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8 20:40:48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강원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항목제15대 국회의원 선거강원도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

15대 총선 강원도 지역구 결과
신한국당 자유민주연합 통합민주당
9석 2석 2석

도농통합에 따른 선거구 재편이 가장 극심하게 일어났던 지역으로 신한국당 공천에 반발하여 자민련이나 무소속으로 출마한 사람들이 속출했다. 하지만 선거 결과, 신한국당이 13석 중 9석을 차지하며 강원도가 여전히 보수 여당의 표밭임을 과시했다.

2.1. 춘천시 갑

춘천시 갑
신북읍, 동면, 서면, 사북면, 북산면, 중앙동, 소낙동, 근화동, 소양동, 호반동,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 사우동, 우두동, 사농동, 신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한승수(韓昇洙) 29,990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7.80% 당선
2 이용훈(李龍薰) 3,623 3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6.98% 낙선
3 최윤(崔潤) 16,697 2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2.18% 낙선
4 이상수(李相壽) 1,572 4위

파일:무당파국민연합.svg

3.02% 낙선
선거인 수 82,523 투표율
64.86%
투표 수 53,524
무효표 수 1,642

4년 전 통일국민당 바람에 밀려 낙선했던 한승수 前 대통령비서실장이 큰 표차로 국회에 재입성했다.

2.2. 춘천시 을

춘천시 을
동산면, 신동면, 동내면, 남면, 남산면, 교동, 조운동, 약사동, 죽림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 석사동, 퇴계동, 온의동, 삼천동, 칠송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민섭(李敏燮) 19,659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20% 낙선
2 백태열(白泰烈) 3,039 4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5.34% 낙선
3 유남선(兪南善) 10,066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05% 당선
4 류종수(柳鍾洙) 20,069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7.98% 당선
선거인 수 80,496 투표율
67.66%
투표 수 54,460
무효표 수 1,627

선거구 재편으로 기존 선거구가 찢어진 신한국당의 두 현역 의원(이민섭[1], 류종수[2])이 모두 춘천시 을에 출사표를 던졌고, 이민섭 의원이 신한국당 공천을 받자 류종수 의원은 자민련으로 당적을 옮겨 본선에서 2차전을 벌였다. 투표 직후 발표된 예측조사는 이 후보의 우세로 나타났지만, 실제 개표는 접전 끝에 류 후보의 410표차 신승으로 마무리되었다.

2.3. 원주시 갑

원주시 갑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중평동, 일산동,
학성1동, 학성2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동, 태장2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함종한(咸鐘漢) 22,132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2.70% 당선
2 임현호(林鉉浩) 4,436 3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55% 낙선
3 박정원(朴正元) 3,417 4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6.59% 낙선
4 한상철(韓尙徹) 16,442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1.72% 낙선
5 원광호(元光鎬) 2,858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51% 낙선
6 정덕중(鄭德重) 2,541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90% 낙선
선거인 수 82,335 투표율
64.55%
투표 수 53,147
무효표 수 1,321

2.4. 원주시 을

원주시 을
소초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원인동,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1동, 봉산2동, 행구동, 무실동, 관설동, 반곡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영진(金營珍) 23,183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4.59% 당선
2 박전하(朴栓河) 4,532 4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71% 낙선
3 안재윤(安在潤) 3,415 5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6.56% 낙선
4 박우순(朴宇淳) 14,408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7.71% 낙선
5 김광림(金光林) 85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4% 낙선
6 김천희(金天熙) 650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5% 낙선
7 정상철(鄭上澈) 4,94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50% 낙선
선거인 수 80,601 투표율
66.41%
투표 수 53,530
무효표 수 1,545

2.5. 강릉시 갑

강릉시 갑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홍제동, 중앙동, 임당동, 옥천동, 내곡동, 장현동, 노암동, 월호평동, 입암동, 두산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돈웅(崔燉雄) 12,988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7.54% 낙선
2 김진하(金振河) 2,866 5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6.07% 낙선
3 함영회(咸泳會) 9,405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4% 낙선
4 황학수(黃鶴洙) 14,414 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0.56% 당선
5 문준식(文準湜) 2,102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45% 낙선
6 이호영(李浩永) 5,381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41% 낙선
선거인 수 71,357 투표율
67.72%
투표 수 48,322
무효표 수 1,166

이 지역 현역 의원인 신한국당 최돈웅 후보는 향토기업 회장+여당 의원이라는 이중 프리미엄을 기반으로 탄탄한 지역 내 입지를 자랑했는데, 자민련의 신인 황학수 후보가 그 최 후보를 이기고 초선 의원이 되었다. 사실 강릉은 최각규 당시 강원도지사의 지역 기반이었고, 최 지사의 비서실장을 지낸 황 후보가 선거운동 기간 최각규 마케팅으로 초반의 열세를 딛고 역전승을 일궈냈다.

2.6. 강릉시 을

강릉시 을
주문진읍, 성산면, 사천면, 연곡면, 교1동, 교2동, 포남1동, 포남2동, 초당동, 송정동, 유천동, 죽헌동, 운정동, 저동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중규(崔中圭) 13,525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5.41% 낙선
2 이참수(李讒洙) 2,844 5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5.34% 낙선
3 최욱철(崔旭澈) 23,988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45.08% 당선
4 김문기(金文起) 7,976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4.98% 낙선
5 정인수(鄭仁壽) 4,879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16% 낙선
선거인 수 82,158 투표율
66.61%
투표 수 54,723
무효표 수 1,511

2.7. 동해시

동해시
동해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연희(崔鉛熙) 24,146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50.26% 당선
2 홍을표(洪乙杓) 2,525 4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5.25% 낙선
3 지일웅(池一雄) 6,816 3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4.18% 낙선
4 홍희표(洪熙杓) 14,547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28% 낙선
선거인 수 68,549 투표율
71.73%
투표 수 49,173
무효표 수 1,961

2.8. 태백시·정선군

태백시·정선군
태백시 일원, 정선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우병(朴佑炳) 17,514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83% 당선
2 안영배(安榮培) 3,352 6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5.70% 낙선
3 최승영(崔乘榮) 3,382 5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5.76% 낙선
4 김좌일(金佐一) 9,021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5.36% 낙선
5 류승규(柳昇珪) 11,847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7% 낙선
6 장경덕(張炅德) 13,59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3.15% 낙선
선거인 수 84,278 투표율
71.73%
투표 수 60,453
무효표 수 1,746

14대까지 단독 선거구였던 태백과 정선이 한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두 지역 출신 후보들이 난립했고, 당선자의 득표율이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정선 출신인 신한국당 박우병 후보가 당선되었고, 태백시 현역 의원인 무소속 류승규 후보는 같은 태백 출신 장경덕 후보에게도 밀려 3위로 낙선했다.

2.9.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
속초시[3], 고성군[4], 양양군[5], 인제군[6]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송훈석(宋勳錫) 29,544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13% 당선
2 최정식(崔正植) 7,709 5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91% 낙선
3 조영두(趙榮斗) 9,405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4% 낙선
4 한병기(韓丙起) 22,880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6.43% 낙선
5 정광벽(鄭光璧) 6,667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70% 낙선
6 황돈태(黃燉泰) 10,24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84% 낙선
선거인 수 129,340 투표율
68.87%
투표 수 89,076
무효표 수 2,509

2.10. 삼척시

삼척시
삼척시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현선(辛賢善) 11,245 2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3.91% 낙선
2 박병준(朴炳俊) 732 6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55% 낙선
3 장을병(張乙炳) 14,957 1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31.80% 당선
4 김정남(金正男) 6,143 4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13.06% 낙선
5 김재철(金在徹) 5,834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40% 낙선
6 이주해(李周海) 8,11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24% 낙선
선거인 수 61,960 투표율
78.44%
투표 수 48,600
무효표 수 1,578

1980년대 재야 민주화 운동의 대표 주자 중 한 사람이었던 장을병 前 성균관대 총장은 개혁신당민주당 통합을 이끌고 통합민주당 공동대표로 고향 삼척에서 첫 공직선거에 임했고, 비교적 약한 당세에도 불구하고 개인기로 여당 후보와 현역 자민련 김정남 의원을 꺾고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11. 홍천군·횡성군

홍천군·횡성군
홍천군 일원, 횡성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응선(李應善) 19,370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70% 당선
2 안병학(安炳鶴) 2,139 4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3.50% 낙선
3 조일현(曺馹鉉) 18,876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0.89% 낙선
4 박성문(朴聖文) 523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85% 낙선
5 원용강(元容강) 1,645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69% 낙선
6 유재규(柳在珪) 18,55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35% 낙선
선거인 수 88,417 투표율
72.48%
투표 수 64,082
무효표 수 2,979

태백·정선처럼 원래 다른 지역구였던 홍천군횡성군이 하나로 묶인 지역구. 선거운동 기간 동안 신한국당 이응선(홍천 출신, 13대 의원), 자민련 조일현(홍천 출신, 14대 의원), 무소속 유재규(횡성 출신) 후보의 3파전으로 좁혀졌다. 인구가 많지만 표가 두 갈래로 나뉜 홍천[7], 표가 한 곳으로 몰렸지만 인구가 적은 횡성[8]의 상황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면서 1-2-3위가 1000표 이내로 갈린 초접전 지역이 되었고, 횡성에서 조일현 후보에 앞선 이응선 후보가 징검다리 재선에 성공했다.

2.12. 영월군·평창군

영월군·평창군
영월군 일원, 평창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기수(金基洙) 16,675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38% 당선
2 신민선(辛敏善) 3,179 5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6.55% 낙선
3 엄화열(嚴和烈) 5,790 3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1.39% 낙선
4 이득헌(李得憲) 12,814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6.42% 낙선
5 최봉수(崔鳳洙) 326 10위

파일:대한민주당.png
0.67% 낙선
6 권병중(權秉重) 654 9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4% 낙선
7 문승국(文承國) 1,488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6% 낙선
8 양재천(梁在天) 1,235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54% 낙선
9 엄의현(嚴義鉉) 1,234 8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54% 낙선
10 정병기(鄭秉起) 268 1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55% 낙선
11 함영기(咸泳機) 4,83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97% 낙선
선거인 수 72,605 투표율
69.05%
투표 수 50.135
무효표 수 1,634

2.13. 철원군·화천군·양구군

철원군·화천군·양구군
철원군 일원, 화천군 일원, 양구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용삼(李龍三) 24,903 1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91% 당선
2 박영률(朴榮律) 4,666 3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8.97% 낙선
3 김철배(金澈培) 4,335 4위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8.34% 낙선
4 염보현(廉普鉉) 18,071 2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34.76% 낙선
선거인 수 73,165 투표율
73.46%
투표 수 53,748
무효표 수 1,773

[1] 춘천군∙양구군∙인제군[2] 춘천시[3]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4] 간성읍, 거진읍,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5]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6] 인제읍,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7] 현역 조일현 후보가 이응선 후보를 근소하게 앞섰다.[8] 무소속 유재규 후보의 득표율이 70%에 육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