동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레이스 종반에 이르러 벌어진 치열한 싸움이 올해 들어 가장 긴장감 넘치는 장면이었기에, 커뮤니티에선 팬들의 찬사와 함께 베르스타펜의 영재성에 대한 코멘트들이 쏟아지는 그랑프리였기도 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97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66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26
4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23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05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363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228
3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69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52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32

5. 파일:영국 국기.svg 10R : 포뮬러 1 롤렉스 영국 그랑프리 2019 (영국 GP)

5.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25.093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006s 2번째
P3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079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183s 4번째
P5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497s 5번째
P6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0.694s 6번째
P7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089s 7번째
P8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131s 8번째
P9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252s 9번째
P1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293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1:26.403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116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143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0.175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0.354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525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26.649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013s 16번째
P17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072s 17번째
P18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13s 18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140s 19번째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608s 20번째 }}}}}}}}}
2019 영국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마지막까지 치열했던 퀄리파잉 끝에 발테리 보타스가 팀메이트이자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루이스 해밀턴을 0.006초 차이로 누르고 폴 포지션을 차지하였다. 그 뒤로 랩 타임을 기록한 페라리의 샤를 르클레르도 폴 포지션을 노리는 듯 하였으나 0.079초가 모자라며 아쉽게 3그리드를 차지하였다. 빅3 팀의 드라이버들이 서로 0.7초도 차이나지 않을 정도로 치열한 숏런들을 선보였고, 익일 레이스도 보다 흥미진진한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뒤로는 중위권을 리드하는 르노의 다니엘 리카도와 맥라렌의 랜도 노리스가 7,8위를 차지하며 근소한 격차만을 보였고, 이외의 중위권 드라이버들의 순위도 혼잡하게 섞이며 흥미로운 퀄리파잉을 선보였다.

5.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21:08.452 (52랩) 25+1[F]
2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24.928s 18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30.117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34.692s 12
5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39.458s 10
6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53.639s 8
7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54.401s 6
8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05.540 4
9위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06.720 2
10위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12.733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14.281
12위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15.617
13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21.086
14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 Lap
16위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1 Lap[+10s][Causing_a_Collision_VER]
17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DNF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8랩)[Spun_off]
DNF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9랩)[Collision_damage_MAG]
DNF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6랩)[Collision_damage_GRO] }}}}}}}}}
패스티스트 랩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27.369 (Lap 52)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0.6%
2019 영국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레이스 초반 해밀턴과 발테리의 실버 애로우 리매치가 벌어졌고, 이들의 배틀은 4랩만에 해밀턴이 보타스를 추월하며 해밀턴의 홈 그랑프리 우승으로 마무리 되었다. 해밀턴은 여기에 패스티스트 랩까지 기록하며 그야말로 완벽한 홈 그랑프리를 완성할 수 있었다.

레이스 중후반에는 르클레르와 막스 그리고 페텔의 휠 투 휠 배틀이 명장면 이었다. 다만, 막스는 37랩 째에 페텔을 추월하는 데에 성공하였으나, 직후에 페텔에게 리어를 받히며 순위를 대거 잃었으나, 이후 순위를 5위까지 올리는 데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페텔은 리타이어에 가까운 15등으로 마무리 하며 아쉬운 레이스를 펼치게 되었다. 여러모로 페라리로서는 포인트마저 날려버렸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

중위권에선 컨스트럭터 4위 팀인 맥라렌의 사인츠가 마지막까지 르노의 다니엘 리카도를 방어한 끝에 6위를 사수하며 고득점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랜도 노리스가 아쉽게 포인트 피니쉬에 실패하며 더블 포인트를 이룬 르노 팀에게 1점만 달아나는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였다. 알파 로메오의 베테랑 키미는 8위로 올라서며 다시금 그의 관록을 영국에서 선보였다. 다닐 크비얏은 17위에서 출발하여 9위까지 오르는 기염을 토하며 토로 로쏘 복귀 후 최상의 페이스를 이번 경기에서도 보여주었다.

하스에겐 최악의 주말에 가까웠다. 연습 세션 때 로맹 그로장이 피트레인에서 스핀하는 기행을 벌이더니, 레이스에선 케빈 마그누센과 그로장 둘이서 배틀하다가 서로 컨택이 일어났고, 이로 인해 리타이어하는 참사를 맞이하였다. 하스 팀 입장에선 큰 침체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부정적인 일들만 맞이하고 있기에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23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84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36
4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23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20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07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243
3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91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60
5
파일:르노 2015 로고.png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르노
39

6. 파일:독일 국기.svg 11R : 포뮬러 1 메르세데스-벤츠 그로서 프라이스도이칠란트 2019 (독일 GP)

파일:13BFD2FC-BAB9-4598-8551-31BCE72F1FCF.jpg
독일 GP를 앞두고 메르세데스-벤츠의 모터스포츠 참가 125주년을 기리는 의미에서 세이프티 카와 메디컬 카 또한 전면 엔진 본넷에 125주년 기념 로고가 부착되었다.

6.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11.767 1번째
P2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346s 2번째
P3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362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755s 4번째
P5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771s 5번째
P6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084s 6번째
P7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130s 7번째
P8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298s 8번째
P9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359s 9번째
P10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No time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12.776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010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013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0.023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359s 14번째
P15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674s 15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1:13.278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0.055s 19번째[Last_place][Power_unit_elements]
P17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83s 16번째
P18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443s 17번째
P19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561s 18번째
-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No time[107%] 20번째[Q][-10][Power_unit_elements] }}}}}}}}}
2019 독일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Q1에서 제바스티안 페텔의 차에 문제가 생겨 랩타임 기록도 못하고 최후미로 퀄리파잉을 마치는 사태가 발생했다.[44] Q3에선 차의 결함으로 인해 샤를 르클레르도 타임 트라이를 포기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와 별개로, 홈 그랑프리를 맞이한 메르세데스 팀은 해밀턴이 폴 포지션, 보타스가 3위를 차지하며 좋은 성적을 기록했고, 레드불은 막스가 2위, 가슬리가 한층 더 나아진 모습을 보이며 4위에 오르며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중위권 쪽에서는 알파 로메오가 예상 밖의 강세를 보였다. 팀의 세컨 드라이버인 안토니오 지오비나치는 11위로 불과 0.01초 차이로 아깝게 Q2에서 탈락하였고, 키미는 5위에 오르는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팬들을 다시 한 번 놀라게 하였다. 지난 경기 더블 리타이어라는 참사를 맞이한 하스 팀은 그로장이 6위에 오르며 좋은 레이스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레이싱 포인트도 모처럼 페레즈가 8위에 오르며 톱10 피니쉬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6.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1:44:31.275 (64랩) 25+1[F]
2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7.333s 18
3위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8.305s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8.966s 12
5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9.583s 10
6위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0.052s 8
7위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6.838s 6
8위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8.765s 4
9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19.667s 2
10위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4.987s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6.404s
12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2.214s[+30s][Driver_aids]
13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43.849s[+30s][Driver_aids]
14위 <rowcolor=#000>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61랩)[90%][Collision_ALB]
DNF <rowcolor=#000>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56랩)[Accident]
DNF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39랩)[Accident]
DNF <rowcolor=#000>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27랩)[Accident]
DNF <rowcolor=#000>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25랩)[Power_loss]
DNF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13랩)[Exhaust]
DNF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1랩)[Accident] }}}}}}}}}
패스티스트 랩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16.645 (Lap 61)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20.9%
2019 독일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레이스 당일날 아침부터 경기 직전까지 폭우가 내려 노면이 매우 미끄러운 상태에서 경기가 시작되었다.

2랩부터 세르히오 페레스의 사고[58]로 인해 SC가 등장하게 되면서 이번 레이스가 이상하게 진행될 기미를 보였다. 결국 15랩때 다니엘 리카도는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하게 되고, 26랩때 막스 베르스타펜는 혼자서 스핀하지 않나, 29랩때 루이스 해밀턴은 실수로 인해 외벽과 충돌하면서 프론트 윙의 왼쪽을 날려먹지 않나, 잠깐 괜찮아질만 하면 누군가 스핀하고 접촉사고[59] 내고 리타이어하는 등 SC가 4번, VSC가 3번이나 등장할 정도로 사고가 미친듯이 나왔다. 게다가 메르세데스 입장에서도 출전 125주년 기념 경기라 모든 크루들이 이벤트 복장을 하고 경기에 나왔으나, 보타스는 리타이어해밀턴은 피트스탑 삽질로 성적은 좋지 않았다.

특히 16번 코너에서 서로 사이좋게 실수를 하는 장면이 너무 많이 나와 하이라이트가 만들어질 정도였는데 이런 혼돈의 경기에서 가장 맨 뒤에서 출발한 제바스티안 페텔2등까지 했다.

게다가 3위는 다름 아닌 다닐 크비얏, 정말 오랜만에 토로 로쏘 의 드라이버가 포디엄에 올랐다.

여담으로, 로버트 쿠비차의 시즌 유일한 포인트를 가져다주었다.

결국 DNF가 무려 7명[60]이나 발생하는 대참사가 벌어지고, 등수가 계속해서 바뀌면서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경기가 펄쳐졌다.

이후 팬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에 힘입어 F1은 공식 유튜브에 20분짜리 확장판을 올렸다. 게다가 영상의 길이도 20:19.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25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84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62
4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41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20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09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261
3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17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70
5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42

7. 파일:헝가리 국기.svg 12R : 포뮬러 1 롤렉스 마자르 나그디 2019 (헝가리 GP)

7.1. 퀄리파잉

퀄리파잉 (Q3 결과)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bgcolor=#000> P1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14.572 1번째
P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0.018s 2번째
P3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 0.197s 3번째
<colcolor=#fff> P4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0.471s 4번째
P5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0.499s 5번째
P6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0.878s 6번째
P7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228s 7번째
P8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280s 8번째
P9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 1.441s 9번째
P1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469s 10번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2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3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1:16.518 Q3 진출
P11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0.047s 11번째
P12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69s 12번째
P13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0.174s 13번째
P14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0.286s 17번째[-3][Impeding_STR_Q1]
P15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0.563s 14번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Q1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출발 그리드
<colcolor=#fff><colbgcolor=#000> Q2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1:16.978 Q2 진출
P16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0.053s 15번째
P17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131s 16번째
P18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0.279s 20번째[Last_place][Power_unit_elements]
P19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0.564s 18번째
P20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1.346s 19번째 }}}}}}}}}
2019 헝가리 그랑프리 퀄리파잉 하이라이트

지난 경기에서 우승을 기록한 막스 베르스타펜이 전반기 마지막 경기인 이곳 헝가리에서 시즌 첫 폴 포지션을 획득하였다. 큰 강세를 보인 이곳 헝가로링이었기에 메르세데스의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었지만, 퀄리파잉에선 막스가 완벽한 숏런을 선보이며 메르세데스의 프런트 로우 독점을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롱런에선 메르세데스도 만만치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에 익일 레이스는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페라리 팀은 르클레르와 페텔이 4-5위를 기록하며 무난한 결과를 선보였고, 레드불의 피에르 가슬리는 다소 뒤쳐진 6위로 퀄리파잉을 마무리 지었다.

중위권에선 맥라렌이 매우 좋은 모습으로 7-8그리드를 확보하였다. 라이벌 팀인 르노는 다니엘 리카도가 18위로 충격의 Q1 탈락을, 니코 휠켄베르크는 11위로 Q2에서 탈락하며 아쉬운 결과를 맞이한 것과 달리 익일 레이스에서 맥라렌이 더 좋은 결과를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 경기에서 깜짝 포디움을 기록한 다닐 크비얏은 13위로 무난한 결과를 가져왔으며, 숏런에서 좋은 모습들을 보이고 있는 하스와 알파 로메오도 그로장과 키미가 톱10에 들며 포인트 피니쉬의 가능성을 높였다.

한편, 이번 시즌 내내 최하위권으 맴돌고 있는 윌리엄스 팀의 신인 조지 러셀이 꼴찌를 벗어난 16위를 기록하였다. 그것도 Q2 진출까지 고작 0.053초만이 모자랄 뿐이었으며, 그 뒤로는 베테랑인 세르히오 페레스와 다니엘 리카도 등을 누르고 세운 놀라운 기록이었다. 비록 롱런 페이스에선 여전히 압도적인 최하위를 기록하는 윌리엄스이지만 익일 레이스에서 얼마나 버텨줄지도 주목해야 할 요소이다.

7.2. 레이스

레이스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점수(pts)
우승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1:35:03.796 (70랩) 25
2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파일:패스티스트랩.png
+ 17.796s 18+1[F]
3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 1:01.433 15
<colbgcolor=#000><colcolor=#fff> 4위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 1:05.250 12
5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55.
[[스페인|]][[틀:국기|]][[틀:국기|]]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 (맥라렌 - 르노)
+ 1 Lap 10
6위
파일:레드불 심볼.svg
10.
[[프랑스|]][[틀:국기|]][[틀:국기|]] 피에르 가슬리 (레드불 레이싱 - 혼다)
+ 1 Lap 8
7위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키미 라이코넨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1 Lap 6
8위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 1 Lap 4
9위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4.
[[영국|]][[틀:국기|]][[틀:국기|]] 랜도 노리스 (맥라렌 - 르노)
+ 1 Lap 2
10위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3.
[[태국|]][[틀:국기|]][[틀:국기|]] 알렉산더 알본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1 Lap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포인트권 이하 결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순위 드라이버 (컨스트럭터) 기록
<colbgcolor=#000><colcolor=#fff> 11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1.
[[멕시코|]][[틀:국기|]][[틀:국기|]] 세르히오 페레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1 Lap
12위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27.
[[독일|]][[틀:국기|]][[틀:국기|]] 니코 휠켄베르크 (르노)
+ 1 Lap
13위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20.
[[덴마크|]][[틀:국기|]][[틀:국기|]] 케빈 마그누센 (하스 - 페라리)
+ 1 Lap
14위 <rowcolor=#000>
파일:르노 2015 로고.png
3.
[[호주|]][[틀:국기|]][[틀:국기|]] 다니엘 리카도 (르노)
+ 1 Lap
15위 <rowcolor=#000>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26.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다닐 크비얏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 2 Laps
16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63.
[[영국|]][[틀:국기|]][[틀:국기|]] 조지 러셀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2 Laps
17위 <rowcolor=#000>
파일:레이싱 포인트 원형 로고.png
18.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랜스 스트롤 (레이싱 포인트 - BWT 메르세데스)
+ 2 Laps
18위 <rowcolor=#000>
파일:알파 로메오 로고.png
99.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안토니오 지오비나치 (알파 로메오 레이싱 - 페라리)
+ 2 Laps
19위 <rowcolor=#000>
파일:윌리엄스 W 로고.png
88.
[[폴란드|]][[틀:국기|]][[틀:국기|]] 로버트 쿠비차 (윌리엄스 - 메르세데스)
+ 3 Laps
DNF <rowcolor=#000>
파일:Haas-F1-Team-Logo-2019.png
8.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로맹 그로장 (하스 - 페라리)
(49랩)[Water_pressure] }}}}}}}}}
패스티스트 랩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레이싱 - 혼다)
1:17.103 (Lap 69)
드라이버 오브 더 데이 26.2%
2019 헝가리 그랑프리 하이라이트

이번 헝가리 그랑프리에서는 우승을 두고 해밀턴과 베르스타펜의 치열한 대결이 인상 깊었다고 볼 수 있다. 초반부터 해밀턴이 치고 나갈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르게 막스가 잘 막아내기도 하였지만, 67랩때 직선 주로 끝부분 에서 DRS로 따라잡고 브레이킹+코너링으로 추월해가는 모습이 백미. 이번 시즌 헝가리에서 우승한 장면이 메르세데스의 시즌 요약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전반기 마지막 경기를 화려하게 해밀턴이 장식하면서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도 8위에 그친 보타스를 62점 차로 따돌리며 압도적인 시즌을 완성하고 있다. 반면, 보타스는 이번 경기 8위로 레드불의 막스와 7점 차만을 남겨두게 되었고, 페라리 듀오는 여전히 톱3에 진입하지 못한 채 5위권을 전전하게 되었다. 레이스에선 보타스와 가슬리가 뒤로 떨어지며 3-4위권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몇 주 전부터 흘러나오는 가슬리 강등 루머가 현실이 되고 토로 로쏘에서 크비얏이나 알본이 콜업된다면, 포디움권을 넘보기가 더욱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맥라렌은 노리스가 9위에 그쳤으나 사인츠가 또 다시 5위로 완주하며 좋은 포인트를 수확할 수 있었다. 알파 로메오는 키미가 7위로 완주하며 좋은 결과들을 지속적으로 적립하고 있다. 이번 경기에서 또 다른 흥미진진한 배틀로는 토로 로쏘 듀오의 배틀이었는데, 알본과 크비얏이 코너를 이어가며 연속 휠투휠을 벌이는 장면은 그야말로 레드불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사투였다고 볼 수 있다. 접전 끝에 알본이 앞서서 완주하며 귀중한 1점을 확보한 알본이었다.

르노는 저조했던 퀄리파잉 성적으로 결국 레이스에서 만회하지 못한 채 포인트 수확에 실패하였고, 하스는 잘 달리던 로맹 그로장이 49랩 째에 수압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또 다시 포인트 획득에 실패했다. 전날 퀄리파잉에서 매우 좋은 모습을 보여준 조지 러셀은 레이스에서도 좋은 디펜스를 선보이며 16위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
레이스 종료 후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44.
[[영국|]][[틀:국기|]][[틀:국기|]] 루이스 해밀턴
메르세데스 250
2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77.
[[핀란드|]][[틀:국기|]][[틀:국기|]] 발테리 보타스
메르세데스 188
3
파일:레드불 심볼.svg
33.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막스 베르스타펜
레드불 181
4
파일:페라리 로고.svg
5.
[[독일|]][[틀:국기|]][[틀:국기|]] 제바스티안 페텔
페라리 156
5
파일:페라리 로고.svg
16.
[[모나코|]][[틀:국기|]][[틀:국기|]] 샤를 르클레르
페라리 132
레이스 종료 후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colbgcolor=#d0d0d0> 1
파일:메르세데스-벤츠 아이콘.svg

[[독일|]][[틀:국기|]][[틀:국기|]] 메르세데스
438
2
파일:페라리 로고.sv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페라리
288
3
파일:레드불 심볼.svg

[[오스트리아|]][[틀:국기|]][[틀:국기|]] 레드불 레이싱 - 혼다
244
4
파일:맥라렌 스피드마크.svg

[[영국|]][[틀:국기|]][[틀:국기|]] 맥라렌 - 르노
82
5
파일:toro rosso silver logo.png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 스쿠데리아 토로 로쏘 - 혼다
43


[-3] 3 그리드 페널티[Impeding_ALB_Q1] Q1에서 알렉산더 알본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Chassis_change] 섀시 교체로 인한 피트레인 스타트.[+5s] 5초 페널티[Forcing_off_HAM] 트랙 이탈 후 위험하게 트랙에 복귀함과 동시에 해밀턴을 벽으로 밀어내어 페널티 부여. 이에 따라 최종순위는 1위에서 2위가 되었다.[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Collision_damage_GIO] 지오비나치와의 충돌 이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Suspension] 서스펜션 문제로 리타이어.[후에] 컨퍼런스에서 해밀턴 본인도 이 징계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한것을 보면 전혀 고의적인 블로킹이 아니라는것 하지만 포인트는 날름했다[Last_place] 최후미 스타트 페널티[Power_unit_elements] 파워 유닛 부품 교체 할당량 초과로 인한 페널티 부여.[Last_place] [Power_unit_elements]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10s] 10초 페널티[Track_advantage] 트랙을 벗어나 시간 이득을 보게 되어 페널티 부여.[Rejoin_Unsafely] 트랙 이탈 후 위험하게 재진입하여 페널티 부여.[기권] 레이스 기권.[19] 오스트리아의 인터넷 마케팅 업체.[-3] [Impeding_RAI_Q1] Q1에서 플라잉 랩을 돌던 키미를 방해한 이유로 페널티 부여.[-5] 5 그리드 페널티[Gearbox] 기어박스 교체로 인한 페널티 부여.[-5] [Power_unit_elements] [Last_place] [Power_unit_elements] [Last_place] [Power_unit_elements] [Parc_ferme] 파크 페르메 상태에서 레이스 카 셋업을 교체하여 피트레인 스타트.[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10s] [Causing_a_Collision_VER] 막스와의 충돌 사고를 일으켜 페널티 부여.[Spun_off] 스핀 후 트랙에 복귀하지 못하고 리타이어.[Collision_damage_MAG] 마그누센과의 충돌 이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Collision_damage_GRO] 그로장과의 충돌 이후 레이스카 누적 대미지로 인해 리타이어.[Last_place] [Power_unit_elements] [107%] Q1 1위 기록의 107%를 초과.[Q] 스튜어드들의 허가를 받아 레이스 출전.[-10] 10 그리드 페널티[Power_unit_elements] [44] 페라리의 두 드라이버는 2019년에 각자의 자국에서 펼쳐진 퀄리파잉에서 Q1부터 떨어지는 진기록(?)이 세워졌다.[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30s] 30초 페널티[Driver_aids] 레이스 스타트에서 드라이버 보조 장치를 사용한 것이 적발되어 페널티 부여.[+30s] [Driver_aids] [90%] 레이스 전체 거리의 90%를 주파하여 순위 인정.[Collision_ALB] 알본과의 충돌로 리타이어.[Accident] 드라이빙 실수로 벽에 충돌해 리타이어.[Accident] [Accident] [Power_loss] 파워 손실로 리타이어.[Exhaust] 배기 시스템 문제로 리타이어.[Accident] [58] 미끄러운 노면으로 인해 차가 완전히 스핀하면서 벽과 충돌해 리타이어 되었다.[59] 심지어 56랩때 하스 F1 팀은 팀킬할 뻔도 했다.[60] 피에르 가슬리, 발테리 보타스, 니코 휠켄버그, 샤를 르클레르, 랜도 노리스, 다니엘 리카도, 세르히오 페레스[-3] [Impeding_STR_Q1] Q1에서 스트롤의 플라잉 랩을 방해하여 페널티 부여.[Last_place] [Power_unit_elements] [F] 패스티스트 랩 달성으로 인한 1포인트 부여[Water_pressure] 냉각수 압력 문제로 리타이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50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