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4 01:50:01

종다리(2024년 태풍)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종다리(태풍)
,
,
,
,
,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4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에위니아 말릭시 개미 프라피룬 마리아
손띤 암필 우쿵 종다리* 산산*
야기 리피 버빙카* 풀라산* 솔릭
시마론 제비 끄라톤 바리자트 짜미
콩레이 인싱 도라지 마니 우사기
← 2023년 태풍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아직 발생하지 않은 태풍은 취소선 표기. 2025년 태풍}}}}}}}}}
2024년 태풍
제8호 우쿵제9호 종다리 → 제10호 산산
'''{{{#!wiki style="text-shadow: 2px 2px 0px #999; color:#ffffff"'''
<colbgcolor=#3594D3,#27658f><colcolor=#fff> 위성사진 파일:Jongdari20240819.jpg
진로도 파일:Jongdari20240822path.png
활동 기간 2024년 8월 19일 03시 ~ 2024년 8월 20일 21시
영향 지역
[[일본|]][[틀:국기|]][[틀:국기|]] 류큐 제도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제주도, 호남 지방
태풍 등급 열대폭풍[JTWC]
10분 등급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445km)
최저 기압 998hPa[3]
순간최대풍속 30m/s
최대 풍속 1분 평균 18m/s[4]
10분 평균 21m/s
<colcolor=#fff>
기상 현황 서비스 및 국민행동요령 정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75C4 0%, #4b92db 20%, #4b92db 80%, #2775C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기상 현황 및 수치 모델 예측 정보 제공 서비스
기상청 기상특보
기상청 국민행동요령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heavy-rain.do|
호우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lightning.do|
낙뢰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coldwave.do|
한파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typhoon.do|
태풍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wind-wave.do|
풍랑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heavy-snow.do|
대설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asiandust.do|
황사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strong-wind.do|
강풍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heatwave.do|
폭염
]] [[https://www.weather.go.kr/w/community/knowledge/safetyguide/drought.do|
가뭄
]]
}}}}}}}}}}}}


1. 개요2. 발생 이전3. 발생 이후
3.1. 8월 19일3.2. 8월 20일
4. 열대저압부 약화 후
4.1. 8월 21일4.2. 8월 22일
5. 피해6. 여담7. 진로 경과8. 통계9. 관련 기사

[clearfix]

1. 개요

2024년 8월 한국을 내습한 태풍. 2020년 바비 이후 4년 만에 한국 서해를 횡단해 영향을 준 태풍이다.

2. 발생 이전

===# 98W 열대요란 → TDa #===
8월 16일 9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6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6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3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9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8hPa의 열대요란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11시, JTWC에서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LOW[낮음]로 분석했다.

8월 17일 12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이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했다고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7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6hPa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고 있다.

8월 18일 10시, JTWC가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MEDIUM[중간]으로 격상했다.

8월 18일 15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2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였다.

8월 18일 21시, 일본 기상청에서 98W 열대요란을 중심기압 1004hPa, 10분 평균 풍속 15m/s의 열대저기압으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상승하였다.

8월 19일 0시, JTWC가 98W의 열대저기압 발달 가능성을 HIGH[높음]로 격상했다.

3. 발생 이후

3.1. 8월 19일

2024년 제9호 태풍 종다리(JONGDARI)8월 19일 03시에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 강풍 직경 445km[5]의 열대폭풍으로 일본 오키나와 남서쪽 약 360km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8월 19일 09시에 JTWC에서 10W TD로 지정되었다.

8월 19일 15시에 JMA 기준 중심기압 998hPa, 10분 평균 풍속 21m/s로 발달했다.

3.2. 8월 20일

8월 20일 02시에 KMA에서 제주도남쪽바깥먼바다(동중국해)에 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04시다.

8월 20일 07시 10분에 KMA에서 제주도먼바다[6]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09시다.

8월 20일 09시에 KMA에서 제주도 남쪽 바깥 먼바다(동중국해)에 내려졌던 태풍주의보를 태풍경보로 격상한다고 발표했으며 서해남부먼바다[7], 제주도 서부 앞바다에 태풍주의보를 확대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11시다.

8월 20일 12시에 KMA에서 제주도와 남해 서부 서쪽 먼바다, 제주도 앞바다[8]태풍주의보를 발표했다. 발효 시각은 당일 14시다.

8월 20일 15시에 강한 연직 시어로 인해 JMA 기준 중심기압 1000hPa, 10분 평균 풍속 18m/s로 약화되었다.

8월 20일 21시에 일본 기상청에서 태풍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4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태풍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2hPa의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었다고 발표하였다.

8월 20일 21시 40분에 대한민국 기상청에서 발효중이던 태풍특보를 모두 해제하였다.

4. 열대저압부 약화 후

종다리는 8월 20일 21시에 열대저압부로 약화되어 공식적인 태풍으로서의 활동기간은 종료되었으며 이 문단은 그 후의 내용을 서술합니다

4.1. 8월 21일

8월 21일 3시에 JTWC에서도 태풍 종다리의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면서 한미일 3국의 태풍 예보가 완전히 종료되었다. 그리고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하면서 중심기압이 상승했다.

8월 21일 9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했다. 그리고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도 열대저압부 종다리가 중심기압 1004hPa로 강화도에 상륙했다고 분석하면서 마지막 정보를 발표하였다.

8월 21일 15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했다.

8월 21일 21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6hPa로 해석했고 동해상으로 진출하였다.

4.2. 8월 22일

8월 22일 3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의 중심기압을 1004hPa로 해석했다.

8월 22일 9시에 JMA는 열대저압부 종다리가 100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해석했다.

5. 피해

현재까지 1명 사망, 1명이 부상당했으며, 2건의 인명구조가 있는 등 피해는 대체적으로 미미하다.

6. 여담

7. 진로 경과

<rowcolor=#fff>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JMA
8월 18일 15시 15kn 30kn <colcolor=black> LPA <colcolor=black> TD
8월 18일 21시 20kn
8월 19일 3시 30kn 35kn TD 열대폭풍
8월 19일 9시 35kn TS
8월 19일 15시 40kn
8월 19일 21시
8월 20일 3시
8월 20일 9시 30kn TD
8월 20일 15시 25kn 35kn
8월 20일 21시 30kn TD
8월 21일 3시 20kn
8월 21일 9시
8월 21일 15시
8월 21일 21시 소멸 및 감시 종료

8. 통계

순간최대풍속
(m/s)
(8/20~)
공식 제주도 고산 17.8 성산 15.3 서귀포 14.1
경상도 부산 19.3 북부산 15.9 통영 15.2 울릉도 14.0 산청 12.4 울산 11.8
전라도 흑산도 18.3 목포 16.1 여수 16.1 고창 16.0 완도 15.8 군산 14.5 정읍 14.2 진도군 14.1 해남 13.6
강원도
충청도 서산 16.9 보령 16.6 추풍령 13.3 천안 12.6 서청주 12.0
수도권 인천 17.6 강화 14.8 파주 13.0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29.9 대정 19.5 우도 19.2
경상도 매물도 21.3 간절곶 17.6 오륙도 16.8
전라도 신지도 25.6 갈매여 24.3 해수서 24.2 상조도 21.1 가거도 20.6 간여암 19.2 여수산단 18.7 새만금 18.5
강원도 설악산 26.1
충청도 어청도 24.7 십이동파 24.4 옹도 24.0 원효봉 23.4
수도권 인천공항 22.9 도리도 20.6 영흥도 18.3 서수도 15.7 서신 14.5 왕산 14.5 포승 13.7
최대풍속
(8/20~)
공식 제주도 고산 13.8
경상도
전라도 흑산도 13.5
강원도
충청도
수도권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16.9 대정 14.2
경상도 매물도 14.7 오륙도 13.3 간절곶 12.8 이덕서 12.4
전라도 십이동파 20.7 어청도 19.6 갈매여 19.2 해수서 18.5 신지도 17.1 간여암 16.5
강원도
충청도 안도 19.1 가대암 17.6 옹도 17.5
수도권 도리도 16.2
최다일강수량
(mm/1day)
(8/20~)
공식 제주도
경상도 거제 65.1 울산 51.4 부산 48.3
전라도 장흥 34.1 강진 27.9 목포 24.6 광주 23.7
강원도 철원 85.2
충청권 홍성 70.8
수도권 강화 128.3 동두천 107.2 파주 75.9 인천 66.3 서울 42.2
비공식
(AWS)
제주도 삼각봉 144.5 진달래밭 111.5 영실 97.5 윗세오름 94.5
경상도 온산 142.0[12] 울기 104.5 간절곶 98.0 토함산 96.5 개천 82.5 장생포 79.5
전라도 피아골 93.5 성삼재 78.0 광양백운산 70.5 뱀사골 58.0
강원도 외촌 130.5 상서 117.5 양지 116.5
충청권 근흥 127.5 태안 124.5 서산 123.0 신평 101.5 외연도 100.5 당진 97.0 원효봉 96.0
수도권 판문점 163.0 신서 130.0 연천 125.0 도라산 123.0 중면 122.5 연천청산 120.5 백학 118.0 하봉암 112.0
최저해면기압
(hPa)
(8/20~)
공식 제주도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충청권
수도권 백령도 1002.8
비공식
(AWS)
제주도 진달래밭 1001.2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충청권 가대암 1001.9
수도권

여러 기록들이 같은 날 오전에 경상도 부근으로 상륙한 열대저기압과 섞여있는 경우가 많다. 풍속 측면의 공식기록은 매우 빈약했으나, 21일 수도권에서만 일강수량 150mm가 넘는 폭우가 기록되었다. 이는 비슷한 경로였지만 훨씬 강력한 강도였던 곤파스, 링링, 볼라벤이 수도권에서 기록한 강수량보다 많은 기록이다.

9. 관련 기사


[JTWC] [JMA] [3] KMA 중심기압 996hPa, 10분 평균 풍속 19m/s #[4] JTWC 종다리 세력 경과[5] 남동쪽 280km, 북서쪽 165km[6] 제주도 남동쪽 안쪽 먼바다, 제주도 남서쪽 안쪽 먼바다[7] 서해 남부 남쪽 안쪽 먼바다, 서해 남부 남쪽 바깥 먼바다[8] 제주도 북부 앞바다, 제주도 동부 앞바다, 제주도 남부 앞바다[9] 북위 24.2도, 정확히는 일본 오키나와현 사키시마 제도 인근 중에서도 미야코지마시 부근 해상에서 발생하였다.[10] 두차례나 최악의 폭염을 일으켰기 때문에 큰 피해는 없더라도 폭염에 영향을 끼쳐 제명 신청을 할 가능성 또한 있다.[11] 기온은 대부분 8월 초에 가장 높으므로 2018년의 경우 기온 상승기에 해당했다. 입추를 지나면 기온이 떨어지는 것이 정상인데, 2024년은 8월 중순까지도 기온이 비슷하거나 조금 더 올랐다.[12] 부울경 쪽에서 관측된 강수량은 대부분 종다리의 영향이 아닌 다른 열대저기압으로 인한 강수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