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22:07:57

크로아티아어

흐르바츠키에서 넘어옴
슬라브어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루신어 · 루테니아어† · 고대 동슬라브어
서슬라브어군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소르브어 · 카슈브어 · 실레시아어 · 폴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 불가리아어 · 교회 슬라브어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몬테네그로어 · 보스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171796>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체크무늬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크로아티아 공국 · 크로아트 왕국 · 크로아티아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문화 크로아티아 요리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 크로아티아어 · 관광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프르바 HNL · 라틴 문자
정치 대통령 · 총리 · 사보르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크로아티아 쿠나(폐지) · 유로
지리 자그레브 · 두브로브니크 · 달마티아 ·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유럽연합
군사 크로아티아군
민족 슬라브 · 크로아티아인(크로아티아계 미국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캐나다인)
}}}}}}}}} ||
Hrvatski
크로아티아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화자 수 약 560만 명
어족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크로아티아어
문자 로마자
언어 코드
ISO 639-1 HR
ISO 639-2 HRV
ISO 639-3 HRV
주요 사용 지역
파일:Croatian_dialects_in_RH_and_BiH.png
크로아티아어 Hrvatski jezik
세르비아어 Хрватски језик
슬로베니아어 Hrvaščina
불가리아어 Хърватски език
헝가리어 Horvát nyelv
영어 Croatian language
그리스어 Κροατική γλώσσα
폴란드어 Język chorwacki
루마니아어 Limba croată
알바니아어 Gjuha kroate
프랑스어 Croate
독일어 Kroatische Sprache
이탈리아어 Lingua Croata
러시아어 Хорватский язык
스페인어 Idioma croata
포르투갈어 Língua croata
중국어 克罗地亚语
일본어 クロアチア語
에스페란토 Kroata lingvo
에스토니아어 kroaatia keel
1. 개요2. 설명3. 들어보기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크로아티아의 공용어이자 크로아티아인들의 모국어이다. 유럽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채택되어 있다.
[1]

2. 설명

세르보크로아트어를 정치적인 이유로 다르게 부르는 말이다. 언어학적으로는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와 같은 언어이다.

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이 서로의 언어로 이야기했을 때 서로 의사소통이 막힘없으며 방언 수준의 차이 조차도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일부 언어학자들은 두 언어를 분리하지 않는다.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모두 남슬라브족에서 갈라졌고, 세르비아와 크로아티아 둘다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표준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별 차이점은 분명 있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원수가 된 이상 앞으로 이러한 차이점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커질 가능성이 높다.

ijekavski가 표준어이다.

3. 들어보기


크로아티아의 국가, "아름다운 우리 조국(리예파 나샤 도모비노, Lijepa naša domovino)".


겨울왕국Let It Go 크로아티아어 더빙판.

4. 관련 문서



[1] 출처: ILove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