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0:39:37

퍼스 공항

퍼스 국제공항에서 넘어옴
퍼스 공항
Perth Airport
파일:PAPLLogo2018.png
공항코드
IATA PER
ICAO YPPH
주소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퍼스
개항
1942년
종별
민간(공공)
활주로
메인 활주로 03/21 (3,444 m × 45 m)
보조 활주로 06/24 (2,163 m × 45 m)
운영시간
24:00
운영기관
Westralia Airports Corporation
홈페이지
퍼스 공항 공식 홈페이지
지도

1. 개요2. 역사3. 공항 정보4. 취항 노선
4.1. 국제선
4.1.1. 1 터미널4.1.2. 3 터미널
4.2. 국내선
4.2.1. 1 터미널4.2.2. 2 터미널4.2.3. 4 터미널
5.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퍼스 공항.jpg 파일:Perth_Airport_Terminal_1.jpg
퍼스 공항 제1터미널
호주 퍼스 광역권에 위치한 공항이자 호주에서 4번째로 붐비는 공항이다. 지리적으로 가장 서쪽에 위치해있어 다양한 호주 국내선과 국제선은 아시아인도양 지역, 멀리는 남아프리카중동유럽까지도 운항하는 국제선 직항이 이 곳에서 출발한다.

2. 역사

3. 공항 정보

퍼스 공항의 지도
파일:T1-T2-Map.jpg 파일:T3-T4-Map.jpg
1 터미널과 2 터미널이 위치한 동쪽 구역 (중앙 구역)3 터미널과 4 터미널이 위치한 서쪽 구역 (콴타스 구역)

퍼스 공항은 두개의 구역으로 나눠줘 있다. 두 구역을 이동하는데는 고속도로를 경유하여 15분 정도 걸린다. 셔틀 버스가 있으며, 주간에는 20분, 야간에는 30분 정도 걸린다. 이 때문에 국제선과 국내선을 서로 다른 구역에서 취급하던 젯스타는, 국내선이 2 터미널로 이동하면서 환승이 횔씬 간편해 졌다.

1 터미널 국내선과 2 터미널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3 터미널은 4 터미널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터미널을 이용하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리저널 항공의 항공편이 2 터미널 게이트를 이용하거나, 4 터미널을 이용하는 콴타스가 3 터미널의 게이트를 이용하는 거는 꽤 자주 일어난다.

1 터미널은 리모델링 전만해도 시골 버스 터미널을 연상시키는(...) 인테리어를 자랑했었지만, 국내선 개장에 맞춘 리모델링후 호주 타 공항과 비교해도 꿀리지 않는 인테리어를 갖게 되었다.

1 터미널 국내선은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항공이 사용하는 터미널로, 터미널 건물 남쪽 일부분을 체크인, 보안 검사 그리고 수하물 수취대로 점유하고 있다. 게이트와 부대 시설은 주기장쪽에 새로 지어진 탑승동에 있으며, 2 터미널과는 보안 검색대 직후 연결되어 있다.

2 터미널은 FIFO[1]용 터미널로, 대형 대합실에서 모든 항공편을 처리하는게 특징이다. 본래 단거리 국내선만 취급했지만, 파산전 리저널 익스프레스 항공보잉 737을 이용한 국내선과 임시적으로 젯스타의 모든 국내선이 발착하고 있다.

3 터미널은 일반 터미널[2]겸 콴타스 국제선 터미널로, 남쪽 게이트를 가벽으로 막고 국제선을 취급할 수 있게 되어있다.

4 터미널은 콴타스 전용 터미널로, 콴타스 라운지가 위치하여 있다.

동쪽 구역에 있는 터미널은 공항선 에어포트 센트럴역에서 무빙워크를 타고 이용할 수 있다. 서쪽 구역에 있는 터미널은 래드클리프역에서 트랜스퍼스의 셔틀 버스를 타야지 이용할 수 있다.

4. 취항 노선

가끔 한국에서는 대한항공이 전세기나 임시편으로 직항을 띄우나 매우 적으며 비싸서 다들 환승을 이용한다.

동남아시아 경유가 코로나 판데믹을 지나며 가장 활성화되어서 방콕,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 호치민시 등 동남아시아 주요 공항들에서 환승한다.

애초 이 도시는 시드니보다 싱가포르, 쿠알라룸푸르, 자카르타 등 동남아시아 남단이 더 가까운 곳이다.

홍콩, 광저우홍콩/중국 본토 등을 경유하는 중국 경유편은 판데믹이 끝난 뒤 이용률이 급감했다.

의외로 옆나라 뉴질랜드 노선은 오클랜드 단 하나밖에 없다. 시드니, 브리즈번, 멜버른 보다 수요가 적고, 운항 스케줄도 좋지 않을 뿐더러 장거리 노선이라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인다.[3]

콴타스의 시설 투자 발표와 함께 오클랜드 그리고 요하네스버그행 복항이 발표되었다. 2024년 그리고 2025년에 복항한다고 한다.

4.1. 국제선

4.1.1. 1 터미널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Jetstar_Logo.svg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JQ애들레이드[국내], 덴파사르(발리), 싱가포르, 푸껫, 방콕
파일:에어 뉴질랜드 로고.svg[SA]
[[뉴질랜드|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NZ오클랜드
파일:전일본공수 로고.svg[SA]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NH도쿄(나리타)
파일:캐세이퍼시픽항공 로고_상하.svg[OW]
[[홍콩|
파일:홍콩 국기.svg
홍콩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CX홍콩
파일:필리핀 항공 로고.svg
[[필리핀|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PR마닐라
파일:베트남항공 로고.svg[ST]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VN호찌민
파일:비엣젯 항공 로고.svg
[[베트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VJ
파일:타이항공 로고.svg[SA]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TG방콕(수완나품)
파일:말레이시아 항공 로고.svg[OW]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MH쿠알라룸푸르
파일:에어아시아 로고.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AK
파일:에어아시아 엑스 로고.pn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D7
파일:바틱에어 로고.pn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OD쿠알라룸푸르, 덴파사르(발리)
파일:싱가포르항공 로고.svg[SA]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Q싱가포르(창이)
파일:스쿠트 항공 로고.svg
[[싱가포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TR
파일:에어아시아 로고.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QZ덴파사르(발리), 자카르타
파일:바틱에어 로고.pn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ID
파일:트랜스누사 로고.pn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8B덴파사르(발리)[12]
파일:에어 모리셔스 로고.svg
[[모리셔스|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NK포트루이스
파일:Emirates 로고.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EK두바이
파일:카타르항공 로고.svg[OW]
[[카타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QR도하
파일:남아프리카 항공 로고.svg[SA]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SA요하네스버그

4.1.2. 3 터미널

항공사 국가 편명 취항지
파일:콴타스항공 로고.svg파일:콴타스항공 로고 화이트.svg[OW]
[[호주|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QF시드니[국내], 런던(히스로), 파리, 로마, 싱가포르

4.2. 국내선

4.2.1. 1 터미널

항공사 편명 취항지
파일: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항공 로고.svgVA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케언즈, 다윈, 크리스마스섬, 코코스 제도, 알바니, 아그일, 바리문야, 불기다, 브룸, 버셀톤, 제렐턴, 칼굴리 볼더, 카라타, 쿠다이데리 광산, 이스트 킴벌리(쿠넌라), 레오노라, 뉴먼, 온슬로, 포트 헤들렌드, 웨스트 앙겔레스

4.2.2. 2 터미널

항공사 편명 취항지
파일:Jetstar_Logo.svgJQ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케언즈
파일:Rex_Airlines_logo.svgZL알바니, 카나본, 에스퍼렌스
파일:Alliance_Airlines_logo.svgQQ바리문야, 바로우 섬, 버셀톤, 케이프, 프레스턴, 쿤데완나, 칼굴리 볼더, 라버톤, 라인스터, 레오노라, 마블 바, 마운트 캐니트, 온슬로, 텔퍼, 더 그란나이츠
파일:Nexus_Airlines_(Australia)_logo.pngCT제렐턴

4.2.3. 4 터미널

항공사 편명 취항지
파일:콴타스항공 로고.svg파일:콴타스항공 로고 화이트.svg[OW] QF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애들레이드, 캔버라, 포트 헤들렌드
파일:QantasLink_logo.svg브룸, 다윈, 제렐턴, 칼굴리 볼더, 카라타, 리어먼트, 뉴먼, 온슬로, 파라버두, 포트 헤들렌드, 웨스트 앙겔레스

5. 기타

여기에서 남아공으로 가는 비행기는 몇 달에 한 번 있는 남극 비행을 제외하고 전 세계 노선 중 남극과 가장 가까이 비행하는 노선이다. 남극을 지나는 것은 아니지만 겨울철 유빙한계선 안쪽으로는 들어간다.

로블록스 게임인 PTFS(파일럿 트레이닝 플라이트 시뮬레이터)에 재현되어있다.
[1] Fly-In-Fly-Out, 호주 오지에 있는 광산으로 정기적인 출장을 가는 근무형태[2] 콴타스버진은 전용 터미널 또는 구역에 특유의 브랜딩을 해놓는다[3] 거리가 약 5350km에 비행시간만 거의 7시간 30분 정도 걸린다. 출발편은 오클랜드 출발 낮 12시 35분, 퍼스 도착 오후 4시라서 괜찮지만, 돌아오는 편은 퍼스 오후 7시 50분 출발, 오클랜드 다음날 오전 6시 15분 도착이라 시차를 적응하기 힘들다.[국내] 국내선 구간만 발권이 가능하나, 국제선 규정이 적용된다.[SA] 스타얼라이언스[SA] 스타얼라이언스[OW] 원월드[ST] 스카이팀[SA] 스타얼라이언스[OW] 원월드[SA] 스타얼라이언스[12] 2025년 3월 20일 취항[OW] 원월드[SA] 스타얼라이언스[OW] 원월드[국내] 국내선 구간만 발권이 가능하나, 국제선 규정이 적용된다[OW] 원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