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 개요
Post-credits scene / After-credits scene / Stinger영화의 본편이 끝나고, 엔딩 크레딧이 다 올라갈 때까지 영화관을 떠나지 않은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짤막한 보너스 영상을 일컫는 용어이다. 팬 서비스를 위한 일종의 이스터 에그이며, 에필로그의 역할을 하거나 후속작에 대한 힌트를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
영화의 쿠키영상 유무 여부와 쿠키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영미권 웹사이트도 존재한다.aftercredits.com
2. 상세
1903년 제작된 무성영화 대열차강도에서 영화가 끝나고 본편에서 사망한 캐릭터가 등장해서 관객들을 향해 권총을 쏘는 장면이 최초로 등장한 바 있다.영미권 영화들에는 1960년대 이후부터 엔딩크레딧 도중이나 엔딩크레딧이 끝난 후 보너스 영상이 삽입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한국에서는 극장용 프린트 제작시에 원본 필름에서 불필요한 크레딧 이후 부분을 임의로 삭제하는 경우도 많았고 영화 본편 종료 후 엔딩크레딧이 나오자마자 관객을 퇴장시키거나 상영을 종료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한국 관객들에게는 낯선 개념이었다. 유사한 사례로 과거 성룡으로 대표되는 홍콩 액션 영화 일부에서 엔딩크레딧 한켠에 NG 영상을 함께 보여주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상영의 경우 엔딩크레딧까지 전부 보려는 관객들이 많아서 끝까지 상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어권에서는 주로 Post(After)-credits scene, Stinger 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며 Cookie 라는 표현은 잘 사용되지 않는다. 쿠키영상이라는 명칭은 1999년 미국의 영화평론가 로저 이버트가 영화 엔딩크레딧 사이의 보너스 장면을 '크레딧 쿠키'라는 단어로 부른 것이 시초라고 하며, 포춘쿠키에 메시지가 숨겨져 있듯, 영화가 끝난 후 관객들에게 작은 재미나 힌트를 제공하는 영상을 '쿠키'에 비유한 것이라고 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 쿠키 영상을 삽입한 해외 영화들이 늘어나고 한국 관객들에게도 그 존재가 알려지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엔딩 크레딧을 끊어버리거나 쿠키 영상을 기다리는 관객에게 퇴장할 것을 요구하는 극장들이 상당수였다. 이후 관객들의 적극적인 문제 제기로 이러한 문제는 많이 개선되었다. 엔딩 크레딧에 대한 관객 및 극장의 인식 변화와 함께 2000년대 이후의 한국영화들에는 엔딩 크레딧 중간에 영화 줄거리의 후일담이나 비하인드 스토리 등을 분할된 화면으로 삽입하는 경우들이 생겨났다. 이 시기까지도 한국영화에서는 쿠키영상이라고 할 수 있는, 엔딩크레딧이 끝난 후 영상이 나오는 경우는 사생결단 등의 몇 편을 제외하면 극히 드물었다.
2010년대 이후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배틀쉽》(#) 등의 영화를 거쳐, 코믹스에 기반한 방대한 세계관을 지닌 특성상 후속작에 대한 암시가 많았던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국내에서도 흥행하면서 관객들 상당수가 쿠키 영상을 보기 위해 본편이 끝난 후에도 기다리는 광경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외국 영화들은 물론이고, 한국 영화들도 점차 쿠키 영상을 넣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원래는 영화에서 쓰이는 용어지만 2020년대 이후 한국에서는 의미가 확대되어 유튜브 영상에서 본편이 끝난 후 보너스 영상을 의미하는 단어나, 웹툰 에필로그를 의미하는 용어로도 쓰이고 있다.
3. 예시
3.1. 미국
- 어벤져스: 엔드게임을 제외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모든 영화들 [1]
- 맨 오브 스틸을 제외한 DC 확장 유니버스의 모든 영화들[2] - 자세한 건 이 문서를 참조.
- 겨울왕국 2
- 그린 랜턴: 반지의 선택
- 대열차강도[3]
- 더 프레데터
- 리썰 웨폰 3
- 맘마 미아! 2
- 몬스터 대학교
- 마스터 돌프
- 베놈
- 분노의 질주 시리즈 - 5편, 6편, 7편, 9편, 10편
(스핀오프 - 홉스&쇼) - 빅 히어로
- 사생결단
- 샤잠!
- 새벽의 저주
- 수어사이드 스쿼드
- 수퍼 소닉 시리즈
- 스파이더맨: 뉴 유니버스
- 스트리트 파이터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 에어플레인
-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
- 자동차 대소동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 캐리비안의 해적 시리즈
- 콘스탄틴
- 킥 애스 2: 겁 없는 녀석들
- 터미네이터 제니시스
- 트랜스포머
-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 톰과 제리
- 페리스의 해방
- 피라미드의 공포
-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3.2. 일본
- 크레용 신짱 극장판 시리즈
- 나의 이사 이야기 선인장 대습격
- 습격!! 외계인 덩덩이
-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 이후 극장판부터는 차기작 예고편이 나온다.
-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피날레
-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 신 극장판(2006~) 중 진구의 공룡대탐험을 뺀 모든 극장판, 진구의 마계대모험: 7인의 마법사, 진구의 보물섬 두 편은 보너스 영상과 차기 극장판 예고편이 나가며, 나머지 극장판은 차기 극장판 예고만 나간다.
- 명탐정 코난 극장판
- 3기 극장판부터 엔딩이 끝난 후 예고편 쿠키 영상이 등장한다.
- 루팡 3세 VS 명탐정 코난 THE MOVIE
- 러브 라이브! 더 스쿨 아이돌 무비
- 포켓몬스터 극장판
- 2004년부터 2010년까지는 포켓몬 그림 그리기대회, 2011년부터 현재 예고편만 나오고 있으며, 2014년부터 현재 포켓몬 선물 가이드가 나온다.
- 청춘 돼지 시리즈
3.3. 한국
- 얼음별 대모험
- 마스터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 감기
- 화이
- 옥자
- 사생결단
- 밀수
- 신과함께 시리즈
- 신비아파트: 금빛 도깨비와 비밀의 동굴[4]
- 베테랑2
- 부산행[5]
- 뺑반
- 변신자동차 또봇 극장판
- 좀비딸
- 범죄도시 3
- 엑시트
3.4. 프랑스
- 더 비스트(2023년 영화) - 쿠키를 엔딩 크레딧 이후 QR코드로 배포해 화제가 되었다.
[1] 엔드게임은 쿠키영상 대신에 어벤져스 멤버들에 대한 헌정 크레딧을 띄웠다. 자세한 내용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쿠키 영상문서를 참조.[2] 맨 오브 스틸는 DC 확장 유니버스의 첫 번째 영화라서 그런 건지 없다.[3] 쿠키 영상을 사용한 세계 최초의 영화. 끝나기 직전 극중에서 사망한 배역이 갑자기 총을 난사하는 장면이다.[4] 쿠키 영상의 내용은 TVA 2기 2쿨의 떡밥으로 이어진다.[5] 2020년 반도(영화) 개봉 직전에 재개봉하며, 후속편인 반도 초반 피난선 부분을 담은 쿠키 영상이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