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3:20:46

타키스탄


타키스탄
Takistan
파일:Arma2-flag-takistaniarmy.png
국기
국가 불명
위치 유라시아 대륙, 흑해, 녹해[1]
인구 불명
수도 타크미르
접경국 아르디스탄, 체르나루스, 러시아
민족 타크르족, 카르제족 등
정치 체제 군사독재
언어 아랍어
종교 이슬람교

1. 개요2. 상세3. 역사4. 군사 집단
4.1. 타키스탄 육군4.2. 타키스탄 민병대4.3. 타키스탄 반군
5. 인접국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보헤미아 인터렉티브에서 제작한 게임 ARMA 2의 확장팩인 Operation Arrowhead에서 등장하는 가공의 국가.

2. 상세

본편의 체르나루스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나라이다. 슬라브 문화권의 동유럽 국가가 중동이슬람 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는 게 좀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는데 타키스탄과 체르나루스가 위치한 녹해 지역은 캅카스 인근에 위치한 지역이다. 체첸 공화국의 사례에서도 보이듯이 캅카스 지역은 이슬람의 교세가 강하기 때문에 크게 이상한 것은 아니다. 다만 초원과 숲이 많은 동유럽 국가에서 국경 한번 넘었더니 광활한 사막지대가 있는 중동 국가가 나오는 게 좀 낯설기는 하다.(...)

설정 상 토착 타키스타인은 적어도 두 민족인 타키르족과 카르제족으로 나뉘는데, 둘 다 아랍계의 가상의 민족이다.

3. 역사

타키스탄의 역사는 63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크게 팽창하던 이슬람 제국의 영향에 맞춰서 일부 무슬림들도 녹해 지역에 진출하게 되는데 이때 타키스탄에 정착한 아랍계 이민족들이 당시 타키스탄 지역에 있던 국가들을 정복하고 통일 왕조가 세워지게 된다.

13세기 몽골 제국이 팽창하면서 칭키즈 칸은 녹해 연안의 국가들을 침략하게 된다. 당연하겠지만 그 중에는 타키스탄도 있었고 몽골과의 전쟁에서 패배한 타키스탄의 왕족들은 동로마 제국콘스탄티노폴리스로 망명해 18세기가 넘도록 그곳에서 망명 생활을 했다.(...) 왕족들이 사라진 타키스탄에서는 몽골이 쇠퇴한 후에도 결속하는데 실패해 3개의 지방들로 분열되어 이웃 나라의 지배를 받았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타키스탄의 왕족들은 오스만 제국에서의 오랜 망명을 종식한 뒤 녹해 지역으로 돌아와 타키스탄의 분열된 지방들을 통일하여 타키스탄 왕국을 다시 건국하게 된다. 1853년 영국과 러시아간의 크림 전쟁이 터지자 타키스탄은 영국과 러시아간의 완충 지대 역할을 충실히 했으며, 1892년러시아 제국은 타키스탄을 봉신국으로 만들기도 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가 급속도로 혼란에 빠지면서 러시아 내전이 벌어지게 되는데 당시 타키스탄은 내전에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국왕이 백군에게 피난처를 제공하기도 했다. 소련 설립 이후의 역사는 불명인데, 백군을 자기 나라에 숨겨주는 배짱 큰 짓을 했는데도 소련에게 합병되거나 하지는 않은 듯 하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타키스탄 역시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당시 타키스탄의 국왕은 서방과 관계를 맺는 외교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1988년 사회주의자였던 무함마드 아지즈 대령은 이에 반대하여 쿠데타를 일으키게 되고 왕실 구성원들은 또 다시금 해외로 망명하게 된다.

타키스탄의 엄청난 귀금속 광석과 원유 매장량은 초강대국들에게 알려졌고 왕당파와 사회주의자 두 파벌 모두 소련과 미국의 은밀하고 노골적인 지지를 받았으며 각 파벌은 국가가 앉아 있는 자원의 비축에 대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각자의 편에 지원을 제공했다.

그러나 소련 정부는 직접 사회주의자들에 대해 군사용 하드웨어와 군가 고문단들의 유입을 지원했고, 이는 왕실주의자들을 불리하게 만드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1992년, 4년 이상의 격렬한 내전 끝에 사회주의자들이 마침내 승리할 수 있었고, 일부 저항군과 그들을 지지하는 부족들이 계속 살아남았지만 왕실주의자들을 완전히 격파하는 데 성공했다.

3.1. ARMA 2

타키스탄이 내부붕괴를 막고 자원을 확충하기위해 이웃국가인 카르체히스탄을 위협하자 미군은 최후 통첩을 날렸다.

3.1.1. 애로우헤드 작전

아자즈 대령이 최후통첩을 무시하자, 미국은 2012년 6월 1일에 애로우헤드 작전을 실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3.1.2. 블랙 건틀릿 작전

아자즈 대령의 실각이후 남아있는 지지파를 몰아내기 위해 ION Services를 고용한다.

3.2. ARMA 3

일부 등장인물들이 과거에 타키스탄에서 복무하였다.

4. 군사 집단

4.1. 타키스탄 육군

모티브는 사담 후세인 시절 이라크군. 소련제 헬멧과 AK 소총 FAL과 BTR 장갖차 등 구식 장비들로 무장했다. 아지즈 대령의 몰락 이후 신 타키스탄군(NTA)으로 바뀐다. 두건을 두른 대령의 친위대 모델도 따로 있다.

4.2. 타키스탄 민병대

아지즈 대령을 따르는 친정부 민병대. 정부에게 많은 물자를 지원받았는데 미제 ar계열까지 포함하여 많은 물자를 지원받았다. 아지즈 대령이 실각한 이후에는 대령의 지지자들을 흡수하여 세력을 키웠다.

4.3. 타키스탄 반군

아지즈 대령의 쿠데타로 쫒겨난 왕실을 지지하는 왕실파 민병대. ARMA 3의 FIA와 비슷한 포지션이다.[2] 민병대쪽이 조금씩이나마 군복을 입었다면 이쪽은 거의 아랍식 의상만 입고있다.

5. 인접국

6. 관련 문서


[1] 캅카스 지역과 붙어있는 가상의 바다로 유저들의 추측일 뿐이지만 정확히 타키스탄이 위치한 곳은 캅카스 서쪽 흑해 부분의 땅을 확장해 만들어진 가상의 반도와 함께 반도로 인해 형성된 흑해의 서남쪽 바다 지역을 녹해라는 가상의 바다로 작명했다는 설이 가장 주장을 많이 받는다.[2] 뒤집히기전의 정부 지지자, 반군 등[3] 흑산맥이 자연국경을 형성하고 있다.[4] 바다를 통해 인접하고 있다.[5] 바다을 통해 인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