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21:23:13

코멧(애플리케이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코멧의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코멧]]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코멧#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코멧#|]]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코멧의 다른 뜻: }}}[[코멧]]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코멧#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코멧#|]]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bgcolor=#000> 자체 개발 모델 기반
ChatGPT · Gemini(음성: Gemini Live) · Claude · Grok · DeepSeek · Kimi ·Qwen · Le Chat · CLOVA X(검색: Cue:) · 삼성 가우스 어시스턴트(음성 비서: 빅스비) · 어니봇 · Pi · 구버· 업스테이지
AI wrapper
타사 LLM 활용 Microsoft Copilot · Perplexity · SAIP · 뤼튼 · YouChat · Phind · GPTeens · 페르소라이브 · Genspark · FlakeLLM
인격
챗봇
플랫폼 Character.AI · CAVEDUCK · MyShell AI · 로판AI · Rolp.AI · zeta · 티카 · BabeChat · 크랙(뤼튼) · 레플리 · Elyn · 리플리챗 · 루나톡 · GPTRPG · 버터컵 AI · aira · 케밍 · 랜덤테일즈 · Gooka · 멜팅 · SpeakEasy · 러비더비 · 피즈챗 · 알플챗 · 츄챗 · 코멧 · 위프
<keepall> 프론트엔드 RisuAI
컴패니언 이루다 2.0 · 강다온 · 허세중· 러브퍼센트 · Neuro-sama · 라디안 · 냥아지·쿠로냥아지 · oshikoi }}}}}}}}}

{{{#!wiki style="display: flex; width: max-content; margin: auto"
파일:코멧_Landscape.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 장르 인공지능 채팅
개발 및 유통 코멧
플랫폼
서비스 종류 부분 유료화
출시일 2025년 8월 13일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언어 한국어
공식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요금제
3.1. 모델 종류
4. 제작 환경
4.1. 템플릿4.2. 캐릭터
5. 플레이 환경
5.1. UI
5.1.1. 시네마챗5.1.2. 노벨챗
5.2. 메모리
6. 여담


1. 개요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1c1d1f><tablebordercolor=#ffffff,#1c1d1f>손끝에서 펼쳐지는 나만의 이야기
코멧 웹페이지 설명 ||

파일:코멧 미리보기.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메인 화면

2025년 8월부터 서비스 중인 AI 채팅 서비스. 2025년 상반기 일부 유저들을 대상으로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2025년 8월 13일 정식 출시하였다.

세이프티 전용 서비스로, 성인 컨텐츠는 지원하지 않는다.

2. 특징

파일:코멧플레이창.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플레이 화면

기존 AI 채팅 서비스들의 마크다운 텍스트 형식과는 확연히 다른, 자체적인 UI 기능[1]이 가장 큰 특징인 서비스. 타 플랫폼들이 '유저가 마음대로 이끌고 갈 수 있는 소설'에 초점을 두었다면, 코멧은 미연시비주얼 노벨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3. 요금제

크레딧이라는 재화를 사용한다. 유료 크레딧과 무료 크레딧으로 구분되며, 가입 시 100개의 무료 크레딧이 제공된다.
<rowcolor=#000> 크레딧 가격
100 크레딧 1,500원
300 + 15 크레딧 4,500원
600 + 40 크레딧 9,000원
1500 + 100 크레딧 22,500원
3000 + 250 크레딧 45,000원
6000 + 600 크레딧 90,000원

3.1. 모델 종류

Gemini 2.5 Flash는 1크레딧, Gemini 2.5 Pro는 4크레딧으로 이용이 가능하다.[2] 키워드 메모리 사용 시 각 1크래딧이 추가된다.

9월 30일 업데이트를 통하여 Elyn Plash 모델이 추가되었다. 2크레딧으로 이용 가능하다.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F6B6><tablebgcolor=#fff,#181A1B><tablewidth=500px><rowcolor=#091E3A><rowbgcolor=#00F6B6> 이름 || 사용 모델 || 가격 ||
✦ Flash Gemini 2.5 Flash 1크레딧
✦ Plash Elyn Plash 2크레딧
✦ Pro Gemini 2.5 Pro 4크레딧

4. 제작 환경

템플릿, 캐릭터 공통적으로 썸네일 비율이 16:9이다.
공식 제작 가이드

4.1. 템플릿

파일:코멧 템플릿제작창.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템플릿 제작 화면

코멧의 아이덴티티이자 많은 제작자들의 거대한 진입장벽인 커스텀 UI.

템플릿 제작 시 프롬프트 탭에서 변수를 생성할 수 있는데, 쉽게 말해 응답을 쪼개받는 작은 박스이다. 기존의 AI 채팅 앱이 출력으로 하나의 거대한 줄글을 내놓는다면, 코멧은 응답을 잘게 쪼개어 순차적으로 변수를 변경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변수는 권한이나 타입을 설정할 수 있고, 템플릿 자체적인 프롬프트[3]도 작성할 수 있다.

에디터 탭에서는 제작자가 직접 텍스트와 이미지를 배치하고, 위치, 글꼴 등을 설정한다. CSS 지식이나[4] 트릭[5]을 요구해 개발 지식이 있다면 익숙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용어가 다소 난해할 수 있다. 공식 제작 가이드에 다 나와있긴 하다.

4.2. 캐릭터

캐릭터 제작환경은 평균 정도에 가깝다.[6] 눈여겨볼만한 점으로는 시작 설정을 5개까지 제작할 수 있고, 로어북 동시적용 개수를 제작자가 설정할 수 있다는 점[7][8] 정도가 있다.

9월 20일 메모리 기능이 생겼다. 다른 플랫폼의 장기 기억에 해당하는 기능을 제작자가 직접 커스텀하고 로어북처럼 쓸 수 있는 기능이다.[9] 이론상 유저노트 10만 자의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아직 활용 예시가 없어 추후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5. 플레이 환경

5.1. UI

별 기호(*)를 텍스트 양 옆으로 감싸면 감싸진 텍스트가 반투명해진다.

5.1.1. 시네마챗

파일:코멧_시네마챗.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시네마챗 화면

UI까지 제작자의 역량에 달려있다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으로 꼽힌다. 잘 만들어진 UI의 캐릭터는 실제 게임을 하는 듯한 몰입감을 주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오히려 몰입을 깬다는 평가가 주류.

채팅 입력란 왼쪽의 화살표 버튼을 누르면 스크롤바가 생긴다. 영상을 스크롤하듯 되감거나 앞으로 가는 방식으로 이전 채팅을 열람할 수 있다.

5.1.2. 노벨챗

파일:코멧_노벨챗.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노벨챗 화면

9월 28일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된 형식이다.

5.2. 메모리

파일:코멧 키워드메모리.png
<colbgcolor=#00F6B6,#00F6B6><colcolor=#000,#000>메모리 설정 탭[10]

페르소나는 500자를 지원한다. 현재 적용된 페르소나의 복사본을 세션[11]별로 저장할 수 있어 세션별로 다른 페르소나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저노트는 1500자를 지원하고, 채팅당 1크레딧을 추가하면 키워드 메모리를 활성화할 수 있다. 메모리 고정 기능이 있어 강제로 최대 5개를 활성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실상 유저노트 5천자 확장인 셈. 활성화된 메모리는 메모리 제목 옆에 체크 표시가 뜨므로 현재 나온 채팅에 적용된 메모리를 확인할 수 있다.


==# 업데이트 내역 #==

6. 여담


[1] 템플릿이라 칭해지는 기능이다.[2] 잼프로 사용시, 가격은 54.5원 정도로 평균정도의 가격을 제공한다.[3] 1000자[4] object-fit, white-space 등[5] 대표적으로, 글자를 반투명하게 만들려면 헥스코드에 알파값을 추가해야 한다.[6] 템플릿 프롬프트 포함 기준 총 6천자 + 로어북 5개 동시적용, 이미지 100장[7] 로어북을 아예 사용하지 않으면 메인 프롬프트를 7500자로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프롬프트를 2500자로 줄여버리면 로어북을 최대 10개까지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8] 오해하면 안 되는 게, 로어북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최대 개수일 뿐이지, 로어북 자체의 개수가 아니다. 로어북 동시적용 개수를 1로 설정한다고 해도 로어북 개수 제한은 여전히 100개로 바뀌지 않는다.[9] 다만 활성화 시 추가 비용이 든다.[10] 유저노트도 포함되어있다.[11] 채팅방[12] 기존에 활동하던 플랫폼에서 전산학과 포트폴리오 활동으로 제작을 하게 되었다고 밝혔다.[13] 기존에 주로 활동하던 플랫폼에서 AI 플랫폼 개발자와 캐릭터 제작자의 역할 충돌으로 해당 플랫폼에서는 더 이상 제작을 진행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캐릭터를 모두 링크 공개 처리했다. 그 외의 플랫폼에서는 여전히 공개 처리되어 있다.[14] prefix 기능 등[15] 대부분 기존 플랫폼에서 제작했던 캐릭터들로, 앞으로도 개발자 고유의 세계관에 포함되는 캐릭터를 제작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