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9 11:17:37

한민족계 국가의 계보


1. 조선 국왕 계보2. 고려 국왕 계보

1. 조선 국왕 계보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정종 태종 세종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명종 선조 광해군 인조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제25대 제26대 제27대
철종 고종 순종
}}}}}}}}}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광인효현숙경영정순헌철고순역대 조선 국왕(제1~27대)의 묘호의 첫 글자를 나열한 것으로 한국사 암기 공부를 위해 쓰인다.

대부분 "태정태세문단세 예성연중인명선 광인효현숙경영 정순헌철고순"으로 잘라서 외우며, 한국사 공부를 따로 준비하지 않은 사람들은 대부분 첫 7글자인 태정태세문단세까지만 알고 있다. 이 태정태세문단세 시기는 조선의 건국 직후 최전성기로 평가받는다.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3절에 "태정태세문단세"로 등장한다.

2. 고려 국왕 계보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혜종 정종(定宗) 광종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경종 성종 목종 현종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덕종 정종(靖宗) 문종 순종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선종 헌종 숙종 예종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인종 의종 명종 신종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희종 강종 고종 원종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충혜왕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충목왕 충정왕 공민왕 우왕
제33대 제34대
창왕 공양왕
}}}}}}}}}


태혜정광경성목현덕정문순선헌숙예인의명신희강고원렬선숙혜목정공우창공역대 고려 국왕(제1~34대)의 시호의 첫 글자를 나열한 것인데, 렬선숙혜목정 시기는 원 간섭기로 첫 글자를 충으로 통일했기 때문에 2번째 글자를 나열했다.

조선보다 길기 때문에 외우기 더 어려우며, 역사적 사료가 적은 관계로 각종 한국사 시험에서도 조선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이를 다 외운 사람들은 드물다. 그나마 태혜정광경성목현 덕정문순선헌숙예 인의명신희강고원 (충)렬선숙혜목정 공우창공 같은 식으로 나눠서 암기하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