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22:34:20

츠노다 유키/선수 경력/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츠노다 유키|츠노다 유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츠노다 유키/선수 경력|츠노다 유키/선수 경력]]
<nopad> 파일:레드불 심볼.svg
2024 시즌 2025 시즌 현재
파일:포뮬러 1 로고 (화이트).svg
2025 시즌 순위 (5R)
현재 16위
츠노다 유키
2025 시즌
파일:tsunoda-redbull.png
<colbgcolor=#1f2538><colcolor=#fff> 소속 팀 <colbgcolor=#fff,#191919>비자 캐시 앱 레이싱 불스 포뮬러 원 팀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1]
경과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종료 기준)
우승 0회
폴 포지션 0회
패스티스트 랩 0회
포디움 0회
그랜드 슬램[2] 0회
해트트릭[3] 0회
폴 투 윈 0회
총점 5점
평균 스타팅 그리드[4] 9.2위
평균 완주 순위[5] 12.25위


1. 개요

츠노다 유키F1 2025 시즌 활약상을 정리한 문서. 츠노다가 F1에 참가하는 5번째 시즌이자 알파타우리 & 레이싱 불스 소속으로 참가하는 5번째 시즌이다.

후술한 대로, 리암 로슨이 성적 부진으로 인해 레이싱 불스로 강등되고 츠노다가 레드불로 콜업됨에 따라 츠노다가 레드불 소속으로 참가하는 첫 시즌이 되었다.

2. 프리 시즌

기존의 팀메이트였던 리암 로슨레드불로 승격됨에 따라 새로운 팀메이트로 신인 드라이버인 아이작 하자르를 맞이한다. 또한, 시즌 전 레드불의 새로운 리저브 드라이버로 발탁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3. 시즌 상세

3.1. 전반기

3.1.1. 1R: 호주 그랑프리

FP2에서부터 좋은 모습을 보이더니, 퀄리파잉에서는 페라리 듀오를 뛰어넘는 기록을 작성하며 5번 그리드에서 레이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러나 레이스에서 불운을 맞이하고 말았다. 약간의 아쉬운 스타트 이후 7위에서 안정적으로 잘 달리고 있었으나 레이스 후반부에 소나기가 내리는 상황에서 츠노다를 그대로 슬릭 타이어로 달리게 하는 팀의 아쉬운 전략으로 인해 12위까지 떨어지고 말았다.이번에도 이탈리아식 전략이 문제다

3.1.2. 2R: 중국 그랑프리

스프린트에서는 P6를 기록하며 3포인트를 획득, 레이싱 불스에게 시즌 첫 포인트를 안겨주었다.

퀄리파잉에서는 이번에도 Q3까지 진출하였고, Q3에서는 12ㆍ13번 코너를 크게 돌며 트랙을 벗어나는 실수를 범하였고 팀메이트 아이작 하자르[6]에 뒤쳐진 9위를 기록하였다.

레이스에서는 스타트에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인 하자르를 추월한 후 줄곧 8위 자리에서 달리다가, 레이싱 불스가 투 스탑 전략을 택해 두 번째 피트 스탑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예상 외로 대부분의 팀들이 원 스탑 전략을 선택하는 바람에 포인트권에서 멀어졌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프런트 윙이 갑자기 혼자서 부서지는(...) 억까를 당하면서 완주한 드라이버들 중 최하위인 16위를 기록하였다.
3.1.2.1. 레이싱 불스에서 레드불로의 콜업
그런데 레이스 종료 후, 리암 로슨의 처참한 퍼포먼스를 참다 못한 레드불 수뇌부가 긴급 회동을 가졌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뒤이어 Autosport 등의 언론들, 랄프 슈마허 등이 츠노다와 로슨의 스왑설을 주장하면서 자신의 홈 그랑프리를 앞두고 마침내 레드불로 승격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생겼다.

결국 일본 그랑프리를 앞두고 리암 로슨을 대체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파일:츠노다-로슨 시트 스왑.png
츠노다 유키, 리암 로슨을 대체하여 레드불 소속으로 출전
그리고 2025년 3월 27일, 공식적으로 스즈카부터 남은 시즌을 오라클 레드불 레이싱 소속으로 치른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

3.1.3. 3R: 일본 그랑프리

레드불로 콜업 이후 첫 경기이자 첫 홈 경기이다.

처음으로 레드불을 몰았던 금요일 두 차례의 연습 세션 종료 이후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하루였다고 이야기하였으며, 아직 차에 적응 중이기에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이야기하였다. FP1에서도 막스 베르스타펜에 0.1초만 뒤진 좋은 기록을 보였다.

그러나 퀄리파잉 Q2에서 잔디 화재로 인한 레드 플래그 이후 재개된 세션에서 마지막 트라이를 할 때 여러 차례 흔들렸고, 결국 15위 최하위로 Q2 탈락을 맞이했다. 여기에 자신과 자리를 스왑한 리암 로슨은 1계단 위인 14위를 기록해 로슨에게도 패배하였다. 팀메이트인 베르스타펜은 역사적인 플라잉 랩을 기록해 스즈카에서 4연속 폴 포지션을 기록하였다.

본 레이스에서도 로슨을 추월한 것 말고는 눈에 띄는 활약을 보이지 못하면서 P12를 기록, 노 포인트로 피니시했다.

3.1.4. 4R: 바레인 그랑프리

퀄리파잉에서 레드불 데뷔 후 첫 Q3 진출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Q3에서 실수들이 겹쳐 P10으로 마무리하고 말았다. 팀메이트인 막스 베르스타펜은 브레이크 이슈로 인해 P7에 그쳤다.

레이스에서는 카를로스 사인츠 주니어와 충돌하여 레이스 카 대미지가 있기도 하였으나, 9위로 완주해 레드불 데뷔 첫 포인트 피니시에 성공하였다. 다만 레이스 내내 선행 차량들에 꽁꽁 묶여 일찍이 앞으로 치고 나가지 못해 더 많은 포인트 수확에는 실패하였다. 그 외에도 피트 스탑 때 피트 라이트에 문제가 있어 피트 스탑이 잠시 지연되는 악재가 있었다. 베르스타펜은 피트 라이트 문제에 한술 더 떠 피트 스탑 때 타이어 교체 도중 크로스 스레드로 타이어가 빠지지 않아 피트 스탑이 끔찍하게 지연되는 이슈도 있었다.

3.1.5. 5R: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예선에서는 Q3에 진출하여 8위를 기록하였다.

본선 레이스에서는 1랩 4번 코너에서 피에르 가슬리와 접촉한 후 벽과 충돌하며 리타이어했다. 이 사고로 가슬리 역시 리타이어했으며, 세이프티 카가 투입되었다.

3.1.6. 6R: 마이애미 그랑프리

마이애미 그랑프리를 앞두고 실버스톤 서킷에서 RB19을 타고 TPC(Test of Previous Cars) 테스트를 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현재 RB21에 비해 운전이 쉬운 RB19로 자신감을 회복하고 결과적으로 츠노다가 레드불에 적응할 수 있도록 마련된 테스트였다.

3.1.7. 7R: 에밀리아로마냐 그랑프리

3.1.8. 8R: 모나코 그랑프리

3.1.9. 9R: 스페인 그랑프리

3.1.10. 10R: 캐나다 그랑프리

3.1.11. 11R: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3.1.12. 12R: 영국 그랑프리

3.1.13. 13R: 벨기에 그랑프리

3.1.14. 14R: 헝가리 그랑프리

3.1.15. 전반기 총평

3.2. 후반기

3.2.1. 15R: 네덜란드 그랑프리

3.2.2. 16R: 이탈리아 그랑프리

3.2.3. 17R: 아제르바이잔 그랑프리

3.2.4. 18R: 싱가포르 그랑프리

3.2.5. 19R: 미국 그랑프리

3.2.6. 20R: 멕시코 시티 그랑프리

3.2.7. 21R: 상파울루 그랑프리

3.2.8. 22R: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3.2.9. 23R: 카타르 그랑프리

3.2.10. 24R: 아부다비 그랑프리

4. 시즌 총평


[1] 3R 일본 그랑프리 부터[2]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티스트 랩 달성, 레이스 진행 중 모든 랩에서 선두[3] 퀄리파잉 1위, 레이스 1위, 패스트스트 랩 달성[4] 피트레인 스타트 제외[5] 리타이어 경기 제외[6] 7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