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03:00:39

카라해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바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제수로기구 S23 기준
[ 해도 펼치기 · 접기 ]
파일:S23_Ed3_Sheet_1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2_Small.jpg
파일:S23_Ed3_Sheet_3_Small.jpg
<colbgcolor=#334455>태평양<colbgcolor=#eef,#002>남중국해 · 동인도제도(술루해 · 술라웨시해 · 몰루카해 · 토미니만 · 할마헤라해 · 세람해 · 반다해 · 아라푸라해 · 티모르해 · 플로레스해 · 보니만 · 발리해 · 마카사르 해협 · 자바해 · 사부해) · 동중국해 · 동해 · 말라카-싱카포르 해협(말라카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베링해 · 브리티시컬럼비아 연안 · 비스마르크해 · 산호해 · 세토내해 · 솔로몬해 · 알래스카만 · 오호츠크해 · 캘리포니아만 · 타이만 · 태즈먼해 · 태평양(동태평양 · 서태평양 · 남태평양 · 북태평양) · 필리핀해 · 황해(발해)
대서양기니만 · 대서양(남대서양 · 북대서양) · 라플라타 강 하류 · 마르마라해 · 멕시코만 · 발트해(보트니아만 · 핀란드만 · 리가만) · 북해 · 브리스틀 해협 · 비스케이만 · 세인트로렌스만 · 스카게라크 해협 · 스코틀랜드 연안 · 아일랜드해 · 영국 해협 · 지중해(지브롤터 해협 · 알보란해 · 발레아레스해 · 리구리아해 · 티레니아해 · 이오니아해 · 아드리아해 · 에게해) · 카리브해 · 펀디만 · 흑해(아조프해)
인도양그레이트오스트레일리아만 · 라카디브해 · 모잠비크 해협 · 배스 해협 · 버마해 · 벵골만 · 수에즈만 · 아덴만 · 아라비아해 · 아카바만 · 인도양 · 페르시아만 · 홍해
북극해그린란드해 · 노르웨이해 · 데이비스 해협 · 동시베리아해 · 라프테프해 · 래브라도해 · 링컨해 · 바렌츠해 · 배핀만 · 백해 · 보퍼트해 · 북극해 · 북서항로 · 축치해 · 카라해 · 허드슨만 · 허드슨 해협
남극해드레이크 해협
카스피해카라보가스골만}}}}}}}}}


1. 개요2. 지리적 특성3. 기후4. 생태계5. 자원6. 환경 문제7. 미래 전망

1. 개요

카라해(Kara Sea)

러시아 북쪽에 위치한 북극해의 일부로, 노바야젬랴 제도와 세베르나야젬랴 제도 사이에 자리 잡고 있다. 서쪽으로는 바렌츠해, 동쪽으로는 랍테프해와 접해 있으며, 면적은 약 88만 km²에 달하고 평균 수심은 110m이다.

2. 지리적 특성

카라해는 북극권에 위치하여 극심한 추위와 긴 겨울, 짧은 여름이 특징이다. 해안선은 복잡하고 많은 만과 섬들이 흩어져 있으며, 주요 섬으로는 비제 섬, 딕슨 섬, 올레니 섬, 콜차크 섬, 라스토르구예프 섬 등이 존재한다. 카라해로 흘러 들어오는 주요 강으로는 오비강, 예니세이강, 퍄시나강, 타이미르강 등이 있으며, 이 강들은 많은 양의 담수를 공급하여 카라해의 염분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3. 기후

카라해는 극지방의 특성상 매우 추운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철에는 평균 기온이 영하 20도에서 영하 30도까지 떨어지며, 여름철에도 평균 기온이 0도에서 5도 사이로 유지된다.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해빙으로 덮여 있으며, 여름철에 일시적으로 해빙이 녹아 항해가 가능한 시기가 제한적이다.

4. 생태계

카라해는 극한의 환경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플랑크톤, 갑각류, 어류, 해양 포유류 등이 대표적이며, 특히 벨루가, 바다표범, 북극곰 등이 서식하는 중요한 서식지이다. 또한, 카라해 주변의 툰드라 지역에는 순록, 북극여우, 레밍 등 다양한 육상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5. 자원

카라해는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여 러시아의 주요 에너지 생산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어족 자원도 풍부하여 어업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원 개발은 환경 파괴와 생태계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6. 환경 문제

카라해는 핵폐기물 투기 문제로 인해 심각한 환경 오염에 직면해 있다. 과거 소련은 카라해에 핵잠수함과 방사성 폐기물을 투기했으며,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심각하게 오염되었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빙 감소가 카라해의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7. 미래 전망

지구 온난화로 인해 북극해의 해빙이 감소하면서 카라해의 항로가 점차 개방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는 새로운 해상 운송 경로를 열어 경제적 이점을 가져다줄 수 있지만, 동시에 환경 파괴와 생태계 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따라서, 카라해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