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29 22:09:46

중국공산당/주요 회의



1. 개요2. 역대회의
2.1. 1기(1921~1922)2.2. 2기(1922~1923)2.3. 3기(1923~1925)2.4. 4기(1925~1927)2.5. 5기(1927~1928)
2.5.1. 5차 당대회2.5.2. 7월 12일 회의2.5.3. 8.7 긴급회의2.5.4. 임시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
2.6. 6기(1928~1945)
2.6.1. 6차 당대회2.6.2. 6기 1차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2.6.3. 6기 4중전회 확대회의2.6.4. 1931년 1월 27일 정치국회의2.6.5. 상하이 임시당중앙2.6.6. 6기 5중전회2.6.7. 준의 중앙정치국 확대회의2.6.8. 1937년 12월 정치국 회의2.6.9. 6기 6중전회2.6.10. 1939년 1월 서기처 회의2.6.11. 1943년 3월 정치국 회의2.6.12. 1944년 3월 정치국 회의
2.7. 7기(1945~1956)
2.7.1. 7차 당대회2.7.2. 1945년 9월 정치국 회의2.7.3. 7기 5중전회
2.8. 8기 (1956~1969)
2.8.1. 8차 당대회2.8.2. 8기 5중전회2.8.3. 정치국 확대회의2.8.4. 8기 8중전회2.8.5. 중군위 확대회의2.8.6. 8기 10중전회2.8.7. 정치국 상무위원회 확대회의2.8.8. 정치국 확대회의2.8.9. 8기 11중전회2.8.10. 1967년 1월 11일 정치국 회의2.8.11. 정치국 확대회의2.8.12. 8기 12중전회
2.9. 9기 (1969~1973)2.10. 10기
2.10.1. 10차 당대회2.10.2. 1973년 12월 12일 정치국 회의2.10.3. 10기 2중전회2.10.4. 1976년 4월 9일 정치국 회의2.10.5. 1976년 10월 6일 정치국 회의2.10.6. 1976년 10월 7일 정치국 회의
2.11. 19기
2.11.1. 19기 7중전회
2.12. 20기
2.12.1. 20차 당대회2.12.2. 20기 1중전회
3. 참고문헌

1. 개요

중국공산당의 역대 전국대표대회, 중앙위원회 전원회의, 정치국 회의 등을 정리하는 문서.

2. 역대회의

2.1. 1기(1921~1922)

1921년 7월 23일부터 7월 30일 사이, 상하이 프랑스 조계지에서 제1차 전국대표대회가 비밀리에 개최됐다. 코민테른에서 파견된 마린, 니콜스키가 지도했으며 13명의 대표가 참석했다.

당명이 중국공산당으로 확정, 무산계급과 함께 자본가 계급의 정권을 전복하고 계급 투쟁이 끝날 때까지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실시하며, 자본가들의 사유재산제를 폐기하고 기계, 토지, 공장, 반제품 등 모든 생산 수단을 몰수한다는 강령을 확정했다.

2.2. 2기(1922~1923)

1922년 7월 16일부터 7월 23일까지 상하이에서 제2차 전국대표대회가 개최됐다. 195명의 당원을 대표해 천두슈, 장궈타오, 리다, 양밍자이, 뤄장룽, 왕진메이, 쉬바이하오, 차이허썬, 탄핑상, 리전잉, 스춘퉁 등 12명이 참여했는데 이 중 1명에 대해서는 아직도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 대회에서 민주혁명을 위한 9개 의결안이 통과돼 중국의 모든 혁명당파, 자산계급 민주파와 연합전선을 형성하기로 결의했다. 따라서 1924년 1차 국공합작이 결성되기에 이른다. 또한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당 기관지 향도 창간. (책임주필 차이허썬)

2.3. 3기(1923~1925)

1923년 6월 12일부터 6월 20일까지 광저우에서 제3차 전국대표대회가 개최됐다. 420명의 당원들을 대표해 30여명의 대표가 출석했으며 공산당원의 중국국민당 가입 문제가 논의됐다. 격론 끝에 보고자로 나선 천두슈의 국공합작안이 가결됐다.

2.4. 4기(1925~1927)

1925년 1월 11일부터 1월 22일까지 상하이에서 제4차 전국대표대회가 개최됐다. 20명의 대표가 994명의 당원을 대표해 참석했다. 당규약이 수정됐으며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영도권 문제, 노농연맹 문제가 논의됐다.

2.5. 5기(1927~1928)

2.5.1. 5차 당대회

1927년 4월 27일부터 5월 9일까지 우한에서 82명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전국대표대회가 열렸다. 코민테른 대표단 및 우한 국민정부의 국민당 좌파 대표단도 참석했다. 장제스의 4.12 상하이 쿠데타에 대응해 기존 혁명 노선을 비판하고 무조건적인 토지혁명을 의결했다. 또한 31명의 정위원과 14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된 당중앙위원회를 선출했으며 7명의 정위원과 3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된 중앙감찰위원회도 선출했다. 정치국도 처음으로 구성됐다.

6월 3일, 취추바이와 리웨이한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보선하여 5인 체제가 완성되었다.

2.5.2. 7월 12일 회의

국공결렬을 앞두고 총서기 천두슈가 사퇴하였다. 코민테른의 지령에 따라 새로운 임시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선거되었다.

2.5.3. 8.7 긴급회의

1927년 8월 7일, 후베이성 한커우에서 개최. 천두슈를 우경 기회주의자로 맹비난하고 출당제명하였다. 토지혁명, 농민 무장폭동을 전개하기로 결정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

2.5.4. 임시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

1928년 4월 2일에 개최, 6차 당대회 개최 문제를 논의했다. 리웨이한, 런비스 두 정치국원이 중국에 남아 당무를 담당하고 덩샤오핑을 중앙 비서장으로 삼았다.

이외에 취추바이, 저우언라이 등 100여명의 대표를 모스크바에 보내 6차 당대회를 열게 했다.

2.6. 6기(1928~1945)

2.6.1. 6차 당대회

1928년 6월 18일부터 7월 11일까지 모스크바에서 열렸으며, 142명이 참가했다. 당대회 직전, 스탈린이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을 회견하고 교시를 내렸다. 취추바이가 정치보고, 저우언라이가 조직보고와 군사보고, 리리싼이 농민보고, 샹중파가 노동보고를 했고, 니콜라이 부하린도 코민테른 대표로 참석해 정치보고를 했다. 새로 당규약을 수정했다. 새로 23명의 정위원과 13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된 당중앙위원회를 구성했으며 3명의 정위원과 2명의 후보위원으로 구성된 중앙심사위원회를 선출했다.

2.6.2. 6기 1차 정치국 상무위원회 회의

1928년 9월 2일 개최. 국부군의 토벌로 파탄난 광서, 하남성의 당위원회 조직 개편 및 보강 문제를 논의했다.

2.6.3. 6기 4중전회 확대회의

1931년 1월 7일 상하이에서 개최.

2.6.4. 1931년 1월 27일 정치국회의


뤄장룽 등이 전국총공회, 공청단을 기반으로 당중앙에 반대하면서 독자적인 제2중앙(중앙 비상위원회)를 설립하고 각성과 구에 제2당위원회를 설립한 것에 대한 대응.

2.6.5. 상하이 임시당중앙

1931년 4월, 구순장이 국민당에 체포되어 전향하면서 총서기 샹중파를 비롯한 다수의 공산당원들이 토벌되었고 코민테른 극동국의 제의에 따라 1931년 9월, 임시 중앙정치국이 구성되었다.

다수의 영미권 연구들은 보구가 총서기에 올랐다고 서술하고 있으나 중국공산당의 공식 문건에는 마지막 총서기를 샹중파로 언급하고 있으며, 보구의 직위가 '총책임자'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2.6.6. 6기 5중전회

1934년 1월 15일부터 18일까지 강서성 서금에서 개최.

하지만 마오쩌둥의 노선을 우경 기회주의라고 여겨 비판적이었던 상하이 임시당중앙은 이어서 개최된 2차 전국소비에트 대표대회에서 마오쩌둥을 중화소비에트공화국 중앙집행위원회 주석으로는 유임시켰으나, 중앙정부 주석에선 해임하고 뤄푸에게 물려주게 했다.

2.6.7. 준의 중앙정치국 확대회의

1935년 1월 15일부터 1월 17일 사이에 귀주성 준의에서 개최. 총서기 보구가 격렬히 비판당하고 마오쩌둥이 다시 당권을 장악했다.

* 중앙위원회 위원 보선: 리웨이한.
* 정치국 상무위원 겸 중앙서기처 서기 보선: 마오쩌둥.
* 보구와 오토 브라운의 최고 군사지휘권을 박탈.

이후 2월 5일, 추가 회의를 통해 보구가 총책임인에서 퇴임하고 장원톈이 새 총책임인이 되었으며, 보구는 총정치부 주임 대행으로 옮겼다. 3월 4일, 중앙혁명군사위원회가 전선사령부를 수립, 주더를 전선사령관으로, 마오쩌둥을 정치위원으로 선출했다.

2.6.8. 1937년 12월 정치국 회의

1937년 12월 9일부터 12월 14일까지 개최.

2.6.9. 6기 6중전회

1938년 9월 29일부터 11월 6일 사이에 옌안에서 개최.

2.6.10. 1939년 1월 서기처 회의

1939년 1월 5일 진행.

이후 남방국은 1월 16일 충칭에서 정식으로 수립되었다.

2.6.11. 1943년 3월 정치국 회의

1943년 3월 16일부터 3월 20일 사이에 진행.

2.6.12. 1944년 3월 정치국 회의

1944년 3월 6일 진행.

2.7. 7기(1945~1956)

2.7.1. 7차 당대회

1945년 6월 19일에 7기 1중전회에 개최됐다. 마오쩌둥이 중앙위원회, 중앙정치국, 중앙서기처,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모두 독점했다.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폐지되고 중앙서기처가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업무를 대신하게 하였다.

2.7.2. 1945년 9월 정치국 회의

1945년 9월 14일 진행.

2.7.3. 7기 5중전회

1955년 4월 4일 개최.

2.8. 8기 (1956~1969)

당규약 개정으로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부활했으며, 서기처는 당의 일상공작을 담당하는 기관이 되었다.

2.8.1. 8차 당대회

1956년 9월 28일 8기 1중전회의 인선은 다음과 같다.

2.8.2. 8기 5중전회

1958년 5월 25일, 소집.

당이론잡지 홍기 창간.(편집장 천보다)

2.8.3. 정치국 확대회의

1959년 7월 2일부터 8월 1일까지 강서성 루산에서 진행. 이른바 1959년 루산회의.

2.8.4. 8기 8중전회

1959년 8월 2일부터 8월 16일 사이에 개최.

1956년 8월 24일, 전국외사회의에서 장원톈의 외교부 부부장 해임 비준.

1959년 9월 17일, 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9차 회의에서 펑더화이의 국방부장 해임 비준. 린뱌오를 후임 국방부장으로 임명. 황커청의 총참모장 해임을 비준, 뤄루이칭을 후임 총참모장에 임명.

후난성 당위원회 8기 8중전회에서 저우샤오저우 해임, 성당위원회 위원 직무 보류.

2.8.5. 중군위 확대회의

1959년 8월 18일부터 9월 12일까지 진행.

2.8.6. 8기 10중전회

1962년 9월.

2.8.7. 정치국 상무위원회 확대회의

1965년 12월 8일 ~ 12월 15일 사이에 개최.

2.8.8. 정치국 확대회의

1966년 5월 4일부터 5월 26일까지 개최. 이후 5.16 통지가 하달되고 5월 23일에 정치국 내부에 숙청이 가해졌다.

변동은 1966년 6월 4일자 인민일보를 통해 공포됐다.

2.8.9. 8기 11중전회

1966년 8월 1일부터 8월 12일 사이에 개최.

2.8.10. 1967년 1월 11일 정치국 회의

2.8.11. 정치국 확대회의

문혁소조와 군 원로들의 싸움에서 군부가 패배하면서 정치국은 정지되고 중앙문혁소조가 당을 장악한다.

2.8.12. 8기 12중전회

1968년 10월 13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진행.

2.9. 9기 (1969~1973)

2.9.1. 9차 당대회

1969년 4월 1일 ~ 4월 14일까지 진행.

2.9.2. 중국공산당 제9기 중앙위원회 제2차 전원회의

1970년 8월 23일부터 9월 6일까지 개최.

천보다가 반당분자로 몰려 숙청됨.

2.10. 10기

2.10.1. 10차 당대회

1973년 8월 24일 ~ 8월 28일까지 진행.

2.10.2. 1973년 12월 12일 정치국 회의

2.10.3. 10기 2중전회

1975년 1월.

2.10.4. 1976년 4월 9일 정치국 회의

2.10.5. 1976년 10월 6일 정치국 회의

2.10.6. 1976년 10월 7일 정치국 회의

2.11. 19기

2.11.1. 19기 7중전회

2022년 10월 9일

2.12. 20기

2.12.1. 20차 당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2년 10월 16일 ~ 2022년 10월 22일

2.12.2. 20기 1중전회

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