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11:07:59

키드 락

Kid Rock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25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2000년 ~ 2024년을 통틀어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빌보드 핫 100과 빌보드 200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테일러 스위프트 드레이크 리한나 포스트 말론 에미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위켄드 비욘세 저스틴 비버 브루노 마스 어셔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마룬 5 아델 모건 월렌 에드 시런 케이티 페리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레이디 가가 P!nk 크리스 브라운 아리아나 그란데 칸예 웨스트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마일리 사이러스 앨리샤 키스 블랙 아이드 피스 저스틴 팀버레이크 넬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니켈백 켈리 클락슨 머라이어 캐리 JAY-Z 릴 웨인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50 센트 켄드릭 라마 캐리 언더우드 브리트니 스피어스 빌리 아일리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니키 미나즈 린킨 파크 이매진 드래곤스 루다크리스 루크 콤즈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Destiny's Child 케니 체스니 Future Juice WRLD T.I.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SZA 에이브릴 라빈 래스컬 플래츠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올리비아 로드리고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트래비스 스캇 릴 베이비 콜드플레이 제니퍼 로페즈 배드 버니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플로 라이다 Akon 루크 브라이언 토비 키스 팀 맥그로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제이슨 알딘 메리 제이 블라이즈 해리 스타일스 레이디 에이 도자 캣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Creed 마이클 부블레 두아 리파 샘 스미스 니요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아웃캐스트 케샤 카디 비 R. 켈리 퍼기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3 Doors Down 원디렉션 아샨티 셀레나 고메즈 블레이크 쉘튼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Ja Rule Pitbull Kid Rock 트웬티 원 파일럿츠 제이 콜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칼리드 션 폴 Daughtry *NSYNC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숀 멘데스 키스 어번 제이슨 데룰로 노라 존스 티페인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조쉬 그로반 그웬 스테파니 산타나 앨런 잭슨 Fall Out Boy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출처}}}}}}}}}


파일:kidrock.jpg

키드락 공식 유튜브 채널

1. 개요2. 대표곡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로버트 제임스 리치(Robert James Ritchie, 1971년 1월 17일 ~ ) 는 키드 락(Kid Rock)이란 예명을 쓰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다. 키드 락은 1988년 등장한 이후 2012년까지 여덟 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하였으며 그래미 상에 다섯 번 후보로 오른 적이 있다. 애틀랜틱 레코드에서 발매한 《Devil without a Cause》를 통해 주목을 받았으며, 〈Bawitdaba〉, 〈Cowboy〉, 〈Only God Knows Why〉 등의 인기곡을 발표하며 모두 1천 1백만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 2000년에는 그의 인기 싱글곡들의 재편곡/재녹음판, 그리고 미공개곡인 〈Abortion〉 등을 수록한 편집 음반 《The History of Rock》을 발매하였다.

이듬해인 2001년 《Cocky》를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컨트리풍의 곡인 〈Picture〉을 통해 인기를 많이 얻었고 5백만 장이 팔려나갔다. 2003년 자신의 이름을 걸고 발매한 앨범 《Kid Rock》은 빌보드 차트 8위에 오르며 미국에서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2. 대표곡

다방면의 음악적 소질이 있는데 락, 미드웨스트 힙합, 컨츄리 음악, 헤비메탈, 가스펠 까지 폭넓은 장르를 넘나들며 가수로 활약하고 있다. 음악에서도 풍겨지듯 미국 절대적 지지를 받고 있다. 한국에도 그의 락 음악이나 컨츄리 음악이 많이 알려져 있다.



대표곡인 Bawitdaba, American BadAss. 폭주족, 뒷면에 걸린 거대한 성조기 등등, 미국 백인들의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메탈리카의 곡인 Sad But True의 음을 샘플로 사용한 게 포인트.


락 음악만 들으면 전형적인 락커로도 보이지만 신앙심 깊은 바이블벨트를 노리고 이런 가스펠 분위기가 물씬 풍기는 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3. 여담

4. 둘러보기

파일:WWEHOF.jpg
2018년 WWE 명예의 전당 헌액자
[1]


[1] 어째서 키드락이 WWE 명예의 전당에 오른건지 궁금할 분들이 계실텐데 그의 히트곡 'American Bad Ass'가 큰 어른의 테마곡으로 쓰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