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11:17:09

톡소돈

톡소돈
Toxodon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Toxodon_skeleton_in_BA.jpeg.jpg
학명 Toxodon
Owen, 1837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남제목(Notoungulata)
†톡소돈과(Toxodontidae)
†톡소돈아과(Toxodontinae)
톡소돈속(Toxodon)
  • †톡소돈 플라텐시스(T. platensis)모식종
    Owen, 1837
  • †톡소돈 베르메이스테리(T. bermeisteri)
    Giebel, 1866
  • †톡소돈 카팔말렌시스(T. chapalmalensis)
    Ameghino, 1908
  • †톡소돈 다르위니(T. darwini)
    Burmeister, 1866
  • †톡소돈 엔세나덴시스(T. ensenadensis)
    Ameghino, 18887
  • †톡소돈 엑스판시덴스(T. expansidens)
    Cope, 1886
  • †톡소돈 그라킬리스(T. gracilis)
    Gervais & Ameghino, 1880

1. 개요2. 특징3. 대중 매체

1. 개요

마이오세부터 플라이스토세 후기 말까지 남아메리카에서 서식한 남제류. 속명은 '활 이빨'이라는 뜻이다.

2. 특징

플라텐시스종은 무게 1~1.2t에 몸길이 약 2.7m로, 남제목 최대 크기를 자랑했다.

머리의 구조는 오늘날의 하마와 닮았으며 넓은 턱과 활을 닮은 얇은 이빨을 가지고 있었고 앞니는 하마처럼 크고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몸은 넓은 통 모양이고 발가락은 세 개였으며 뒷다리의 길이가 앞다리보다 길었다. 비록 다리는 짧았지만, 꽤나 빠른 속도로 움직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 톡소돈이 발견됐을 당시에는 반수생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후에 산소 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한 결과 오늘날의 코뿔소와 같은 육상동물이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안데스 ​​산맥 동부에 널리 분포했었으며, 아르헨티나 북부와 볼리비아, 아마존 서부, 브라질 북동부까지 분포한다. 베네수엘라까지 분포했다는 견해도 있다. 주로 대초원, 사바나 같이 탁 트인 곳에서 서식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브라질 남서부 같은 일부 지역에선 산림에 서식했을 것으로 보인다. 천적으론 스밀로돈(포풀라토르 종)이 있었다.

톡소돈은 홀로세 직전에 멸종됐는데 두개골의 화살 자국으로 인해 톡소돈의 멸종에 인간이 관여되어 있다고 추측된다.

3. 대중 매체

Prehistoric Park 4편에서 등장하여 물가에서 휴식을 취하는 모습으로 등장했고 한마리가 스밀로돈에게 사냥 당하는 모습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