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5 10:18:50

견내량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해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강화해협 · 견내량 · 노량해협 · 대한해협 · 명량수도 · 사량해협 · 제주해협 · 칠천량
아시아
간몬해협 · 구루시마 해협 · 나루토 해협 · 네벨스코이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대만해협 · 도후치 해협 · 드미트리랍테프 해협 · 라페루즈 해협 · 롬복 해협 · 루손 해협 · 마두라 해협 · 마카사르 해협 · 마토치킨 해협 · 말라카 해협 · 미야코 해협 · 민도로 해협 · 바브엘만데브 해협 · 발리 해협 · 베링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 발해해협 · 산베르나르디노 해협 · 산후아니코 해협 · 수리가오 해협 · 순다 해협 · 싱가포르 해협 · 쓰가루해협 · 아카시 해협 · 알라스 해협 · 조호르 해협 · 충저우 해협 · 카르스키예 해협 · 쿠나시르 해협 · 쿠릴 해협 · 타타르 해협 · 포크 해협 · 호르무즈 해협
유럽
노스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도버 해협 · 릴레벨투 해협 · 메시나 해협 · 모이얼 해협 ·보니파시오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 브리스틀 해협 · 세인트조지 해협 · 스카게라크 해협 · 스토레벨트 해협 · 시칠리아 해협 · 영국 해협 · 오트란토 해협 · 외레순 해협 · 지브나 해협 · 지브롤터 해협 · 카테가트 해협 · 케르치 해협 · 코르시카 해협 · 페네슈트롬 해협 · 페마른벨트 해협
아프리카
모잠비크 해협 · 바브엘만데브 해협 · 시칠리아 해협 · 지브롤터 해협
북아메리카
골든게이트 해협 · 네어스 해협 · 데이비스 해협 · 덴마크 해협 · 돌핀 유니언 해협 · 랭커스터 해협 · 롱아일랜드 해협 · 매키노 해협 · 베링 해협 · 비스카운트멜빌 해협 · 윈드워드 해협 · 유카탄 해협 · 카르퀴네즈 해협 · 퓨리 헤클라 해협 · 프린스오브웨일스 해협 · 플로리다 해협 · 후안 데 푸카 해협
남아메리카
드레이크 해협 · 마젤란 해협 · 비글 해협
오세아니아
뉴조지아 해협 · 배스 해협 · 아이언바텀 해협 · 아폴리마 해협 · 쿡 해협 · 토러스 해협 · 포보 해협
남극
드레이크 해협}}}}}}}}}

견내량
見乃梁 | Gyeonnaeryang Strait
파일:1000039999.jpg

1. 개요2. 견내량을 지나는 대교

1. 개요

견내량(見乃梁)은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를 잇는 거제대교의 아래 쪽에 위치한 좁은 해협이다. 북쪽으로는 당포, 남쪽으로는 미륵도와 접하며, 길이는 약 800m~ 1km, 폭은 가장 좁은곳은 약 250m부터 가장 넓은 곳은 약 600m에 이르며, 남쪽(해간도쪽 방향)이나 북쪽(고개도 방향)으로 갈수록 해안선이 퍼지며 폭이 넓어진다.

임진왜란 중 충무공 이순신의 대표적 승전인 한산도 대첩이 바로 견내량 해상에서 일어났다. 한산도는 견내량 남쪽에 위치해있다.

2. 견내량을 지나는 대교

견내량의 다리에는 거제대교와 신거제대교[1]가 있으며, 거제대교는 1971년 4월 8일 준공된 연육교로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와 덕호리를 잇는 길이 740m, 너비 10m, 높이 53m의 다리이다. 이후 70년대 초반 조선소의 건설로 인구와 물자이동량이 늘어나자, 거제대교 북동쪽 500m 지점에 신거제대교를 1999년도 4월 20일에 준공하였다. 신거제대교는 4차선의 길이 940m, 폭 20m, 높이 20m로 건설되었다.
[1] 신거제대교는 넓은 의미에선 견내량을 지난다고 볼수 있으나 좁은 의미로는 견내량을 지난다고 보기 어렵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