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6:02:34

조지프 스티글리츠

조셉 스티글리츠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69 1970 1971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랑나르 프리슈 얀 틴베르헌 폴 새뮤얼슨 사이먼 쿠즈네츠
<rowcolor=#cd9f51> 1972 1973 197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존 힉스 케네스 애로우 바실리 레온티예프 군나르 뮈르달
<rowcolor=#cd9f51> 1974 1975 197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찰링 코프만스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밀턴 프리드먼
<rowcolor=#cd9f51> 1977 1978 1979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베르틸 올린 제임스 미드 허버트 사이먼 시어도어 슐츠
<rowcolor=#cd9f51> 1979 1980 1981 1982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서 루이스 로런스 클라인 제임스 토빈 조지 스티글러
<rowcolor=#cd9f51> 1983 1984 1985 1986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라르 드브뢰 리처드 스톤 프랑코 모딜리아니 제임스 뷰캐넌
<rowcolor=#cd9f51> 1987 1988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솔로우 모리스 알레 트뤼그베 호벨모 해리 마코위츠
<rowcolor=#cd9f51> 1990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머턴 밀러 윌리엄 샤프 로널드 코즈 게리 베커
<rowcolor=#cd9f51>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버트 포겔 더글러스 노스 존 하사니 존 내시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라인하르트 젤텐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제임스 멀리스 윌리엄 비크리
<rowcolor=#cd9f51> 1997 1998 199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로버트 머튼 마이런 숄즈 아마르티야 센 로버트 먼델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헤크먼 대니얼 맥패든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Joseph E. Stiglitz
파일:external/img.etoday.co.kr/20110419074609_sue6870_1.jpg
이름<colbgcolor=#ffffff,#333>조지프 유진 스티글리츠
Joseph Eugene Stiglitz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부모아버지 나타니엘 데이비드 스티글리츠
어머니 샬럿 피쉬맨
배우자제인 해너웨이(1978년 결혼 ~ 이혼)
안야 쉬프린(1962년 12월 6일생, 2004년 결혼)
자녀4명
출생1943년 2월 9일 ([age(1943-02-09)]세)
미국 인디애나주 게리
학력애머스트 칼리지 (경제학 / 1964년 학사)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경제학 / 1967년 박사)
소속MIT (경제학과 / 조교수)
예일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
스탠퍼드 대학교 (경제학과 / 명예교수)
옥스퍼드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1]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
前 빌 클린턴 행정부 경제자문위원회
세계은행 (수석 부총재 · 경제학자)
컬럼비아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2]
지도교수로버트 솔로우[3]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생애3. 업적4. 정견5. 이야기 거리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조지프 유진 스티글리츠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2001년 '비대칭정보 하의 시장에 대한 분석'이라는 업적을 인정받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였다. 경제사상으로는 새 케인스학파에 속한다. 현직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수이자 전직 세계은행 부총재 역임자로 북유럽식 성장 모델을 선호하는 입장을 취했다.

2. 생애

인디애나 주에서 태어나 1964년 애머스트 칼리지에서 학부를 마치고, MIT에서 로버트 솔로우의 지도아래 1967년 24세에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27세의 나이에 예일 대학교 교수로 임용된다. 이후 옥스퍼드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등의 교수직을 거쳐 세계은행 부총재를 역임하였다. 2001년 부터 컬럼비아 대학교석좌교수직을 맡고 있다.

3. 업적

정보경제학을 사실상 완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통상적인 주류경제학 이론들은 시장의 완전성 내지 수요와 공급의 일치를 전제한다. 이 전제가 성립하려면 그보다 앞서 정보의 완전성이 성립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정보의 완전성이라는 전제는 현실에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스티글리츠의 정보비대칭이론이 규명했다. 다시 말해, 스티글리츠는 경제학 이론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비대칭성부터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써 경제학계에 충격을 안겼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그는 2001년에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정보비대칭 이론을 바탕으로 다른 분야에 대한 연구도 수행됐다. 대표적으로, 샤피로-스티글리츠의 효율 임금 모델이 있다. 이 이론은 실업과 임금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했다. 왜 시장이 균형에 도달해도 실업이 발생하는지, 왜 구직자들끼리 경쟁을 벌이는데도 임금이 변화하지 않는지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제시한 것이다.

종합적으로, 스티글리츠는 양적으로 굉장히 다작을 하면서도 질적으로 전혀 부족함이 없는 논문과 저서들을 내놓는다는 점에서 의심의 여지 없는 미국 경제학계의 석학이다. 또한, 정부 고문이나 세계은행 부총재 등을 역임했고 강연과 기고 등의 사회활동도 왕성하게 펼쳤다.

저서로는 <세계화와 그 불만>, <끝나지 않는 추락>, <불평등의 대가>, <거대한 불평등>, <시장으로 가는 길>, <불만시대의 자본주의>, 아마르티야 센과의 공동저술인 <GDP는 틀렸다> 등이 있다.

4. 정견

주류경제학자로서 MIT 박사, 예일대 교수, 미 대통령 경제고문, 세계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등 철저한 엘리트 코스를 걸어왔지만, 동시에 주류경제학이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세계화, 자유무역, 규제완화에 가장 통렬한 비판을 가하는 인물이다. 심지어 <21세기 자본>을 출판한 토마 피케티에 대해서조차 호의적인 스탠스를 취했다. 한마디로 현재 주류경제학계에서 가장 좌쪽에 있는 인물.

민주당(미국) 지지자로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일한적이 있다.

세계은행 부총재에 취임했을 때도, 세계은행과 미국 재무부가 신주단지처럼 모시고 있는 워싱턴 컨센서스[4]가 오히려 전세계의 빈곤과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한국의 1997년 외환위기 때도 세계은행과 미국 재무부가 강요한 고금리와 긴축정책이 오히려 경제위기를 가중시키고 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아서, 결국 세계은행 부총재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5]

극단적인 케인지언으로 시장주의에 반대한다. "보이지 않는 손"으로 대표되는 시장의 자기 조절 기능에 회의적이며, "간섭받지 않는 시장은 재앙"이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스페인의 반 긴축 운동을 지지하고, 2015년 10월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타결된 TPP에 대해서도 중대한 위협이며 부자들의 이익을 지켜주는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스 경제위기에 대해서도 유로존의 긴축 정책에 대해 '자살 협정'이라 할 정도로 강한 비판을 했다.

2016년 미국 대선에서는 버니 샌더스의 정책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샌더스를 지지하는 20대들의 분노는 이해해야 한다는 컬럼을 썼다.


낙수효과 이론을 강하게 공격하는 스티글리츠

5. 이야기 거리

6.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0044C9; border-right: 10px solid #0044C9;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통령 <colbgcolor=#fff,#1f2024> 앨 고어
국무장관 워런 크리스토퍼매들린 올브라이트
재무장관 로이드 벤슨로버트 루빈로렌스 서머스
국방장관 레스 아스핀윌리엄 페리윌리엄 코헨
법무장관 재닛 리노
내무장관 브루스 배빗
농무장관 마크 에스피댄 글릭먼
상무장관 론 브라운미키 캔터윌리엄 M. 데일리노먼 미네타
노동장관 로버트 라이히알렉시스 허먼
보건사회복지장관 도나 샬랄라
주택도시개발장관 헨리 시스네로스앤드루 쿠오모
운수장관 페데리코 페냐로드니 슬레이터
에너지장관 헤이즐 올리리페데리코 페냐빌 리처드슨
교육장관 리처드 라일리
제대군인장관 제시 브라운토고 웨스트
환경보호청장 캐럴 브라우너
관리예산실장 리언 페네타앨리스 리블린프랭클린 레인스잭 루
중앙정보국장 제임스 울시존 M. 도이치조지 테넷
무역대표부 대표 미키 캔터샤를린 바셰프스키
주유엔대사 매들린 올브라이트빌 리처드슨리처드 홀브룩
경제자문위원장 로라 타이슨조셉 스티글리츠재닛 옐런마틴 M. 베일리
연방중소기업청장 어스킨 볼스필립 래더아이다 알바레스
연방재난관리청장 제임스 윗
국가마약통제정책실장 리 브라운배리 맥카프리
백악관 비서실장 맥 맥라티리언 패네타어스킨 볼스존 포데스타 }}}
}}}}}}}}}


[1] 드러먼드 정치경제학 교수직[2] 경영대학원/국제공공문제대학원 정교수[3] 박사학위 논문: Stiglitz, Joseph E. (1966). Studies in the Theory of Economic Growth and Income Distribution = 경제성장론과 소득 분배에 관한 연구[4] 1980년대부터 IMF, 세계은행과 미국 정부가 경제위기에 빠진 제3세계 국가에 제시하는 경제처방. 흔히 말하는 신자유주의 노선으로 긴축재정(교육/보건/사회복지 예산 삭감), 공기업 민영화, 완전변동환율제, 자본시장 자유화(외국인 자본이동에 대한 규제 철폐), 자유무역(관세 인하 및 비관세 장벽 제거), 대규모 감세(소득세/법인세 인하), 금리자유화(외국자본 유치를 위해서 고금리를 유지하기도 한다) 등이 내용이다. 한마디로 국가의 역할을 최대한 축소하고 모든 것을 시장에 맡기라는 것이다.[5] 1998~9년 IMF가 강요한 고금리 기조 때문에 오히려 수많은 기업이 줄도산하는 상황이 도래하자, 다른 주류경제학자들 사이에서도 '이건 아니다'라는 비판이 터져나왔다. 각 국가별로 상황이 다르고 경제구조가 다른데, IMF와 세계은행이 워싱턴컨센서스를 토탈패키지를 마구잡이로 밀어붙여서 상황을 계속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오래 시간이 흐른 뒤에 IMF에서도 반성하는 듯한 내용이 나오기도 했다.[6] 참고로 당시 스티글리츠와 함께 한국 정부의 훈장을 받은 이들 중에는 외환위기 당시 IMF 총재였던 미셸 캉드쉬도 있었다. 외환위기 당시 캉드쉬가 한국에서 '경제 분야의 총독' 비슷하게 인식되었던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게 느껴질 수도 있는 대목. 이 부분은 구제금융 당시 요구받았던 구조조정 조치로 많은 실직자가 발생했던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