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2 15:09:27

쿤 카스테일스

코엔 카스텔스에서 넘어옴
파일:Al Qadsiah2324.png
알 카디시야 FC 2024-25 시즌 스쿼드
1 카스테일스 · 2 알샤마트 · 4 테크리 · 5 에세키엘 · 6 나초 · 7 투르키 · 8 난데스 · 10 오바메양 · 11 A. 하자지 · 14 사이프 · 15 후사인 · 17 가스톤 · 18 아시리 · 23 하순 · 24 카셈 · 25 압둘아지즈 · 28 아메드 · 30 알메나 · 33 J. 퀴뇨네스 · 39 압둘라흐만 · 66 압둘아지즈 · 87 라자미 · 88 푸에르타스 · 96 후세인
파일:UEFA EURO ESP.png 미첼 곤살레스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쿤 카스테일스의 역임 직책
{{{#!folding ▼
VfL 볼프스부르크 주장
조슈아 길라보기
(2019~2021)
쿤 카스테일스
(2021~2022)
막시밀리안 아르놀트
(2022~ )
}}} ||
쿤 카스테일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Kicker 로고.svg
}}} ||
파일:Koen Casteels 24/25.png
<colbgcolor=#ffb504> 알 카디시야 FC No. 1
쿤 카스테일스
Koen Casteels
출생 1992년 6월 25일 ([age(1992-06-25)]세)
벨기에 안트베르펜주 본헤이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기에}}}{{{#!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7cm, 체중 78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왼발
포지션 벨기에 대표팀 - 1번, 12번, 13번
VfL 볼프스부르크 - 1번
소속 <colbgcolor=#ffb504> 유스 KRC 헹크 (2002~2009)
프로 KRC 헹크 (2009~2011)
TSG 1899 호펜하임 II (2011~2014)
TSG 1899 호펜하임 (2011~2015)
SV 베르더 브레멘 (2015 / 임대)
VfL 볼프스부르크 (2015~2024)
알 카디시야 FC (2024~ )
국가대표 20경기 (벨기에 / 2013~2024)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벨기에 국적의 알 카디시야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2. 클럽 경력

2.1. KRC 헹크

2002년 헹크 유스 팀에 입단해 7년간 성장해왔다. 같은 벨기에 출신인 티보 쿠르투아와 함께 유스 시절을 보냈으며, 당시 유스 시절만 해도 쿠르투아보다 더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그가 부상으로 주춤한 사에이 쿠르투아가 가파른 성장 끝에 1군 데뷔 후 주전 자리를 차지하면서 상황은 역전되었고, 결국 1군 데뷔를 이루지 못하고 2011년 여름 독일 분데스리가TSG 1899 호펜하임으로 이적했다.

2.2. TSG 1899 호펜하임

호펜하임 입단 후 톰 슈타르케, 다니엘 하스에게 밀려 써드 골리로 등록되었고, 첫 해는 리저브 팀에서 주전 골리로 시즌을 보냈다.

이후 2012-13 시즌에 슈타르케와 하스가 동시에 팀을 떠나고, 대체자로 영입된 팀 비제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4라운드 하노버전을 통해 데뷔했다. 전반기가 끝나고 나서는 에우렐류 고미스가 영입되며 밀려났다가 고미스가 28라운드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경기 도중 부상을 당해 시즌 아웃되며, 주전 자리를 되찾았다.

2013-14 시즌을 앞두고 새로 감독직을 맡게 된 마르쿠스 기스돌이 주전 골리는 카스테일스가 될 거라는 인터뷰를 했고, 예상대로 주전으로 출전했다. 하지만 리가에서 총 23경기동안 53실점을 할 정도로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시즌 말에는 부상으로 인해 세컨 골리 옌스 그랄에게 완전히 밀려나고 말았다.

시즌이 끝나고 올리버 바우만이 이적하면서 그의 자리는 없었고, 결국 후반기에 SV 베르더 브레멘으로 임대를 갔다가 복귀 후 팀을 떠났다.

2.3. VfL 볼프스부르크

파일:Bundesliga-Casteels.jpg

2015년 여름 VfL 볼프스부르크로 이적했다.

그의 데뷔전이었던 2015 DFL-슈퍼컵에서 샤비 알론소의 승부차기 킥을 막아내며, 팀의 우승에 공헌하였다. 이후 두 시즌은 디에고 베날리오와 경쟁하며 출전 시간을 양분했다.

2017년 여름에는 2020년까지 계약을 연장하고, 디에고 베날리오가 팀을 떠나면서, 등번호 1번을 부여받았다. 그리고 2017-18 시즌부터 주전 골키퍼로 낙점받아 뛰기 시작했다.

2.3.1. 2019-20 시즌

2019-20 프리시즌에 정강이에 실금이 생기는 부상을 당해 나오지 못하다가 11라운드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전부터 다시 복귀했다. 복귀 후 좋은 활약을 보이며 아스날 FC, FC 바르셀로나 등의 관심을 받았지만 2024년까지 재계약을 맺었다.

2.3.2. 2020-21 시즌

2020-21 시즌 역시 부동의 주전으로 시작했으며, 2라운드 경기시작 직전 복통을 호소하며 파바오 페르반이 출전한 것 빼고는 풀타임 출전했다.

7라운드 호펜하임전에서 추가시간에 주어진 페널티킥을 막아내며 1:1 무승부를 지켜냈다.

18라운드가 끝나고 발표된 전반기 키커 랑리스테에서 골키퍼 부문 12위에 올랐다.

이후, 후반기에도 활약을 이어가며 리그 32경기 33실점 14클린시트, 포칼 3경기 2실점 2클린시트, 유로파 리그 예선 2경기 2클린시트로 잘 마무리했다.

2.3.3. 2021-22 시즌

시즌 시작을 앞두고 조슈아 길라보기에게 주장 완장을 넘겨받았다.

리그 28경기 40실점 10클린시트, UEFA 챔피언스 리그 5경기 8실점 1클린시트, 포칼 1경기 2실점을 기록했다.

2.3.4. 2022-23 시즌

이번 시즌도 주장직을 이어가며 리그에서 34경기 48실점 12클린시트, 포칼 2경기 1실점 1클린시트를 기록했다.

2.3.5. 2023-24 시즌

2023년 9월 2일, 재계약을 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2023-24 시즌이 끝나면 볼프스부르크를 떠나게 되었다.

볼프스에서의 마지막 시즌은 부상과 부진 등이 겹치며 리그 25경기 39실점 4클린시트, 포칼 2경기 1실점 1클린시트에 그쳤다.

2.4. 알 카디시야 FC

2024년 6월 10일, 알 카디시야 FC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7년까지.

3. 국가대표 경력

파일:EhfOBacXgAA51pe.jpg

2013년 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로부터 첫 호출을 받았다. 2014 FIFA 월드컵 엔트리에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부상으로 인해 낙마하였다. 하지만 다음 월드컵이었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엔트리에는 포함되며 생의 첫 월드컵을 경험했다. 하지만 티보 쿠르투아에게 밀려 출전하진 못했다.

2020년 9월 8일, UEFA 네이션스 리그 아이슬란드전에서 처음으로 선발 출전했다. 하지만 55분 입술이 찢어지는 부상을 당하며 시몽 미뇰레와 교체되었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엔트리에도 포함되었지만 역시 출전하지 못했다.

월드컵 이후 기존의 주전 골키퍼 쿠르투아가 십자인대 부상으로 인한 시즌 아웃 및 도메니코 테데스코 감독과의 불화로 인해 테데스코 체제 한정으로 대표팀에 승선하지 않기로 하면서 대표팀 데뷔 후 처음으로 국제 메이저대회에서 주전 골키퍼로 낙점받아 조별리그 3경기와 16강전에 모두 출전해 여러차례 선방과 함께 2실점 밖에 하지 않으며 훌륭히 쿠르투아의 빈 자리를 잘 메워주었으나 공격진의 부진으로 16강에서 프랑스에게 패하며 여정을 마무리했다.

대회가 끝난 뒤에도 계속해서 주전 키퍼로 활약하다가 2025년 3월 9일, 은퇴를 선언했던 쿠르투아의 대표팀 복귀에 대한 반발심으로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하였다.#[1]

4. 플레이 스타일


골키퍼에게 필요한 모든 능력치를 다 갖춘 6각형 골키퍼. 키가 2m에 가까운 장신 골키퍼로 긴 팔다리에서 나오는 리치를 이용한 1대1 상황에서의 선방이 뛰어나다는 점이 카스테일스의 가장 큰 장점이다. 특히, 역동작이 걸린 상황에서도 기다란 리치를 가지고 있는 덕에 발 끝으로 막아내는 풋 세이브를 자주 보여주고, 긴 팔을 이용한 스로인을 통한 공격 전개를 선보이기도 한다. 현대 축구에서 요구하는 스위핑을 자주 시도하지만, 매 순간 침착하게 안정적으로 경기를 운영한다는 점도 카스테일스의 장점이다.

다만, 이러한 6각형의 골키퍼치고 기량이 다른 월드클래스 골키퍼들에 비해 살짝 아쉽다. 또한 경기력의 기복도 있는 편인데 빌드업 상황에서 패스나 킥 미스를 범한다 등의 실수가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유형의 골키퍼는 팀 성적이 안 좋으면 같이 안 좋아지는 유형의 선수라 이런 날에는 대량실점을 하게 된다.

5. 여담

6. 같이 보기


1 쿠르투아 · 2 알데르베이럴트 · 3 베르마엘렌 · 4 콤파니 · 5 베르통언 · 6 비첼 · 7 더 브라위너 · 8 펠라이니 · 9 R. 루카쿠
10 E. 아자르 · 11 카라스코 · 12 미뇰레 · 13 카스테일스 · 14 메르텐스 · 15 뫼니에 · T. 아자르 · 17 틸레만스
18 야누자이 · 19 뎀벨레 · 20 보야타 · 21 바추아이 · 22 샤들리 · 23 덴동커르
파일:스페인 국기.sv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파일:UEFA EURO FRA.png 티에리 앙리
파일:UEFA EURO SCO.png 숀 말로니 · 파일:UEFA EURO ENG.png 그레이엄 존스 · 파일:UEFA EURO ENG.png 루크 벤스테드
파일:UEFA EURO ESP.png 이냐키 베르가라 · 파일:UEFA EURO BEL.png 에르윈 레멘스

1 쿠르투아 · 2 알데르베이럴트 · 3 테아테 · 4 파스 · 5 베르통언 · 6 비첼 · 7 더 브라위너 · 8 틸레만스 · 9 루카쿠
10 E. 아자르ⓒ · 11 카라스코 · 12 미뇰레 · 13 카스테일스 · 14 메르텐스 · 15 뫼니에 · 16 T. 아자르 · 17 트로사르
18 오나나 · 19 덴동커르 · 20 파너컨 · 21 카스타뉴 · 22 더케텔라러 · 23 바추아이 · 24 오펜다 · 25 도쿠 · 26 데바스트
파일:UEFA EURO ESP.pn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FRA.png 티에리 앙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NG.png 루크 벤스테드 · 파일:UEFA EURO ENG.png 앤서니 배리 · 파일:UEFA EURO BEL.png 토마스 베르마엘렌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SP.png 이냐키 베르가라 · 파일:UEFA EURO BEL.png 에르윈 레먼스

1 카스테일스 · 2 데바스트 · 3 테아테 · 4 파스 · 5 베르통언 · 6 비첼 · 7 더 브라위너 · 8 틸레만스 · 9 트로사르
10 루카쿠 · 11 카라스코 · 12 카민스키 · 13 셀스 · 14 루케바키오 · 15 뫼니에 · 16 브랑크스 · 17 더케텔라러
18 망갈라 · 19 바카요코 · 20 오펜다 · 21 카스타뉴 · 22 도쿠 · 23 베르미렌 · 24 오나나 · 25 더카위퍼르
파일:UEFA EURO GER.png 도메니코 테데스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9c69;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GER.png 안드레아스 힌켈 · 파일:UEFA EURO ENG.png 루크 밴스테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9c69;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GER.png 막스 우르완스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9c69;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GER.png 움베르토 테데스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f9c69;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SRB.png 블라디미르 세프차노비치 · 파일:UEFA EURO BEL.png 브램 길렌



[1] 불화 사건이 일어난 당시에는 벨기에 축구 협회도 쿠르투아의 행동을 용납하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난 뒤 180도 돌변해서 축협 대표가 직접 쿠르투아를 설득시키기 위해 마드리드까지 갈 정도로 그를 복귀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팀보다 위대한 선수는 없다고 반발하면서 은퇴를 결심했다고 밝혔다. 이는 동시에 카스테일스를 무시하는 행동으로도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심경이 충분히 이해가 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