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24 23:33:46

판구랍토르

판구랍토르
Panguraptor
학명 Panguraptor lufengensis
You et al., 2014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코일로피시스과Coelophysoidae
판구랍토르속Panguraptor
  • †판구랍토르 루펜겐시스(P. lufengensis)모식종

1. 개요2. 상세3. 참고 문헌

1. 개요

쥐라기 전기 아시아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반고의 약탈자'.

2. 상세

코일로피시스상과 화석은 동아시아에서 한동안 알려지지 않았으며, 단편적인 화석들이 전부였지만, 중국 윈난성에서 발견된 한 코일로피시스과의 화석은 비교적 많은 부분이 온전히 남아 판구랍토르라는 학명까지 붙게 되었다.

몸길이는 2m 정도에 골반 높이는 50cm 정도로 추정되며, 뼈들의 융합 정도를 보아 2~4세 정도 된 준성체로 간주되기에 성체는 조금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들은 2011년 43종의 공룡과 기타 조룡형류, 339개의 해부학적 특징들을 이용해 계통발생학적 분석을 한 결과, 판구랍토르는 코일로피시스과 내에서도 코일로피시스, 메갑노사우루스, 캄포사우루스와 비슷한 종이었다.

이 공룡이 발견된 루펑층(Lufeng Formation)은 쥐라기 전기 공룡들의 종류와 진화에 대해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층이지만, 정작 수각류는 시노사우루스 외에는 거의 발견된 적이 없었다. 즉, 이 판구랍토르의 발견은 루펑층의 환경에서 살았던 수각류들의 다양성이 생각보다 높았음을 시사한다.

3. 참고 문헌

Hai-Lu You; Yoichi Azuma; Tao Wang; Ya-Ming Wang; Zhi-Ming Dong (2014). "The first well-preserved coelophysoid theropod dinosaur from Asia". Zootaxa. 3873 (3): 233–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