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8 22:06:05

쓰가루해협

츠가루 해협에서 넘어옴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해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강화해협 · 견내량 · 노량해협 · 대한해협 · 명량수도 · 사량해협 · 제주해협 · 칠천량
아시아
간몬해협 · 구루시마 해협 · 나루토 해협 · 네벨스코이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대만해협 · 도후치 해협 · 드미트리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 해협 · 롬복 해협 · 루손 해협 · 마두라 해협 · 마카사르 해협 · 마토치킨 해협 · 말라카 해협 · 미야코 해협 · 민도로 해협 · 바브엘만데브 해협 · 발리 해협 · 베링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 발해해협 · 산베르나르디노 해협 · 산후아니코 해협 · 수리가오 해협 · 순다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쓰가루해협 · 아카시 해협 · 알라스 해협 · 조호르 해협 · 충저우 해협 · 카르스키예 해협 · 쿠나시르 해협 · 쿠릴 해협 · 타타르 해협 · 포크 해협 · 호르무즈 해협
유럽
노스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도버 해협 · 릴레벨투 해협 · 메시나 해협 · 모이얼 해협 ·보니파시오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 브리스틀 해협 · 세인트조지 해협 · 스카게라크 해협 · 스토레벨트 해협 · 시칠리아 해협 · 영국 해협 · 오트란토 해협 · 외레순 해협 · 지브나 해협 · 지브롤터 해협 · 카테가트 해협 · 케르치 해협 · 코르시카 해협 · 페네슈트롬 해협 · 페마른벨트 해협
아프리카
모잠비크 해협 · 바브엘만데브 해협 · 시칠리아 해협 · 지브롤터 해협
북아메리카
골든게이트 해협 · 네어스 해협 · 데이비스 해협 · 덴마크 해협 · 돌핀 유니언 해협 · 랭커스터 해협 · 롱아일랜드 해협 · 매키나 해협 · 베링 해협 · 비스카운트멜빌 해협 · 윈드워드 해협 · 유카탄 해협 · 카르퀴네즈 해협 · 퓨리 헤클라 해협 · 프린스오브웨일스 해협 · 플로리다 해협 · 후안 데 푸카 해협
남아메리카
드레이크 해협 · 마젤란 해협 · 비글 해협
오세아니아
뉴조지아 해협 · 배스 해협 · 아이언바텀 해협 · 아폴리마 해협 · 쿡 해협 · 토러스 해협 · 포보 해협
남극
드레이크 해협}}}}}}}}}

쓰가루 해협
Tsugaru Strait | [ruby(津軽海峡,ruby=つがるかいきょう)] | Пролив Цугару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Tsugaru_Strait_landsat_7.png
<colbgcolor=#dddddd,#222>언어별 명칭
영어 Tsugaru Strait
일본어 [ruby(津軽海峡,ruby=つがるかいきょう)]
한국어 쓰가루 해협
러시아어 Пролив Цугару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일본 홋카이도혼슈 사이에 있는 해협. 남북 간 폭은 약 20km, 동서 간 너비 약 130km, 최대 수심은 약 0.45km이다.

2. 상세

두 개의 폭이 좁은 해협이 양쪽에 있으며 닷피곶이 있는 서쪽의 해협이 깊이가 얕다. 과거에는 연락선을 이용해 왕래가 이루어졌지만 일본판 타이타닉 참사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인원이 희생된 토야마루 침몰사고 이후 아오모리현의 최북단 닷피곶에서 세이칸 터널을 홋카이도까지 해협 아래로 뚫어 두 지역을 연결시켰다. 세이칸(青函)이란 명칭은 해협 양측의 주요 항구도시인 홋카이도의 하코다테시(函館)와 혼슈의 아오모리현(青森)에서 한 글자씩 딴 것으로, 세이칸 터널이 만들어지기 이전에도 세이칸 항로, 세이칸 연락선 등의 말이 쓰였다. 세이칸 터널은 철도 터널로, 자동차 도로는 이어져있지 않다. 페리도 여전히 운행되고 있어서, 자동차를 가지고 양쪽을 오가려면 동쪽 해협의 하코다테와 아오모리를 잇는 페리나 하코다테와 오마를 잇는 페리 중 한 쪽을 타고 들어가야 한다.

쓰가루 해협은 일본의 영토 사이를 지나는 해협이지만 동해를 거쳐서 태평양을 지나 미국 등지로 가는 배들을 위해 국제 항로로 쓰인다. 일본 측에서 쓰가루 해협 구간의 영해 폭을 통상의 영해 기준인 12해리(약 22.2㎞)보다 훨씬 짧은 3해리(약 5.6km)로 적용했기 때문에[1] 혼슈 측 영해와 홋카이도 측 영해의 사이를 지나감으로써 타국 선박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다. 일본 지도만 보면 구석진 바다라고 착각할 수 있지만, 전 세계 상선들이 지나다니는 주요 통로 중 하나다.[2] 심지어 외국 해군이 이 바다를 통과해도 전시가 아닌 평시라면 일본 정부가 저지할 권한이 없다. 중국에서는 2008년 최신형 군함 4척이 처음으로 이 해협을 지나가면서(#) 위협용으로 가끔씩 인민해방군 해군 군함을 통과시키기도 한다. 2021년에는 중국과 러시아의 해군 함정 총 10척이 처음으로 동시에 쓰가루 해협을 통과했다.#

혼슈에서 홋카이도로 가려면 반드시 건너야 되는 곳이기 때문에 쓰가루 해협을 배경으로 한 노래가 꽤 있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일본의 엔카 가수 이시카와 사유리가 1977년에 부른 '쓰가루 해협 겨울 풍경'(津軽海峡 冬景色)이 있으며 서브컬처계에선 아이돌 마스터하기와라 유키호가 커버하기도 하였다. '쓰가루 해협의 겨울 풍경'에서는 우에노역에서 출발하는 야간열차가 도착한 아오모리에서 화자가 홋카이도로 향하는 배로 갈아타는 모습이 그려지고 있다. 재일 한국인 출신 가수 소닌이 부른 '쓰가루 해협의 여자'도 있다.

겨울에 이루어지는 참치잡이로 유명한 곳이기도 한데, 멀리 필리핀이나 대만부터 올라온 참치들이 일본 근해를 지나는 동안 살이 통통하게 올랐다가 북태평양으로 빠져나가는 길목이 쓰가루 해협이라고 한다. 100kg이 넘는 큰 참다랑어(혼마구로)도 심심치 않게 잡히는 곳으로 여기서 외줄낚시로 잡은 참치는 고급참치로 명성이 높다고 한다.

[1] 미국의 핵항모가 수월하게 동해로 진입하게끔한 조치였다. 일본의 비핵화 선언 때문에 핵무기와 원자력을 동력으로 하는 병기가 일본 내에 진입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2] 구체적으로 말하면, 싱가포르 말라카 해협~대만해협~대한해협~동해~쓰가루 해협~북태평양~북아메리카를 잇는 루트가 아시아와 아메리카를 잇는 가장 붐비는 항로다. 평면 지도로 보면 북쪽으로 아주 크게 포물선 그리며 돌아가는 것처럼 착시현상이 일어나지만 실제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북반구에서는 이런 식으로 항해하는 게 대권항해로 질러가는 것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