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10:26:52

비트코인 골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BTG로 축약되는 러시아군의 편제}}}에 대한 내용은 [[대대전술단]]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대전술단#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대전술단#|]]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워크래프트 3 은어}}}에 대한 내용은 [[우주방어]]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우주방어#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우주방어#|]]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BTG로 축약되는 러시아군의 편제: }}}[[대대전술단]]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대전술단#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대전술단#|]]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워크래프트 3 은어: }}}[[우주방어]]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우주방어#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우주방어#|]]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암호화폐 목록(2024년 1월 1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정렬)
파일:비트코인 아이콘.svg 비트코인 | 파일:이더리움 심볼.svg 이더리움 | 파일:Tether 심볼.svg 테더 | 파일:XRP 심볼.svg 엑스알피(리플) | 파일:BNBcoin.png BNB
파일:솔라나로고.png 솔라나 | 파일:USDC-logo.png USDC | 파일:ada-coin-logo.png 에이다(카르다노) | 파일:도지코인 로고.svg 도지코인 | 파일:비트캐시로고.png 비트코인 캐시
파일:라이트코인 심볼.svg 라이트코인 | 파일:EthereumClassic.png 이더리움 클래식 | 파일:Pi-Network 로고.svg 파이 네트워크 | 파일:스텔라루멘 아이콘.svg 스텔라루멘 | 파일:HBAR.png 헤데라
파일:스택스로고3.png 스택스 | 파일:비트코인 아이콘.svg 비트코인 SV | 파일:알고랜드 아이콘.svg 알고랜드 | 파일:NEO(암호화폐) 아이콘.svg NEO | 파일:ICON-EOS.png 이오스
파일:IOTA Mark White.png 아이오타 | 파일:클레이튼 신로고.png 클레이튼 | 파일:비트코인 골드 아이콘.svg 비트코인 골드 | 파일:베이직 어텐션 토큰 아이콘.svg 베이직 어텐션 토큰 | 파일:Qtum 아이콘.svg Qtum
파일:NEM 아이콘.svg NEM | 파일:finschialogoonly.png 핀시아 | 파일:Creditcoin_2021_02_21_new_mark.png 크레딧코인 | 파일:스테이터스 네트워크 아이콘.svg SNT | 파일:ICON-omisego.png 오미세고
파일:ICON-CVC.png 시빅 | 파일:카이버 네트워크 로고.png 카이버 네트워크 | 파일:trustverse-logo2.png 트러스트버스 | 파일:xpc.png XP­Chain | 파일:Gluwacoin logo.png 글루와코인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용어블록체인 · 스마트 컨트랙트 · 작업 증명 · 지분 증명 · 알트코인 · ICO · P2E · NFT · 탈중앙화
국내 주요 거래소파일:업비트 로고.svg 업비트 · 파일:빗썸 아이콘.svg 빗썸 · 파일:코인원 아이콘.svg 코인원 · 파일:코빗 로고.svg 코빗 · 파일:고팍스 로고.svg 고팍스
상위권 주요 글로벌 거래소파일:바이낸스 로고.svg · 파일:Coinbase 로고.svg · 비트멕스 · Bybit · OKX · Bitget · Gate.io · KuCoin · Bitfinex · 파일:크립토닷컴 로고 가로형.svg · HTX
관련 이슈그래픽 카드 채굴 대란 (2021년 · 2022년) ·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규제 논란 · 김치 프리미엄 ·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범죄스캠 코인 · 크립토재킹
사건/사고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 · 2022년 LUNA 대폭락 · FTX 파산}}}}}}}}}
비트코인 골드
Bitcoin Gold
파일:비트코인 골드 로고.svg[1]
<colbgcolor=#152569><colcolor=#ffffff> ISO 4217 코드 XBG (비표준)
중앙은행 없음
사용국 전 세계
분류 암호화폐
기호 BTG
발행 방식 PoW(Proof-of-Work, 작업 증명)
현재 발행량 17,513,924 BTG [2]
최대 발행량 2,100만 BTG
개발 언어 C++,Qt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BTG-Pay
1. 개요2. 특징3. 논란 및 사건사고4. 취급 거래소5. 관련 문서

1. 개요

Make Bitcoin DECENTRALIZED Again[3]

비트코인에서 하드 포크되어 생성된 알트코인이다. 정식 명칭은 비트코인 골드 Bitcoin Gold이며, 비갤 코인판 등 한국 커뮤니티에서는 줄여서 '비골'이라고 많이 부른다.

비트코인 골드의 개발 계획은 2017년 10월경 발표되었으며, 2017년 10월 25일경 생성되는 491406번 블록을 기준으로 스냅샷하고, 이후 11월 1일부터 본격적인 블록 생성에 돌입하였다. 일부 거래소는 10월 25일부터 즉각 선물거래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리플레이 어택과 같은 중요한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아 블록체인 구동이 지연되었고, 이로 인해 스캠 논란과 가격이 폭락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후 11월 2일부터 테스트넷 구동이 시작되었으나 비정상 종료 등 문제가 계속 발생하여 신뢰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으나, 여러 에어드랍 이벤트와 11월 4일 대규모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안정성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11월 13일부터 메인넷이 런칭되며 정식으로 채굴 및 블록체인 구동이 시작되었다.

2018년 1월 13일 비트코인 골드의 개발자들은 비트코인의 골드의 미래와 관련된 중대한 발표가 1월 15일날 있을것이라고 예고했다.

1월 15일, 비트코인 골드에서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라이트닝 네트워크, 아토믹 스왑 등이 있다.

2024년 12월 10일 업비트에 거래 유의 종목으로 지정되며 상폐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후 12월 24일 거래지원 종료 안내로 1월 23일부터 업비트에서는 비트코인 골드를 거래할 수 없게 되었고, 이로 인해 극심한 급등락과 공방전이 펼쳐지고 있다.

이후 2025년 1월 23일 부로 업비트에서 상장 폐지되었고 3월 24일부로 빗썸과 코인원에서도 상장 폐지되었다.

비트코인 골드는 업비트 점유율이 90%에 가까운, 사실상 한국인들만 거래하는 암호화폐이다. 이후 업비트에서 거래 정지되자 빗썸 점유율이 98%까지 치솟았으며 빗썸과 코인원에서도 상폐가 되었으니 사실상 거래가 아예 안 되는 코인이다. 후술하겠지만 해외 거래소에서도 국내 물량을 막기 위해 입금을 정지했다.

2. 특징

사토시 나카모토는 특별한 하드웨어 없이 누구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그래픽카드를 이용해서 채굴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채굴의 민주화가 비트코인골드가 추구하는 특징이다. 따라서, 개발진은 ASIC에 대해 매우 적대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흔히 오직 채굴자들만의 탈중앙화를 위해 탄생한 암호화폐라 하나, 이는 일부만 맞는 말이다. 채굴의 탈중앙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공급량을 조절해 가격 조작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51% 공격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어렵게 생각할 것 없이 독과점의 폐해를 떠올리면 된다. 이는 '탈중앙화를 통한 가치 보장'을 기본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가치에 치명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부분이다. 즉, 채굴의 탈중앙화는 암호화폐에 있어서 선택 요소가 아니라 필수 요소다. 오히려 이것이 우지한을 필두로 한 몇몇 초대형 채굴업자들에 의해 크게 훼손된 상태고, 이런 상태에 반발해 비트코인에서 정식 하드포크를 통해 등장한 암호화폐가 비트코인 골드다.

2018년 7월 5일경, 블록높이 536200에서 하드포크를 통한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다. 비트코인골드는 ASIC으로 채굴 될 수 없었고 PoW 알고리즘인 Equihash의 성격 때문에 간단하게 GPU를 통해 채굴 할 수 있었으나, BITMAIN이 Equihash를 채굴 할 수 있는 Z9장비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Equihash-BTG라고 부르는 새로운 PoW알고리즘을 도입한 새로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다. Equihash-BTG는 메모리가 최소 50에서 144MB가 필요하기 때문에 ASIC에서는 채산성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이 네트워크를 계기로 ASIC 저항은 물론, 해쉬마켓에서의 ASIC 영향력에 벗어났기 때문에 51%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되었다.

2018년 7월 11일, ElectrumG 3.2.1 버전을 출시했다.
ElectrumG는 비트코인골드를 위한 SPV 지갑의 하나로 전체 노드의 데이터를 다운 받을 필요없이 일부 데이터만 사용하므로 훨씬 적은 디스크 공간사용, 콜드 스토리지 및 다중서명, 송장(인보이스) 등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ElectrumG는 매우 빠르며 매우 가볍다는 것이다.

2018년 7월 13일, 비트코인 골드 개발자들은 Lightning Labs의 LND (Lightning Network Daemon)를 기반으로 BTG의 라이트닝 네트워크(Lightning Network)구현을위한 핵심 기능을 모두 성공적으로 구현했다.

또, BTG는 Equihash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ASIC 채굴이 불가능하게 설정되어있고 채굴자에게 이익을 공유하는 서비스도 있다

비트코인 골드(BTG) 코인 반감기 2024년 4월 23일 화요일 20:13 2028년 4월 21일 , 2032년 4월 19일 , 2036년 4월 17일

3. 논란 및 사건사고

비트코인 골드는 거래소 상장 전에 개발자측에서 미리 10만개를 선채굴하고 60%는 다중서명-시간잠금 지갑에 넣어 3년간 사용을 금지하고, 35%는 지갑주소 및 사용처를 공개하고 사용, 5%는 6명의 개발자들에게 보상으로 지급하기로 하였다.

한편, 비트코인 골드를 채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중 하나의 개발자가 채굴보상의 0.5%를 자동 기부 형식으로 받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비트 코인 골드 개발자가 아니라 비트코인 골드 채굴 소프트 웨어 개발자를 말한다.)이로인해 시세는 250달러에서 150달러로 급락하기도 했다. 이후 개발자는 "나는 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들였으며 그에 대한 작은 보상이라고 봐주면 좋겠다, 0.5%는 보통 채굴자에게는 한달에 1달러도 되지않는다. 채굴 소프트웨어는 오픈 소스이므로 누구나 원하면 기부 코드를 지울 수 있고, 공식 풀은 채굴 수수료가 0%이므로 다른 풀보다 결국 저렴하다." 라고 해명했다.

이에 대해 채굴자들은
당연히 개소리이다. 첫번째로 대부분의 유저들은 아무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도 소스 코드를 뜯어고칠 능력이 안 되므로 눈뜨고 돈을 뜯겨야 하며, 저딴식으로 수수료를 뜯어가는 것은 전혀 작은 보상이 아니다. 신용카드 회사들이 떼돈을 긁어모으는 것도 거래 한번 한번에 소량의 수수료를 뜯어가기 때문이다. 수수료란 작아보여도 절대 작은 액수가 아니다.
라는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이 문제는 해결되었고, 채굴자는 자신이 채굴한 비트코인 골드 전부를 온전히 획득할 수 있다.

Equihash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꾸준한 최적화를 통해 채산성을 높이는 등 프로그램을 개선해나가며 프로그램 자체는 무료로 배포하는 개발자를 응원하기도 했다.

2018년 5월과 2020년 1월 두 차례에 걸쳐 51% 공격을 당했다. 그런데 1800 만 달러 상당의 BTG가 도난 당했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공격자는 입금을 하고 그 트랜잭션을 롤백하는 이중지출 공격을 했지만 성공했다는 공개적인 증거는 없었다. 이중지출 거래는 거래소를 목표로 하게 되는데 어느 거래소도 피해액이 있다고 얘기한 곳이 없는 상태이다. 1800만 달러인데 어느 누구도 피해자가 없다? 아마도 공격자의 거래소의 계정이 잠겼거나 해서 실패했을 확률이 높다. 이 사건 여파로 비트코인 이용자들이 큰 피해를 겪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보안성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였다.

4. 취급 거래소


국내 모든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골드를 상장폐지했다. 상술했듯, 비트코인 골드는 사실상 한국인들끼리만 거래하는 암호화폐라서 해외 거래소의 거래량은 거의 없다시피 한데다가 이들은 환차손을 막기 위해 입금을 막아놓은 상태다. 따라서, 기존에 국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골드를 아직 현금화하지 못했다면, 해외 거래소의 입금정지가 풀리기 전에는 현금화가 불가능하다.

5. 관련 문서


[1] 비트코인비트코인 캐시 로고와 달리 ₿(파일:BitcoinSymbol.png)가 곧게 서 있다.[2] 2023.12.10 기준[3] 도널드 트럼프의 'Make America GREAT Again' 패러디이다. 뜻은 비트코인을 다시 탈중앙화하라는 것인데, 문제는 비트코인골드 자체가 비트코인보다 더 탈중앙화가 안 되었다는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