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 | 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 |
국내 주요 거래소 | ||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 | ||
관련 이슈 | 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 |
관련 범죄 | 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 |
사건/사고 |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 }}}}}}}}} |
1. 개요
커브 DAO 토큰(Curve DAO Token, CRV)은 탈중앙화 거래소인 커브 파이낸스(Curve Finance)의 거버넌스 토큰으로, 스테이블코인 간의 효율적인 스왑(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AMM(Automated Market Maker) 기반 플랫폼이다.커브는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스테이블 자산과의 저슬리피지 거래를 지원함으로써 디파이(DeFi) 생태계 내 유동성 허브로 자리잡았다.
2. 특징
- 저슬리피지 스왑 동일한 가치의 자산(스테이블코인) 간 거래에 최적화
- AMM 기반 수학적 곡선 유동성 공급자가 손해를 보지 않도록 설계된 가격 곡선
- veCRV 시스템 락업 기간에 따른 보팅 파워와 보상률 차등
- 디파이 통합성 컴파운드, 아베, 컨벡스 파이낸스 등과의 깊은 연동성
3. CRV 토큰
CRV는 커브 파이낸스의 핵심 거버넌스 토큰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거버넌스 투표 유동성 풀 추가, 인센티브 구조 등 결정
- 보상 분배 유동성 공급자(LP)에게 CRV 보상
- veCRV 생성 CRV를 장기간 락업해 veCRV를 생성, 더 높은 보팅 파워와 수익률 획득
CRV 보유자는 자신이 원하는 풀에 인센티브를 배분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CRV 보유자를 대상으로 투표 유도 및 보상 캠페인을 벌이기도 한다.
4. 활용 사례
커브는 현재 다수의 디파이 프로젝트와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특히 스테이블코인 유동성 관리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프로토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Lido의 stETH, Frax의 frxETH, Maker의 DAI, USDC, USDT 등 다양한 자산의 안정적 거래가 커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다양한 자산의 유동성 제공자에게 보상을 분배하는 구조는 다른 보상형 생태계와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리워디 월렛은 커뮤니티 활동(댓글 작성, 설문 참여, 콘텐츠 소비 등)을 통해 포인트를 지급하고 자체 토큰으로 전환할 수 있는 플랫폼인데, 커브처럼 참여자 간 기여도 기반 인센티브 설계가 되어 있다는 점에서 유사한 철학을 공유하며, 향후 거버넌스 시스템과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5. 관련 링크
* 공식 홈페이지* 커브 DAO 포털
* 트위터
* 깃허브
* 기술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