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15:06:49

페루자


width=250
<colbgcolor=#482e92><colcolor=#fff> Perugia
페루자
{{{#!wiki style="margin: -16px -10px" 파일:Flag_of_Perugia.svg.png 파일:Perugia-Stemma.svg.png
<rowcolor=#fff> 깃발 문장 }}}
행정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움브리아[Regione]
페루자[2]
시간대 UTC+1
인문 환경
인구 161,228명[3]
인구 밀도 360명/km²
면적 449.5km²
정치
시장

[[무소속(정치)|
무소속
]] 비토리아 페르디난디
언어별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82e92><colcolor=#fff> 이탈리아어 Perugia
영어 Perugia
라틴어 Perusia }}}}}}}}}

1. 개요2. 역사3. 경제4. 관광5. 지진6. 출신 인물7. 자매도시8. 여담

1. 개요

파일:/pds/200901/22/84/a0102784_4977c5d761812.jpg

이탈리아 중부 페루자 현(Provincia di Perugia) 산하의 현할시이며, 움브리아 주의 중심지이다. 고대에는 '페루시아(Perusia)'로 불렸다. 이는 모래를 뜻한다.

2. 역사

움브리아족이 건설한 이후 에트루리아인의 세력 하에 들어갔으며, 기원전 310년부터 로마의 지배를 받았다. 6세기 말부터 랑고바르드 왕국의 영토가 되었는데, 이후 여러 세력들이 도시의 지배권을 놓고 분쟁을 벌였다. 이 때 동고트 왕국의 국왕인 토틸라가 당시 페루자의 주교였던 성 헤르쿨라누스를 채찍질한 다음 참수형에 쳐했는데, 이 주교는 나중에 페루자의 수호 성인이 되었다.

중세 시대 페루자는 이탈리아 중부의 주요 도시로 9세기 경 프랑크 왕국의 국왕 카롤루스 대제와 공동 황제인 루도비쿠스 1세의 동의 하에 교황령이 되었다. 하지만 페루자는 서서히 독립적인 도시로서 활동하기 시작했고 이 도시를 다스렸던 비오르도 미켈로티가 암살된 후 오디 가문과 발리오니 가문이 페루자를 지배하기 위해 다투었지만 그 뒤 15세기부터 자신들이 평소에 지지했던 교황의 영토인 교황령이 되었다. 그 이후로는 문화적으로 발전하였으며, 특히 라파엘로의 스승이자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했던 화파인 움브리아파의 지도자인 피에트로 페루지노가 여기에서 활동하였다. 이때 페루자는 약 2만 명의 인구가 모여 사는 도시와 그 도시를 둘러싼 부유한 농촌지역(Contado)로 이루어진 교황령의 중요한 도시였지만, 도시의 실세는 교황령의 관리들과 10명의 행정장관인 프리오리가 아닌 발리오니 가문의 통치를 받고 있는 형태였다. 이후 20세기 통일된 이탈리아에 귀속되었다.

3. 경제

현재의 주력 산업농업이며, 편리한 교통 환경을 이용하여 농산물 거래의 중심지가 자리잡았다. 이외에도 섬유식품 등의 공업이 발달하였는데, 특히 초콜릿으로 유명하다. 그래서 매년 10월에 초콜릿 축제인 유로 초콜릿을 개최한다.

4. 관광

주요 관광지로는 움브리아파의 미술품을 소장한 '움브리아 국립미술관' 등이 있으며, 고딕성당 등의 중세시대 유적이 많다.

5. 지진

5.1. 2016년 이탈리아 중부 지진

2016년 8월 24일(현지시간) 오전 3시 36분쯤 페루자에서 남동쪽으로 76km떨어진 곳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했다. 특히 지진 발생지역 인근에선 첫 지진 이후 규모 3.3~ 5.3의 여진이 8차례 발생했고 첫 지진의 진동으로 인해 수도 로마에서도 20초 간 건물이 흔들렸고 계속된 여진까지 느껴졌다. 2016년 8월 24일 오후 10시 3분 기준으로 이탈리아 방송사 스카이 TG24는 지금까지 사망자가 최소 21명이며, 실종자가 100명이라고 보도했다. 마테오 렌치 이탈리아 총리의 대변인은 트위터를 통해 " 정부가 지방 당국과 긴밀히 연락하여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조작업을 하면서 사망자 수는 증가하고 있는 모양.

5.2. 2016년 이탈리아 페루자 지진

동년 8월의 지진이 이제 좀 잠잠해 지나 싶더니 이번에는 동북쪽 59km 지점에서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 다행히 이번에는 전진이 있었던지라 피해는 적었지만 적잖은 타격을 입은 모양. 이번 지진으로 수천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그러나 알고보니 이것이 전진이었다! 30일, 규모 6.6의 강진이 발생했다.

6. 출신 인물

7. 자매도시

8. 여담


[Regione] 레조네[2] Provincia di Perugia[3] 2023년 6월 30일 기준.[4] 사실 안정환 사건의 경우에는 구단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루치아노 가우치 개인의 문제로 보는 것이 옳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