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05:21:13

출연료

1. 개요2. 유형3. 특성4. 정산

1. 개요

I have never seen it, but by all accounts it is terrible. However, I have seen the house that it built, and it is terrific.
그 영화를 보진 않았지만 들리는 말로는 끔찍하다더군요. 하지만 그 영화가 지어준 집은 봤는데 아주 멋져요.
마이클 케인, 졸작으로 평가받는 죠스: 더 리벤지에 출연한 것에 대해.

출연료()는 연예인들이 작품이나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대가로 지급받는 을 말한다. 개런티(guarantee)라고도 불린다.

배우의 경우 조연인지, 주연인지에 따라 나뉘고, 가수의 경우 행사를 가게 되면 곡당으로 받기도 한다. 공통적으로 인지도나 흥행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인지도 있는 연예인들은 출연료를 많이 줘서 시청률을 보장받고, 아직 뜨지 못했거나 신인인 경우 얼굴을 알리라는 의미의 열정 페이로 굉장히 적은 금액을 준다.

아나운서앵커를 맡은 기자는 방송사에 소속되어 있으면 출연료가 상당히 짜다.[1] 이들은 일반 직장인들과 같이 월급을 받기 때문이며 소속 방송사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것도 업무의 일환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에 아나운서를 퇴사하고 프리랜서로 전향한 전현무, 장성규, 김성주, 도경완, 배성재 등의 아나운서들이 있지만 아나운서들의 직업안정성 및 경제적 안정성을[2] 부러워하는 연예인들도 있다.

2. 유형

배우의 경우 조연, 주연, 인지도, 흥행성 등에 따라서 나뉜다. 한마디로 제작사나 스폰서 입장에서 돈이 되는 배우일수록 출연료가 높아진다. 한류라는 이름으로 해외에 적극적으로 드라마를 수출하면서 한국에서의 인기 이상으로 해외에서의 인기가 중요한 척도가 되었다. 배용준겨울연가일본에서 톱스타가 된 후 출연한 태왕사신기에서 회당 출연료 2억5000만원을 받았고, 김수현 역시 별에서 온 그대가 중국에서 대히트를 친 후 사이코지만 괜찮아에서 출연료 2억+@를 기록했다.[3] 여자 배우로는 역시 중국과 일본, 동남아 등에서 인기가 많은 이영애, 전지현의 출연료가 1억원을 상회한다고 하며 장근석, 이민호, 장동건 등도 회당 1억원 정도를 받는다고 한다. 반면 엑스트라는 '15~30만원' 정도를 받는다고 하며, 조연들도 인지도 있는 전문 조연들은 500~1000만원 가량씩 받아가지만, 얼굴이 알려지지 않은 경우 100~200만원 정도밖에 받지 못한다고 카더라.

가수의 경우에도 인지도, 흥행성에 따라 나뉘는데, 황치열중국 갔더니 한국 출연료의 100배를 주더라며 행사 2개를 취소했다고 언급했다. 아이돌은 앨범활동도 활동이지만 주로 대학축제나 군부대 위문공연, 각종 지역행사 등등에 섭외되어 돈을 버는데 비교적 인지도가 적은 여자 아이돌그룹은 과로사가 걱정될 정도로 행사를 엄청나게 뛴다. 대표적인 예로 헬로비너스, 스텔라, 밤비노, 레이샤 등이 있는데 유튜브에서 이들 그룹명만 입력해도 각종 행사직캠이 우수수 뜬다. 굉장히 몸이 힘들지만 장점이 있다면 EXID처럼 직캠 하나만 잘 뿌려지면 그게 이슈가 돼서 팀이 빵 뜨는 계기가 된다.

개그맨, MC는 천차만별인데, 대표적으로 한국 탑급 MC라고 할 수 있는 유재석은 회당 1500만원 정도를 상회한다고 한다. 김구라, 김성주, 전현무 같은 경우는 600~800만원 사이를 받는다고 한다.

3. 특성

단순하게 생각해서 '드라마 출연료가 회당 500만원이면 3달 방영분 12부작일 시 6000만원이니까 한 편 찍고 1년 놀아도 되겠네' 싶겠지만 실상은 거기서 세금을 떼고 소속사와 배분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웬만한 A급 배우가 아닌 이상 차기작을 너무 늦지 않게 잡아야 한다. 대표적으로 흥행력이 보장되는 강동원, 원빈, 송강호, 최민식, 김명민 등등의 배우야 상관없겠지만 말이다. 당장 응답하라 1988만 보더라도 대부분의 배우들이 차기작을 빨리 잡았다. 이 때가 돈 벌 시기라는 것.

보통 잘 나가는 S급 스타들은 5:5부터 시작해서 점점 인기가 높아질수록 소속사:배우가 4:6, 3:7, 2:8 이런식으로 분배가 진행된다. 제국의 아이들 멤버 중 한 명이 7:3의 계약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는데 그룹 시나위의 신대철이 받아치며 7:3은 조건이 좋은 편이며 8:2, 9:1도 허다하다고 답변했다. 참고로 9:1이라면 1회 행사비용이 3,000만원이라고 볼 때 소속사가 2,700만원을 가져가고 가수가 300만원을 가져가는 것이다. 더욱이 n인조 그룹이라면 이 300만원을 n으로 나눠야 한다.

사실, 가수는 연습하고 노래하면 그만이지만 소속사는 해당 소속 연예인들 모두를 지원해 줘야 하고, 연습생들 훈련시켜야 하고, 직원들 월급 줘야 하고, 사무실 임대료공과금을 내야 하므로 돈의 유통이 굉장히 빠르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신곡 작곡, 녹음 비용, 뮤직비디오 제작, 앨범 자켓, 바이럴 마케팅, 안무비, 무대의상, 방송미용 등을 다 합쳐서 5인조 아이돌 그룹을 발굴해서 데뷔시키기까지 10억~11억 정도의 돈이 들어간다고 하니 말 다 했다. 성공할 수 있느냐, 없느냐 불안함을 두고 로또 추첨 기다리듯[4]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거액의 돈을 투자하기란 쉽지 않고, 성공했다면 그 이상의 돈을 뽑아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문제는 소속사가 수익을 지나치게 많이 가져가는것 자체가 알고보면 명백한 횡포에 착취라고 할 수 있으며 수익을 가져가면서 연예인들을 가혹하게 부려먹는 것도 모자라 폭언과 폭행까지 저지르는 사례가 많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연예인들이 피해를 보고 있어[5] 사회적으로도 비난을 받고 있다. 그래서 사회적, 제도적인 대책과 해결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 #, #

재방송도 출연료를 받는다. 지상파 3사 기준 재방은 기본출연료 20%, 삼방은 12%, 사방 이후는 10%, 오전 1~6시 심야 시간대는 7%다. 여기의 기본출연은 본방에 받은 출연료가 아니라, 한국연기자방송노동조합과 방송 3사가 정한 등급을 기준으로 책정한 출연료로, 성인의 경우 6~18등급으로 나눠져 있다. 당연한 게 유재석 출연 예능 프로그램 같은 건 케이블에서 자주 재방송되는데 이것도 유재석 출연료를 기준으로 준다면 아무리 10%대라도 예산이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아무리 톱스타라도 재방 이상은 사전에 책정된 기본 출연료 중 10%를 지급받는다. 배우자가 방송을 잘 모른다면 재방 출연료 계좌는 따로 만들어 비상금으로 쓰는 유부남 연예인들도 있다고 한다.[6]

4. 정산

소속사에서 돈을 정산받는 것을 말한다. 소속사는 연습생을 키우면서 데뷔시키기까지 차량, 숙식, 메이크업 등등의 지원을 해주고 그건 그대로 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연습생이 데뷔 후 인기를 얻어 뜨게 되면, 정산시에 일정부분을 제하고 주는 것이다. 설현은 2016년 희망하는 것 2위를 정산으로 뽑았다. 그 동안 드라마, 예능, CF, 음반활동, 행사 등으로 벌어들인 수익이 그대로 소속사로 들어가는 것이다. 이 정도면 소속사가 해당 연예인에게 얼마나 지원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연예인에게 정산을 안 해주면 소속사가 욕을 먹게 된다. 대표적인 경우가 FNC엔터테인먼트. 피에스타차오루 역시 4년간 정산을 받지못해 핸드폰비가 미납이 되고있다고 얘기를 한 적이 있다. 임금체불


[1] SBS김현우 기자는 SBS 8 뉴스 출연료가 8천원이라고 언급했고 프리랜서 전향 이전의 배성재 아나운서는 정글의 볍칙 브라질 편 출연료도 회당 8천원이라고 언급했다.[2] 무엇보다 아나운서는 월급뿐만 아니라 근로자 소득공제, 세액공제 등이 적용된다. 그런 제도적 보호로 인해 프리랜서들에 비해 신용대출이 훨씬 안정적이다. 류현진 카드발급 거부한 썰 푼다전술한 프리랜서들이 독립후 대부분 겪는 문제다.[3] 어느 날에서 출연료 5억을 받는다는 썰이 있지만, 소속사에서는 '확인해 줄 수 없다'라고 답변했다.[4] 요즘엔 외모와 실력을 겸비해도 뜨지 못하고 있는 불운의 연예인들이 많다.[5] 실제로 연예인들의 정신질환이 생활고, 다이어트, 악플, 스토킹도 있지만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원인이 소속사의 착취에 있다.[6] 코미디빅리그의 코너 수사황 조수봉에서 문세윤황제성에 대해 폭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