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1:17:40

통전

수나라 · 당나라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C4B3B, #895e43, #a48252);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95e43> 역사 <colcolor=#000,#fff>수당시대(수말당초)
정치 관롱집단 | 개원지치 | 무덕율령 | 황제(틀:역대 수 황제 | 틀:역대 당 황제(틀:역대 무주 황제)) | 통전
사법·치안 부병제(수나라군 | 당나라군) | 3성 6부제 | 추밀원(중국사) | 과거 제도 | 도독부 | 도호부(틀:당 6도호부) | 번진 | 절도사
외교 틀:수나라의 대외관계 | 틀:당나라의 대외관계
도성·행정구역 틀:수나라와 당나라의 도성 및 궁궐 | 틀:수나라의 행정구역 | 틀:당나라의 행정구역
경제 오수전 | 개원통보
교통 대운하
인물 당나라/인물
문화 당삼채 | 절운 | 측천문자
기타 수나라의 대외전쟁 | 수말당초 주요 세력 | 수나라의 연호
오대십국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通典

당나라 재상 두우(杜佑)가 지은 유서(類書)이자, 중국 최초로 역대 제도와 문물을 기록한 정치서적, 제도사이다. 통(通)이란 역대를 통한다는 뜻이자, 전(典)은 책을 의미한다. 총 200권. 사통의 저자로 유명한 유지기(劉知幾)의 아들 유질(劉秩)이 당현종 시대 개원(開元) 말에 지은 <정전(政典)> 35권의 미처 완비하지 못한 점을 보충하고자 지었다 한다.

766년에 착수하여 경사서(經史書)를 널리 수집하여 착수한 지 35년 만인 801년(정원 17년)에 〈통전〉을 펴냈다. 그 후에도 많은 보필(補筆)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에 기록된 전장제도의 연혁은 위로는 당우에서부터 아래로는 당숙종, 당대종 때까지 국가제도의 중요한 사항을 종합한 것이다. 때에 따라서는 저자의 의견도 삽입하였다. 당조에 관한 서술은 더욱 상세하다.

역대 정사(正史)의 지류(志類)를 비롯해서 기전(紀傳), 잡사(雜史), 경자(經子), 당대의 법령, 개원례(開元禮, 당현종 때의 예제(禮制)) 등의 자료를 참조하여, 식화(食貨, 경제), 선거(選擧, 관리 등용), 직관(職官), 예(禮), 악(樂), 병형(兵刑), 주군(州郡), 변방(邊防)의 8문(門)로 나누어 각 문은 다시 약간의 세부목록으로 나누었다. 정사(正史)의 지(志)의 항목을 통사적(通史的)으로 총 망라하여 서술한 유서의 체재를 취했으나, 유서로는 모범적인 명저로, 후에 <통지(通志)> <문헌통고(文獻通考)>와 함께 삼통(三通)이라 불려 그 수위를 차지한다.

구성이 질서정연하고, 내용이 풍부하여 중당 이전의 제도를 통람하는 데 가장 유용한 책이다. 이 책은 북송 송백(宋白) 등의 <속통전(續通典)>, 남송 정초(鄭樵)의 <통지>, 원나라 마단림(馬端臨)의 <문헌통고> 등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당대 이전의 제도와 문물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 책의 변방문동이(邊防門東夷), 북적(北狄) 등의 항목에 한국에 관한 사료도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