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송 베케르|1 {{{#fff A. 베케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2 고메즈 9 다르윈 · 10 맥 알리스터 · [[모하메드 살라|11 M. 살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14 키에사 · 17 존스 · 18 각포 · 19 엘리엇 20 디오구 J. · 21 치미카스 · [[앤디 로버트슨|26 로버트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38 흐라벤베르흐 · 56 야로스 · 62 켈러허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66 알렉산더아놀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78 콴사 · 80 모튼 · 84 브래들리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colcolor=#fff> 리버풀 FC No. 17 | |||||
커티스 존스 Curtis Jones | |||||
<colbgcolor=#d00027> 본명 | 커티스 줄리언 존스 Curtis Julian Jones | ||||
출생 | 2001년 1월 30일 ([age(2001-01-30)]세) | ||||
잉글랜드 머지사이드주 리버풀 | |||||
국적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잉글랜드|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85cm[1] / 체중 75kg | ||||
포지션 |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d00027><colcolor=#fff> 유스 | 리버풀 FC (2010~2019) | |||
프로 | 리버풀 FC (2019~ ) | ||||
국가대표 | 2경기 1골[2] (잉글랜드 / 2024~ ) | ||||
S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d00027><colcolor=#fff> 역대 등번호 | 잉글랜드 대표팀 - 17, 21 리버풀 FC - 17, 48 | |||
후원사 | 아디다스 |
[clearfix]
1. 개요
잉글랜드 국적의 리버풀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이다.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의 뒤를 잇는 리버풀의 로컬 보이다.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할머니가 나이지리아인이라 나이지리아 대표팀도 선택할 수 있다.3.1. 연령별 대표팀
소속 대표팀 | 연령 | 경기 | 득점 |
잉글랜드 | |||
U-16 | 6 | 1 | |
U-17 | 3 | 0 | |
U-18 | 10 | 1 | |
U-19 | 4 | 0 | |
U-21 | 19 | 4 |
일찍이 잉글랜드 연령별 대표팀에 합류해 뛰었다.
2023 UEFA U-21 챔피언십 대회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39년만의 우승을 이끌었다. 대회 기간 동안 매우 준수한 폼으로 중원의 핵을 담당하며 이스라엘과의 4강전, 스페인과의 결승전에서 팔머의 프리킥을 골로 연결하며 POTM을 차지하며 팀 내 가장 큰 활약을 선보였다.
3.2. 성인 대표팀
이후 UEFA 유로 2024 예비 명단에 뽑히며 성인 국가대표로 데뷔할 기회가 주어졌으나 최종 명단에 포함되지는 못했다.2024년 10월, UEFA 네이션스리그 기간에 티노 리브라멘토와 함께 성인팀으로 콜업 되었다.
2024년 11월, UEFA 네이션스리그 그리스 전에서 선발 출장하며 성인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고 경기에서 힐킥으로 데뷔전 데뷔골을 성공시켰다. 경기 POTM에 선정되며 환상적인 데뷔전을 가졌다.
4. 플레이 스타일
중앙 미드필더로서 준수한 신체 조건에 탄탄한 기본기를 갖추고 있다. 유스 시절에는 뛰어난 테크닉으로 주목받으며 좌측 윙어나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나, 성인 무대로 진입하면서 중앙 미드필더로 정착했으며 간혹 수비형 미드필더로도 출전하거나, 본 포지션이었던 공격형 미드필더로 출전한다.[3]존스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개인 기술로 주목받은 만큼, 공을 오래 소유하면서 간수하는 플레이를 즐긴다. 공을 다루는 터치가 부드럽고 개인 기술도 뛰어나서 상대의 압박을 기술로 벗겨낼 수 있다. 성인 무대에 막 데뷔했을 때에는 185cm, 68kg이라는 호리호리한 체형으로 상대를 벗겨내는 탈압박이 주를 이루었으나, 시즌을 거듭하면서 벌크업을 진행해 75kg 정도까지 증량하면서 신체의 밸런스가 안정적으로 잡히게 되었다. 덕분에, 현재는 프리미어리거들의 거친 몸싸움에도 굴하지 않고, 어느 정도 버티면서 공을 간수할 수 있게 되었다. 윙어 출신이다 보니, 공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패스보다는 돌파하려는 성향이 강하며, 성인 무대 데뷔골도 중거리 슈팅으로 기록했을 만큼 슈팅에 있어서 자신감을 드러낸다. 킥의 파워가 강력해서 자신의 앞에 공간이 생기면 거리를 망설이지 않고 슈팅을 시도한다. 오른발을 주로 쓰는 선수지만, 약발인 왼발도 잘 사용하고 슈팅은 사실상 양발에 가까운 수준이라는 점에서 박스 안에 숫자를 늘릴 때 위협적인 공격 옵션이 될 수 있다.
존스는 미드필더로서 필요한 에너지 레벨도 잘 갖추고 있다. 윙어를 소화했을 만큼 움직임이 민첩하고, 공이 없는 상황에서 그라운드 곳곳을 누비며 빈 공간을 채우고 적재적소에 필요한 움직임을 가져간다. 위치를 잡을 때의 위치를 선점하는 센스가 좋은 선수로, 측면으로 빠지거나 상대 팀 박스 중앙으로 침투하는 공격적인 움직임은 물론, 수비 상황에서도 적지 않은 가담을 통해 팀의 에너지 레벨을 높일 수 있다. 준주전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22-23 시즌 극후반기부터 중원에서 에너지 레벨을 올려줌과 동시에 공격에서는 특유의 볼키핑, 짧은 패스를 통한 연계 플레이와 직선적인 침투 혹은 측면으로 들어가는 더미런으로 도움을 주는 역할로 자리잡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상당히 발전된 경기력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미드필더로서 공을 방출하는 것보다는 공을 소유하는 플레이를 즐기는 성향 때문에 공을 지나치게 끌면서 템포를 늦출 때가 종종 있다. 존스의 볼 호그 기질에서 가장 큰 원인으로는 시야가 넓지 못해 경기의 큰 흐름을 읽고 판단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이 가장 크다. 경기 중 본인의 기술로 상대를 제쳐내고 공을 소유한 이후에는 경기의 전반적인 상황 파악을 빠르게 하지 못해 공을 방출해야 하는 타이밍이 늦어지다 턴오버를 당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패스에 약점이 있는 선수는 아님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으로 파이널 써드에서의 마무리 혹은 키패스를 양산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 신체 밸런스가 어느 정도 잡히고 나서는 플레이의 여유가 생겼고 간결한 플레이를 하라는 주문을 받았는지 원터치 패스나 전환 패스를 통해 템포를 살리는 플레이의 빈도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편이나, 여전히 마무리 부분에서는 의문부호가 따르고 있다.
존스의 또다른 단점으로는 상당한 유리몸이다. 유망주 시절에는 유리몸 선수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무릎이나 허벅지 부상이 아니라 주로 눈이나 피로 골절류의 부상이었기에 운이 안 좋은 케이스로 평가받았으나, 이후엔 발목 부상도 늘고 경미한 부상으로 인해 빼먹는 경기가 늘어나면서[4] 유리몸 선수의 루트를 그대로 밟고 있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서, 경기력의 일관성은 점점 떨어지고 기복은 심해지고 있다. 시즌 중에도 기복이 심해서 좋은 활약을 펼치다가도 금세 흐름을 잃고 워스트급 활약을 하는 것은 빈번하며, 더욱 큰 문제는 유리몸인데다가 부상 복귀 이후 제 경기력을 찾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 부상 빈도가 문제이지 부상 복귀 이후 일관성만큼은 좋은 대부분의 유리몸 선수들과 궤를 달리하는 단점이라 유망주 시절부터 자주 손꼽히는 단점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리버풀 FC (2017~ )
- 프리미어 리그: 2019-20
- FA컵: 2021-22
- EFL컵: 2021-22, 2023-24
- FA 커뮤니티 실드: 2022
- FIFA 클럽 월드컵: 2019
5.2. 개인 수상
- 프리미어 리그 2 올해의 선수: 2019-20
- UEFA U-21 챔피언십 토너먼트의 팀: 2023
6. 여담
- 한국 팬들 사이에서는 줄임말로 '커존'이라고 불리고 있다.
- 우상이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이다. 그런데 2021-22 시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리그 9R 원정 경기에서 호날두에게 축구공채로 발길질을 당하는 수모를 겪었다.
- 2024년 5월 15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여자친구인 잉글랜드 출신 모델 사프론 칸의 임신을 발표하며, 아빠가 되었음을 밝혔다. [5]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리버풀 FC 2024-25 시즌 스쿼드 | ||||
1 | <rowcolor=white> 2 | 3 | 4(C) | 5 | |
알리송 베케르 Alisson Becker 1992.10.02. 2018~2027 | 조 고메즈 Joe Gomez 1997.05.23. 2015~2027 | 엔도 와타루 Wataru Endo 1993.02.09. 2023~2027 | 버질 반 다이크 Virgil van Dijk 1991.07.08. 2018~2025 | 이브라히마 코나테 Ibrahima Konaté 1999.05.25 2021~2026 | |
<rowcolor=white> 7 | 8 | 9 | 10 | 11 | |
루이스 디아스 Luis Díaz 1997.01.13. 2022~2027 | 도미니크 소보슬라이 Dominik Szoboszlai 2000.10.25. 2023~2028 | 다르윈 누녜스 Darwin Núñez 1999.06.24. 2022~2028 | 알렉시스 맥 알리스터 Alexis Mac Allister 1998.12.24. 2023~2028 | 모하메드 살라 Mohamed Salah 1992.06.15. 2017~2025 | |
<rowcolor=white> 14 | 17 | 18 | 19 | 20 | |
페데리코 키에사 Federico Chiesa 1997.10.25. 2024~2028 | 커티스 존스 Curtis Jones 2001.01.30. 2018~2027 | 코디 각포 Cody Gakpo 1999.05.07. 2023~2028 | 하비 엘리엇 Harvey Elliott 2003.04.04. 2019~2027 | 디오구 조타 Diogo Jota 1996.12.04. 2020~2027 | |
<rowcolor=white> 21 | 26(3C) | 38 | 56 | 62 | |
코스타스 치미카스 Kostas Tsimikas 1996.05.12. 2020~2027 | 앤디 로버트슨 Andy Robertson 1994.03.11. 2017~2026 |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Ryan Gravenberch 2002.05.16. 2023~2028 | 비테슬라프 야로스 Vítězslav Jaros 2001.07.23. 2020~2025 | 퀴빈 켈러허 Caoimhin Kelleher 1998.11.23. 2018~2028 | |
<rowcolor=white> 66(VC) | 78 | 80 | 84 | 95 | |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Trent Alexander-Arnold 1998.10.07. 2016~2025 | 자렐 콴사 Jarell Quansah 2003.01.19. 2021~2025 | 타일러 모튼 Tyler Morton 2002.10.31. 2021~2025 | 코너 브래들리 Conor Bradley 2003.07.09. 2021~2026 | 하비 데이비스 Harvey Davies 2003.09.03. 2022~2025 | |
리버풀 FC 2024-25 시즌 임대선수 | |||||
<rowcolor=white> 22 | 43 | 46 | 47 | 50 | |
칼빈 램지 Calvin Ramsay 2003.07.31. 2022~2027 위건 애슬레틱 FC 임대 2025.06.30 복귀 | 스테판 바이체티치 Stefan Bajčetić 2004.10.22. 2021~2027 UD 라스팔마스 임대 2025.06.30 복귀 | 리스 윌리엄스 Rhys Williams 2001.02.03. 2019~2026 모컴 FC 임대 2025.06.30 복귀 | 나다니엘 필립스 Nathaniel Phillips 1997.03.21. 2016~2025 더비 카운티 FC 임대 2025.06.30 복귀 | 벤 도크 Ben Doak 2005.11.11. 2022~2025 미들즈브러 FC 임대 2025.06.30 복귀 | |
구단 정보 | |||||
감독: 아르네 슬롯 / 홈 구장: 안필드 | |||||
출처: 리버풀 FC 공식 홈페이지,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2월 12일 |
<rowcolor=#e31e3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555555,#aaaaaa | <rowcolor=#e31e31>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1 | 조던 픽포드 (Jordan Pickford) | 1994년 3월 7일 ([age(1994-03-07)]세) | 71 | 0 | | ||
13 | 딘 헨더슨 (Dean Henderson) | 1997년 3월 12일 ([age(1997-03-12)]세) | 2 | 0 | | |||
22 | 닉 포프 (Nick Pope) | 1992년 4월 19일 ([age(1992-04-19)]세) | 10 | 0 | | |||
DF | 2 |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Trent Alexander-Arnold) | 1998년 10월 7일 ([age(1998-10-07)]세) | 33 | 4 | | ||
3 | 리코 루이스 (Rico Lewis) | 2004년 11월 21일 ([age(2004-11-21)]세) | 4 | 0 | | |||
5 | 존 스톤스 (John Stones) | 1994년 5월 28일 ([age(1994-05-28)]세) | 83 | 3 | | |||
6 | 마크 게히 (Marc Guehi) | 2000년 7월 13일 ([age(2000-07-13)]세) | 20 | 0 | | |||
12 | 카일 워커 (Kyle Walker) | 1990년 5월 28일 ([age(1990-05-28)]세) | 91 | 1 | | |||
15 | 리바이 콜윌 (Levi Colwill) | 2003년 2월 26일 ([age(2003-02-26)]세) | 4 | 0 | | |||
16 | 티노 리브라멘토 (Tino Livramento) | 2002년 11월 12일 ([age(2002-11-12)]세) | 0 | 0 | | |||
MF | 4 | 데클란 라이스 (Declan Rice) | 1999년 1월 14일 ([age(1999-01-14)]세) | 62 | 5 | | ||
8 | 주드 벨링엄 (Jude Bellingham) | 2003년 6월 29일 ([age(2003-06-29)]세) | 38 | 6 | | |||
10 | 필 포든 (Phil Foden) | 2000년 5월 28일 ([age(2000-05-28)]세) | 43 | 4 | | |||
14 | 코너 갤러거 (Conor Gallagher) | 2000년 2월 6일 ([age(2000-02-06)]세) | 19 | 0 | | |||
19 | 엔젤 고메스 (Angel Gomes) | 2000년 8월 31일 ([age(2000-08-31)]세) | 3 | 0 | | |||
20 | 콜 파머 (Cole Palmer) | 2002년 5월 6일 ([age(2002-05-06)]세) | 11 | 2 | | |||
FW | 9 | 해리 케인 (Harry Kane) | 1993년 7월 28일 ([age(1993-07-28)]세) | 101 | 68 | | ||
11 | 앤서니 고든 (Anthony Gordon) | 2001년 2월 24일 ([age(2001-02-24)]세) | 7 | 0 | | |||
17 | 잭 그릴리쉬 (Jack Grealish) | 1995년 9월 10일 ([age(1995-09-10)]세) | 39 | 4 | | |||
18 | 올리 왓킨스 (Ollie Watkins) | 1995년 12월 30일 ([age(1995-12-30)]세) | 17 | 4 | | |||
21 | 도미닉 솔랑케 (Dominic Solanke) | 1997년 9월 14일 ([age(1997-09-14)]세) | 2 | 0 | | |||
23 | 노니 마두에케 (Noni Madueke) | 2002년 3월 10일 ([age(2002-03-10)]세) | 3 | 0 | | |||
일정 | 2024-25 UEFA 네이션스 리그 | 2024년 10월 10일(목) | 홈 | | ||||
2024년 10월 13일(일) | 원정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2020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 호드리구 | 안수 파티 | 메이슨 그린우드 | 헤이니에르 제주스 | 에두아르도 카마빙가 |
가브리엘 마르티넬리 | 이강인 | 무함마드 이하타렌 | 쿠보 타케후사 | 라이언 흐라벤베르흐 | |
세바스티아노 에스포지토 | 윌리엄 살리바 | 에릭 가르시아 | 라얀 셰르키 | 부카요 사카 | |
아딜 아우시시 | 하비 엘리엇 | 페드리 | 티아고 알마다 | 마이론 보아두 | |
파비우 실바 | 조슈아 지르크지 | 조반니 레이나 | 카림 아데예미 | 주앙 페드루 | |
라시나 트라오레 | 커티스 존스 | 야리 페르스하런 | 토마스 타바레스 | 안토니오 마린 | |
브누아 바디아실 | 키야나 후버르 | 빌리 길모어 | 가브리에우 베론 | 루시엥 아구메 | |
마르쿠스 파울루 | 안데르 바레네체아 | 이삭 리하지 | 콘라드 드라푸엔테 | 트로이 패럿 | |
브리안 힐 | 알레시오 리카르디 | 에프라인 알바레즈 | 유수파 무코코 | 사비 시몬스 | |
다니엘 말디니 | 나지 위뉘바르 | 루카 운베하운 | 루크만 하킴 | 파블로 모레노 |
[1] 2023년 9월 트랜스퍼마크트 프로필 기준[2] 2024년 11월 18일 기준[3] 심지어, 22-23시즌 후반기에는 중앙으로 접고 들어오는 인버티드 풀백으로도 경기를 소화했다만, 전문적이지는 않다.[4] 21-22 시즌부터 40일, 최소 10경기 씩은 결장하고 있다. 가장 최근인 23-24 시즌엔 81일로 15경기를 결장했다.[5] 이를 밝힌 직후 경기인 24-25시즌 8R 첼시 전에서 득점을 하고 아이를 위한 세레머니까지 하였다.[6] 2분 10초 부터 그의 스카우스가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