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8-19 20:28:44

클래시 로얄/덱/2vs2 덱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클래시 로얄/덱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80><tablebordercolor=#00008b> 파일:cr_logo 클래시 로얄
덱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HogRiderCard.png
Cycle
파일:clash royale-graveyard.png
Control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olemCard.png
Beatdown
파일:clash royale-goblin barrel.png
Bait
파일:clash royale-battle ram.png
Bridgespam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Cards-0.png
기타 덱
}}}}}}}}}

1. 개요2. 협동 덱3. 킹타워 부수기 덱4. 올 마법 덱5. 건물 덱

1. 개요

클래시 로얄의 2v2 모드에서 사용하는 덱.
1v1 전용 아키타입 덱을 써도 되지만, 2v2에서 쓰면 성능이 나쁜 덱도 있기에 후술할 덱을 쓴다.

2. 협동 덱

16개의 덱을 플레이한다는 느낌으로 제작된 덱이다. 2v2 전용 아키타입인 만큼 멀티에서뿐만 아니라 퀵 매치에서도 상당한 성능을 보여준다.
다만 이런 덱은 크리에이터가 소개하는 경우가 드문데, 여기에서 찾아 쓰거나, 팀원끼리 계획을 짜고 만들어 쓰면 된다.

3. 킹타워 부수기 덱

예능덱에 가깝기는 하지만, 실전에서 쓰는 사람이 있고, 엄연히 한 전략의 일부이므로 작성을 한다.

말 그대로 방어 따위 포기하고 무조건 킹타워만 노려서 3크라운을 따 내는 덱. 일본인 유저 matatabi 가 이 덱의 숙련자로써, 3 크라운 승리 수가 승리 수보다 많다 (토너먼트 승리는 승리 수에 포함되지 않고 토너먼트 3 크라운 승리는 3 크라운 승리 수에 포함되어 일어날 수 있는 현상).

덱 운용법도 간단한데, 스펠을 뺀 다음 고블린 통 + 반사경 고블린 통 + 복제를 써서 상대 킹타워를 날리면 된다. 성공만 한다면 로켓에 죽는 피가 남거나 아예 깨진다. 물론 말만 쉽지 대처하기는 쉬워서 상대와의 엘릭서 차이를 벌려놓고 킹스 타워를 날려먹어야 한다.

2대2에서도 쓸만한 덱. 일단 파트너와 같이 던지면 되기에 고블린 통 4개 + 복제 두 번 혹은 고블린 통 3개 + 복제 세 번해서 총 36마리가 소환되며, 이 상태에서 2대2 킹 타워는 1.26초만에 소멸된다. 가끔 광부나 무덤이랑 같이 들어가기도 한다. 그리고 엘릭서가 남는다면 분노를 쓰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단점이라면 무조건 3크만 노리기에 방어력이 너무 허약해서 솔로로 들어오는 해골 비행선에게 타워를 내줄 때도 있고, 상대가 스펠이 많거나 발키리 등의 광역 유닛을 보유하면 킹 타워가 안 뚫려서 거의 100% 확률로 자신이 지게 된다. 예를 들어, 20코스트를 들여 이렇게 보냈는데 상대가 화살을 쏘면 그대로 역관광당하므로 운용시 주의. 아니면 오히려 오른쪽과 왼쪽에 완전히 나누어 날리면 복제의 수는 적어지지만 데미지는 줄 수 있다.

4. 올 마법 덱

2대2에서 가끔 보이는 덱. 말 그대로 모든 카드가 마법인 덱이다. 랭킹전에선 예능이지만 2대2에서는 서포터덱이라 불린다. 이때는 주 딜러인 나머지 한 명의 플레이어가 제대로 딜을 넣어 주어야 한다. 주로 팀 플레이어가 위에서 서술한 빅 덱을 사용할때 특히 효과적인 덱이다.[1] 그러나 이런 팀은 방어에는 주로 취약하기 때문에[위에] 계속 밀고 들어가는 팀들이 많다.[3] 만약 그러지 못할 때를 대비하여 올 마법 덱보다는 1유닛 7마법 덱이 더 자주 보이는 편.[4]올마법덱을 팀원으로 만났을때는 최대한 공격에만 집중하며 팀원이 어떤 상황에서 무엇을 쓸지를 예측해서 방어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좋다.[5] 즉 올 마법덱 사용자의 판단 센스를 믿고 막아야 하는 건 막되 올 마법이 막아줄만한 유닛은 굳이 엘릭서를 써가며 막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반대로 올마법 덱을 굴릴려면 의외로 힘들다. 타워에 피해를 최대한으로 넣되 타워에만 공격하는 것은 기피해야 한다.[6] [7] 올 마법덱 특성상 엘릭서를 쓰지 못하는 상황에선 엘릭서가 넘쳐흐르고[8],쏟아 부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엘릭서가 부족한 현상이 비일비재하니 효율을 빠르게 따져야 한다.[9] 또한 타워에 체력이 1000이하 특히 500이하로 남을경우 올마법덱이 그 타워를 나중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무리하게 그 타워를 깨려고 하지 말고 반대쪽 타워를 공격가는 것이 좋다.[10] 최근 패치 이후로 타이브레이커가 도입되어서 꽤 쓸만해졌다.한판당 5분씩 걸리는건 넘어가고 연장 마지막 1분때 엘릭서가 3배기 때문이다.방어는 로켓정도만 있어도 순간적인 상대의 강한 공격을 막기엔 충분하고, 그 외에 남는 번개나 파이어볼등으로 상대 타워를 신나게 갈구면 공격하면 되기 때문.그러니 이기고 싶다면 연장으로 끄는 것도 나쁘지 않는 작전이다.

5. 건물 덱

예능덱 중 하나. 말 그대로 용광로 대형석궁 대포 인타 등 건물에 2유닛 정도로 수비하는 덱이다. 우리팀이 위니덱이거나 수비 위주의 덱일 경우 효과적이다. 단점으로는 타워에 효과적으로 딜을 넣을 수 있는 카드가 대형 석궁, 용광로[11] 정도밖에 없어 방어 후 공격이 핵심인 페틀램 등과 쓰이는 경우가 많다.


[1] 올마법덱이 강한 상성을 가진 덱은 뒤에 딜러를 전멸시켜버릴 수 있는 빅덱,물량덱,삼총사 덱이 있다. 빅덱은 그나마 양반인 편이고, 물량덱의 경우 올마법이 헤비 스펠로만 구성된것이 아닌 이상 이기는 건 불가능하고, 삼총사는 샌드백이 되어 순삭당하는 기적을 실시간 관람할 수 있다[위에] 서술한 3개의 덱이 아닌 순환덱에는 약한 면모를 보이는건 사실이다. 다만 빅덱의 경우에는 오히려 역공을 할 수 있어 방어를 하고 공격을 들어가는 경우가 더 많고 이게 확실히 더 효과적이다.[3] 이런 덱의 경우 높은 확률로 분노와 얼음이 들어간다. 아니라면 역공위주의 올마법덱인거다.[4] 사실 한 유저가 마법카드를 몰아서 넣은 올 마법덱일 경우 패를 풀어줄 카드가 없기 때문에 패가 꼬여 게임이 터지는 경우가 많다.[5] 많은 사람들이 올마법덱을 팀원으로 만났을때 하는 실수로, 팀원을 공기 취급하여 홀로 수비를 하려고 하는데, 오히려 수비부분에서는 탱커만 신경써도 왼만한 고블린통과 같은 짤짤이는 올마법으로 다 막고, 탱커 뒤에 붙는 마녀,법사등도 번개,로켓,렙빨파이어볼 등으로 잘라줄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탱커만 상대해도 왠만큼 수비가 된다.이런 짓마저 올마법이 안해주면 걍 그판은 어떻게 해도 이길 수 없으니 미련을 버리자[6] 즉 타워와 생산 건물이나 뒤에서 소환된 딜러를 같이 맞추어야 하며, 탱커나 상대의 방어용 건물을 같이 맞추는건 썩 효율이 좋지 않다.[7] 예외로 우리팀이 공격할때 방어용 건물을 철거해주거나 인페르노 타워의 차징을 푸는 것은 특히 좋다.[8] 이럴 경우 고블린통 같은 공격형 마법을 쓰거나, 비슷한 저코스트 마법을 쓰는것이 좋다.예를 들어 화살과 통나무가 있으면 공중까지 커버가능한 화살을 남기고 통나무를 쓴다던지. 다만 고코스트를 쓸 경우 역공에 취약하고, 감전은 스파키나 인드를 상대할때 필수이니 함부로 쓰면 안된다.오히려 이런 걸 신경쓰느니 엘릭서를 버리는 것도 나쁘진 않다.[9] 최대한 빅덱 상대로 뒤에 딜러가 많이 쌓였을때 마법을 쓰는것이 좋다. 번개는 뒤에 2명이 붙었을때 탱커와 함께 맞추거나 로켓은 뒤에 3명이상 붙었을 때 날려버리면 된다. 딜러 1명이 나왔다고 해서 고코스트 마법을 날리면 또 소환된 딜러에 의해 팀원의 방어병력이 몰살당하니 주의하자[10] 이때 올마법덱도 바로 부수지 말고 오히려 반대쪽 공격을 돕거나 방어를 집중하고 나중에 다른 유닛이나 건물을 같이 맞추면 더더욱 좋다. 어차피 바로 안부셔도 엘릭서 2배 타이밍에 경기 종료전 팀원이 방어를 해주고 올마법이 마법을 때려넣으면 부술 수 있기 때문[11] 얘는 동랩 이상이거나 팀원이 같이 들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