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16:34:57

존 베시

파일: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기.svg
미합중국 합동참모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우주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육군
오마 브래들리
해군
아서 래드포드
공군
네이선 트와이닝
육군
리먼 렘니처
육군
맥스웰 테일러
<rowcolor=#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육군
얼 휠러
해군
토머스 무어
공군
조지 브라운
공군
데이비드 존스
육군
존 베시
<rowcolor=#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해군
윌리엄 크로우
육군
콜린 파월
육군
존 샬리카시빌리
육군
휴 쉘튼
공군
리처드 마이어스
<rowcolor=#fff>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해병대
피터 페이스
해군
마이크 멀린
육군
마틴 뎀프시
해병대
조지프 던퍼드
육군
마크 밀리
<rowcolor=#fff> 제21대
공군
찰스 브라운
}}}}}}}}}
존 베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육군참모차장기.svg
미합중국 육군참모차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J. 로턴 콜린스 웨이드 H. 헤이즐립 존 헐 찰스 L. 볼트 윌리스턴 B. 파머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리먼 렘니처 조지 데커 클라이드 D. 에들먼 박스데일 햄릿 크레이튼 에이브럼스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Ralph E. Haines Jr. 브루스 파머 주니어 알렉산더 헤이그 프레드릭 웨이안드 Walter T. Kerwin Jr.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Frederick J. Kroesen 존 베시 존 위컴 Maxwell R. Thurman Arthur E. Brown Jr.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로버트 W. 리스카시 고든 R. 설리번 데니스 라이머 제임스 피 존 H. 틸럴리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Ronald H. Griffith William W. Crouch 에릭 신세키 John M. Keane 조지 케이시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Richard A. Cody Peter W. Chiarelli 로이드 오스틴 존 캠벨 Daniel B. Allyn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임스 매콘빌 조셉 M. 마틴 랜디 조지 제임스 밍거스 }}}}}}}}}

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육군대장기.svg
초대
더글라스 맥아더
제2대
매튜 B. 리지웨이
제3대
마크 클라크
제4대
존 헐
제5대
맥스웰 테일러
제6대
리먼 렘니처
제7대
조지 데커
제8대
카터 매그루더
제9대
가이 S. 멜로이
제10대
해밀턴 하우즈
제11대
드와이트 E. 비치
제12대
찰스 H. 본스틸 3세
제13대
존 H. 마이켈리스
제14대
도널드 V. 베넷
제15대
리처드 G. 스틸웰
제16대
존 베시
제17대
존 위컴
제18대
로버트 W. 세네월드
제19대
윌리엄 J. 리브시
제20대
루이스 C. 메네트리
제21대
로버트 W. 리스카시
제22대
게리 E. 럭
제23대
존 H. 틸럴리
제24대
토머스 A. 슈워츠
제25대
리언 러포트
제26대
버웰 B. 벨 3세
제27대
월터 L. 샤프
제28대
제임스 서먼
제29대
커티스 스캐퍼로티
제30대
빈센트 브룩스
제31대
로버트 에이브럼스
제32대
폴 라캐머라
제33대
제이비어 T. 브런슨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0px; display: block; background: #4b92db; padding: 4px"
}}}}}}}}}


파일:주한미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육군대장기.svg
초대
조지 데커
제2대
카터 매그루더
제3대
가이 S. 멜로이
제4대
해밀턴 하우즈
제5대
드와이트 E. 비치
제6대
찰스 H. 본스틸 3세
제7대
존 H. 마이켈리스
제8대
도널드 V. 베넷
제9대
리처드 G. 스틸웰
제10대
존 베시
제11대
존 위컴
제12대
로버트 W. 세네월드
제13대
윌리엄 J. 리브시
제14대
루이스 C. 메네트리
제15대
로버트 W. 리스카시
제16대
게리 E. 럭
제17대
존 H. 틸럴리
제18대
토머스 A. 슈워츠
제19대
리언 러포트
제20대
버웰 B. 벨 3세
제21대
월터 L. 샤프
제22대
제임스 서먼
제23대
커티스 스캐퍼로티
제24대
빈센트 브룩스
제25대
로버트 에이브럼스
제26대
폴 라캐머라
제27대
제이비어 T. 브런슨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0px; display: block; background: #003399; padding: 4px"
}}}}}}}}}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육군대장기.svg
초대
존 베시
제2대
존 위컴
제3대
로버트 W. 세네월드
제4대
윌리엄 J. 리브시
제5대
루이스 C. 메네트리
제6대
로버트 W. 리스카시
제7대
게리 E. 럭
제8대
존 H. 틸럴리
제9대
토머스 A. 슈워츠
제10대
리언 러포트
제11대
버웰 B. 벨 3세
제12대
월터 L. 샤프
제13
제임스 서먼
제14대
커티스 스캐퍼로티
제15대
빈센트 브룩스
제16대
로버트 에이브럼스
제17대
폴 라캐머라
제18대
제이비어 T. 브런슨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0px; display: block; background: #10007c; padding: 4px"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DF0000>
파일:제8군 마크.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F0000>
미합중국 육군
제8군 사령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육군중장기.svg
제1대
로버트 아이첼버거
제2대
월튼 워커
제3대
매튜 리지웨이
제4대
제임스 밴 플리트
제5대
맥스웰 테일러
제6대
리먼 렘니처
제7대
아이작 D. 화이트
제8대
조지 데커
제9대
카터 매그루더
제10대
가이 S. 멜로이
제11대
해밀턴 하우즈
제12대
드와이트 E. 비치
제13대
찰스 H. 본스틸 3세
제14대
존 H. 마이켈리스
제15대
도널드 V. 베넷
제16대
리처드 G. 스틸웰
제17대
존 베시
제18대
존 위컴
제19대
로버트 W. 세네월드
제20대
윌리엄 J. 리브시
제21대
루이스 C. 메네트리
제22대
로버트 W. 리스카시
제23대
윌리엄 클라우치
제24대
리처드 티몬스
제25대
랜돌프 하우스
제26대
대니얼 페트로스키
제27대
대니얼 자니니
제28대
찰스 캠벨
제29대
데이비드 밸코트
제30대
조셉 필 2세
제31대
존 존슨
제32대
버나드 샴포
제33대
토머스 밴달
제34대
마이클 빌스
제35대
윌러드 벌러슨
제36대
크리스토퍼 라니브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 ||
<colbgcolor=#3366cc><colcolor=#ffffff>
파일:존 베시 대장.jpg
본명 존 윌리엄 베시 2세
John William "Jack" Vessey Jr.
출생 1922년 6월 29일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
사망 2016년 8월 19일 (향년 94세)
미네소타 노스오크스
재임기간 초대 한미연합군사령관
제10대 주한미군사령관
제16대 유엔군사령관
1976년 10월 8일 ~ 1979년 7월 10일
제10대 합동참모의장
1982년 6월 18일 ~ 1985년 9월 3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366cc><colcolor=#ffffff> 학력 조지 워싱턴 대학교 (경영학 / 석사)
임관 현지임관
복무 미네소타주 방위군
1939년 ~ 1944년
미합중국 육군
1944년 ~ 1985년
최종 계급 대장 (미합중국 육군)
최종 보직 합동참모의장
주요 보직 제34보병사단 제59포병연대 본부포대 운전병
제77포병연대 제2대대장
3기갑사단 포병사령관
육군 타이지원사령관
제4보병사단
유엔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
한미연합군사령관
}}}}}}}}}

1. 개요2. 생애
2.1. 초기 경력2.2. 한국 시절: 최초의 한미연합군사령관2.3. 합참의장이 되다2.4. 퇴역 후

[clearfix]

1. 개요

미국군인. 제10대 합참의장을 지냈다.

최초의 한미연합군사령관이며, 사병 출신 장성으로 사병에서부터 시작해 부사관, 위관, 영관을 거쳐 장관급 장교의 정점 합참의장까지 영전한 입지전적인 사례이자 2차 대전 중 상사일때 현지임관으로 소위로 부임함에 따라 원사 계급만 달았을 뿐 모든 계급을 겪어본 이례적인 인물이기도 하다.

2. 생애

2.1. 초기 경력

1922년 6월 29일에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에서 태어났다. 1939년 5월, 즉 16세 11개월에 고등학교도 졸업하지 않은 채 미네소타 주방위군의 예비군 이등병으로 등록했다.[1] 고등학교는 1940년 6월에 졸업했다. 주방위군에서 소속은 34사단 59포병연대 본부 운전병[2]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주방위군들도 징발되면서 그도 미국 육군의 일원으로 파병되었다.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싸웠고 오마 브래들리의 휘하에 있었다. 1942년 1월에는 상사(First Sergeant)로 진급할 정도로 쾌속 진급했다.[3]

1944년 5월에는 현지임관으로 소위가 되었다. 이래저래 22세에 소위가 됐는데 나이로만 따진다면 사관학교 졸업자들이 임관할 때 22세인 경우가 많다. 이어 한국 전쟁베트남전에도 참전했다.

2.2. 한국 시절: 최초의 한미연합군사령관

1976년에 대장으로 승진했는데, 대장으로서 첫 보직은 유엔군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이었다. 그러다 1978년, 한미연합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초대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졸지에 감투가 3개로 늘어난 셈(...).[4] 이 시기, 미국 지미 카터 행정부가 추진했던 주한미군 철수 정책을 강력히 비판했다. 더불어 카터 행정부의 정책에 반대하던 박정희 정부의 노력에도 지원과 조언을 아끼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때문에 오늘날까지 베시 장군은 역대 주한미군사령관 가운데서도 한국 내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 인물 가운데 한 명이다.

1979년, 존 위컴[5] 대장에게 한국 내 사령관직을 이양했다. 당초 카터 행정부의 정책을 비판한 까닭에, 보직해임당하거나 대장 2차 보임이 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우세했다. 그러나 예상을 깨고 육군본부로 복귀하여 군 후배인 에드워드 마이어 육군참모총장을 보좌하는 육군참모차장으로 지명되었다.[6]

2.3. 합참의장이 되다

미군에서는 이런 서열 역전에 그리 신경을 쓰지 않는다지만, 행정부와 각을 세웠던 경험까지 보태 본인 스스로도 마지막 보직으로 인식하고 전역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1981년, 로널드 레이건 정부가 출범하며 그에게 전역연기를 요청했다. 그가 연기를 수락함과 동시에, 전체 미군의 최선임자인 합참의장에 지명되었다. 이는 참모총장이나 통합군사령관을 거치지 않은. 미군 역사상 최초의 합참의장이다.[7] 약 3년간 의장직을 수행한 뒤, 1985년 퇴임하였다. 이런저런 이유로 고졸 출신 대장이 되었다.

존 베시가 미 합참의장을 역임하던 시기 미군은 군의 징집체계, 군수 재계약 체계, 인사/복지 및 전투준비태세를 아우르는 대대적인 변혁을 진행했다. 같은 시기에 소련은 동유럽에서 군세를 확장하며 SS20을 동독에 전개했으나, 자유진영은 여기에 군사적으로 밀리는 양상이었다. 그러나 그가 전역하던 때에 이르러선, 나토는 매우 강력한 군사동맹 체제로 되살아났다.

2.4. 퇴역 후

전역 후인 1987년에도 그는 레이건 행정부의 요청에 따라 베트남 정부와 협상을 벌여 전사한 미군 시신의 송환을 추진했었다. 전역 후에도 활발한 활동을 하며 정부를 위해 자문활동을 했고, 그 공로로 1992년 조지 H. W. 부시 대통령에 의해 민간인이 수여받을 수 있는 최고 훈장인 미국 대통령 자유 훈장(Presidential Medal of Freedom)을 수여받았다. 당시 부시는 그에게 훈장을 수여하며 "그는 절대로 '죽지 않는' 노병이며, 실제 2차 세계대전에서 싸웠던 마지막 4성장군 세대의 인물"라고 소개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Defense.gov_photo_essay_120816-D-VO565-006.jpg
2012년에 합참의장마틴 뎀프시를 만난 베시.

2016년 8월 19일, 향년 94세로 별세했다.

[1] 21세기에는 18세 이상만 입대가 가능하고 나머지는 청소년 학군단에서 군대놀이 하든가 지연프로그램 등록하고 18세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2] 자동차가 아닌 오토바이를 몰았다고 한다.[3] 다만 당시 미군의 사병 계급 체계는 지금보다는 단순했다.[4] 이때부터 한반도에서의 휴전체제를 관리하는 주한UN군사령관이, 전시에 한국군과 주한미군에 대한 총괄적인 작전권을 행사하는 한미연합군사령관주한미군의 최고위 장교인 주한미군사령관까지 3개 직책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었다. 현재도 이•취임식을 하면 3개의 직책에 대해서 각각 이•취임을 한다[5] 그가 주한미군 사령관으로 재임하던 중에 12.12 군사반란,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다.[6] 미군은 참모총장참모차장이 모두 대장 계급이다.[7] 주한미군도 합동군 아니냐고 볼 수도 있겠지만 미국에서 합동군(Joint)과 통합군(Unified Combatant Command)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