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21:19:33

제1미사일방어여단

제1방공유도탄여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육군의 제1방공여단에 대한 내용은 제1방공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예하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png 파일:제2미사일방어여단.png 파일:3방공유도탄여단.png
제1미사일방어여단 제2미사일방어여단 제3미사일방어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둘러보기: 공군의 비행단 | 공군의 독립부대
}}}}}}}}} ||

제1미사일방어여단
第一미사일防禦旅團
The 1st Air And Missile Defense Brigade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png
<colbgcolor=#2F9AFF><colcolor=#fff> 창설일 1955년 5월 12일 (육군 제1고사포병여단)
1966년 6월 14일 (제1방공포병여단)
1991년 7월 1일 (공군 제1방공포병여단)
2014년 1월 (제1방공유도탄여단)
2022년 4월 1일 (제1미사일방어여단)
상징명칭 수성대
소속 대한민국 공군
상급부대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규모 여단
역할 남부지방 지역 방공
여단장 준장 권진기 (공사 43기)
참모장 중령 김승빈 (공사 44기)
주임원사 원사 윤보석 (부사후 172기)
위치 대구광역시 수성구

1. 개요2. 상세
2.1. 역사2.2. 부대마크2.3. 부대별칭
3. 예하 부대4. 출신인물
4.1. 여단장4.2. 장교/부사관4.3. 병
5. 근무환경6. 기타7. 사건사고
7.1.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
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의 미사일방어여단이다. 대한민국 남부지방 지역방공을 담당하는 부대. 본부와 예하 부대들은 전라도, 경상도, 충청남도 일부[1]에 배치되어 있다. 본부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부 별칭은 수성대.

2. 상세

2000년대 중반, 본부가 현재 위치로 이전해 오면서 원래 이곳에 있던 교육사 예하 공군방공포병학교와 기지를 공유한다.[2]

본부와 예하 부대들은 후방 특성 등으로 인근 거주자들한테 꽤나 인기 있는 자대 선택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본부는 대구에 위치한 여타 공군 부대, 예를 들어 대구 공군기지에 있는 대규모 부대들에 비해 편한 군생활과 괜찮은 교통 입지를 보장하고 있으며 공군방공포병학교에 비해 덜 알려져 있어 메리트가 크다. 이런 사유로 집에서 멀어도 일부러 여길 오는 사람도 간혹 있다.[3]

미사일방어여단 중에서 가장 후방이라는 점, 대한민국 공군장성급 장교 티오가 타군에 비해 적다[4]는 점으로 인해 보통 준장이 보임되는 제2미사일방어여단제3미사일방어여단과 달리 지휘관으로 대령이 보임된다[5]. 다만 11대 사령관을 역임한 박성혁 장군처럼 소장으로 진급할 각이 보이는 사람의 경우 제2,3여단장으로 전보시킨 뒤 준장-소장으로 진급시키도 하며, 권진기 장군이 최초로 1여단에서 바로 진급한 케이스가 되었다 .

2.1. 역사[6]

2.2. 부대마크

제1미사일방어여단
第一미사일防禦旅團
The 1st Air And Missile Defense Brigade
파일:제1미사일방어여단 부대마크.jpg
부대마크
<colbgcolor=#2F9AFF><colcolor=#fff> 별, 미사일 별은 제1미사일방어여단을 상징하며 미사일은 방공포병의 핵심 무기체계를 상징
방패 적 공격에 대한 완벽한 방어태세를 의미
독수리 대한민국 영공방위의 굳은 의지를 표현
바탕색 대한민국의 푸른 영공을 표현

2.3. 부대별칭

3. 예하 부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공군미사일방어사령관 (병과장)을 역임한 여단장.
볼드체에 + 표시가 된 여단장은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역대 제1미사일방어여단장
<rowcolor=#fff> 역대 이름 계급 임관 최종보직 기타
00대 박찬식 준장 공사 36기 여단장
00대 권영재 대령 공사 37기 여단장
00대 손해용 대령 공사 37기 여단장
00대 김중호 소장 공사 40기 공군미사일방어사령관
00대 이영권 대령 공사 38기 여단장
00대 박성욱 대령 공사 41기 여단장
00대 박종철 대령 공사 42기 여단장
00대 이종서 대령 공사 42기 여단장
00대 권진기 준장 공사 43기 여단장

후방지역이어서 대부분 대령이 보임되고, 제2미사일방어여단이나 제3미사일방어여단에 비해 장군 진급이 쉽지 않으나, 최근 들어 능력 있는 제1미사일방어여단장 출신도 장성으로 진입하고 있다.

4.2. 장교/부사관

4.3.

5. 근무환경

대구광역시 수성구 제1미사일방어여단 본부와 계룡대 주둔 방공포대는 교통도 편리하고 편의시설도 좋은 편이라 선호도가 높다. 그 밖의 예하 방공포대들은 대부분 교통이 그렇게까지 나쁘지 않은 산에 위치해 있거나 비행단 내에 파입부대로 주둔한 경우도 있다. 후방이라 제3미사일방어여단에 비해 근무강도도 낮은 편이다.

6. 기타

7. 사건사고

7.1.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5년 11월 1일 오후 2시 16분에 대구 달성군 논공읍 본리 구마고속도로(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상행선 달성 2터널에서 발생한 화재와 폭발사고. 이 차량에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존제산의 공군 방공포대에 있던 나이키 유도탄들을 대구 공군기지 1방공탄약대로 반납 후 폐기하기 위해 해당 차량들에 실어 대구로 가던 중 발생한 사고.

8. 관련 문서



[1] 2021년 제2미사일방어여단 예하에 있던 모 포대가 제1미사일방어여단으로 예속을 변경하면서 다시 충청남도 일부 지역까지 방공 임무를 담당하게 되었다.[2] 공군방공포병학교(방포교)는 대한민국 육군에서 대한민국 공군으로 전군해오면서 공군교육사령부와 떨어진 이곳에 위치하고 있었고 단급이었던 방포교의 일부 편제가 여단으로 넘어오고 방포교는 전대급으로 격하되었다. 후방 부대 급 여단장과 전대급 학교장이 주로 같은 특기의 대령이 보임되다 보니 알게 모르게 지휘관 간 신경전도 조금은 있는 편이나, 학교장이 준장 진급에 실패한 장포대들만 와서 신경전이라 보다는 오히려 측은한 학교장님만 보인다.[3] 강원특별자치도영동지방의 경우 예하 부대라고는 황병산 포대 정도밖에 없어서, 강원특별자치도 영동지방 거주자가 황병산에 가지 못하면 수도권 부대로 가거나 제1미사일방어여단 부대로 내려와야한다.[4] 대한민국 공군준장 티오가 늘어난다면 제1미사일반어여단과 마찬가지로 이미 준장급 부대 편제를 갖춘 공군항공지원작전단과 함께 최우선적으로 준장이 지휘관에 보임할 것이다.[5] 다만 참모부서의 편제는 다른 비행단/여단과 마찬가지로 장성급 부대 참모 편성인 처-실로 구성되어 있다. 공군 내부적으로도 준장 티오가 조정될 경우 공군항공지원작전단과 함께 최우선적으로 준장을 보임시키려고 하고 있다/.[6] 출처 월간공군 2020년 8월호[7] 주한미군의 THAAD 배치로 인해 서울로 재배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