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제1공화국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제1공화국 문서
, 동명의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제1공화국(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공화국의 분류 | ||
제1공화국 | → | 제2공화국 |
1. 개요
한 나라의 역사에서 첫 번째로 생긴 공화국을 일컫는 말. 물론 그 공화국이 현재까지 계속 유지되었다면 "제1"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일이 없었을 것이다. 즉, 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모종의 이유로 인해 다시 한번 국체에 변형이 있어 새로운 공화국(제2공화국)이 들어섰을 때, 그 구분을 위해서 시대순으로 제1공화국, 제2공화국 등으로 순번을 매기는 것이다.국체가 '무너진' 상황에 국한하지 않고 '변경된' 경우도 포함하는 것은, 공화정 자체는 유지되었지만 레짐 체인지나 헌법 개정 등 정치 체제에 중대한 변화가 있을 경우[1]에도 이런 식으로 순번을 매기기 때문이다. 이는 프랑스식 관념인데 한국도 이를 수입하여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식으로 부르고 있다. 참고로 프랑스의 5공은 샤를 드 골 체제다.
설명을 보면 알겠지만 이렇게 공화국에 순번이 붙는 나라들은 대부분 파란만장한 근현대사를 가진 경우가 많다. 특히 러시아의 경우는 프랑스식 관념을 적용하면 소련 붕괴 이후 지금까지 한 제150공화국 쯤 된다(...) 헌법 개정이 그만큼 많았기 때문이다.
2. 예시
2.1. 실존
건국연도를 기준으로 한다.2.1.1. ~ 18세기
- [[폴란드 재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성립된 폴란드 제2공화국과의 구분을 위해 폴란드 내에서 부르는 명칭. 왕이 있으나 선거군주제를 실시했으며 공화국 명칭은 1791년 제헌을 통해 확립.
- [[프랑스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2.1.2. 19세기
- [[아이티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 포스탱 엘리 술루크의 황제 즉위로 인해 소멸.
-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 \ [[틀:깃발|그리스 제1공화국 (1822 ~ 1833) ]][[틀:깃발| ]][[틀:깃발| ]]
- [[맥시코 제1연방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도미니카 제1공화국 (1844 ~ 1861)
- 스페인의 점령으로 소멸.
- \ [[틀:깃발|코스타리카 제1공화국 (1848 ~ 1948)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스페인 제1공화국 (1873 ~ 1874)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브라질 제1공화국 (1889 ~ 1930)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포르모사 제1공화국 (1895. 05 ~ 1895. 06) ]][[틀:깃발| ]][[틀:깃발| ]]
- 1894년 발발한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일본 제국에게 패하자 대만인들은 시모노세키 조약에 반대하며 당경숭(唐景崧)과 구봉갑(丘逢甲) 등을 중심으로 1895년 5월 25일 타이완 민주국을 수립했다. 편의상 포르모사 제1공화국으로 기재.
- [[필리핀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2.1.3. 1901년 ~ 1950년
- [[쿠바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 미군의 일시 점령, 쿠바 혁명으로 붕괴.
- \ [[틀:깃발|포르투갈 제1공화국 (1910 ~ 1926) ]][[틀:깃발| ]][[틀:깃발| ]]
- 1926년 군부에 의해 쿠데타가 일어나 붕괴.
- \ [[틀:깃발|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1918 ~ 1920)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체코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1918 ~ 1938) ]][[틀:깃발| ]][[틀:깃발|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로 인해 성립. 뮌헨 조약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 제2공화국의 성립으로 소멸.
- \ [[틀:깃발|헝가리 제1공화국 (1918 ~ 1919. 03 / 1919. 08 ~ 1920) ]][[틀:깃발| ]][[틀:깃발| ]]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로 인해 성립, 헝가리 소비에트 공화국 일시 수립, 호르티 미클로시가 카를 1세의 섭정을 자처하며 헝가리 왕국이 수립되어 소멸.
- \ [[틀:깃발|아제르바이잔 제1공화국 (1918 ~ 1920) ]][[틀:깃발| ]][[틀:깃발| ]]
- 소련의 침공으로 붕괴.
- \ [[틀:깃발|조지아 제1공화국 (1918 ~ 1921) ]][[틀:깃발| ]][[틀:깃발| ]]
- 소련의 침공으로 붕괴.
- \ [[틀:깃발|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1918 ~ 1940) ]][[틀:깃발| ]][[틀:깃발| ]]
- 소련의 침공으로 붕괴.
- \ [[틀:깃발|라트비아 제1공화국 (1918 ~ 1940) ]][[틀:깃발| ]][[틀:깃발| ]]
- 소련의 침공으로 붕괴.
- \ [[틀:깃발|리투아니아 제1공화국 (1918 ~ 1940) ]][[틀:깃발| ]][[틀:깃발| ]]
- 소련의 침공으로 붕괴.
- \ [[틀:깃발|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1919 ~ 1934) ]][[틀:깃발| ]][[틀:깃발| ]]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해체로 인해 성립. 1934년 헌법 개정으로 인해 소멸.
- [[알바니아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27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 47, 52, .2); vertical-align: middle"
- 조구 1세의 국왕 즉위로 인해 소멸.
- \ [[틀:깃발|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 (1933 ~ 1934)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1939 ~ 1945) ]][[틀:깃발| ]][[틀:깃발| ]]
- 나치 독일의 괴뢰국, 소련의 점령으로 붕괴.
- \ [[틀:깃발|시리아 제1공화국 (1930 ~ 1950)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중화민국 제1공화국 (1946 ~ 현재) ]][[틀:깃발| ]][[틀:깃발| ]]
- 1946년에 제헌 국민대회가 중화민국 헌법을 입법하자, 3개 정당(중국국민당, 중국 청년당, 중국 민주사회당)이 합작한 3당 훈정(三黨訓政)을 출범하는 방식으로 국민정부위원회를 개편하여 성립. 민주화 이후의 중화민국을 제2공화국이라고 칭하는 소수 의견이 있다.#
- \ [[틀:깃발|이탈리아 제1공화국 (1948 ~ 1994)[2]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대한민국 제1공화국 (1948 ~ 1960) ]][[틀:깃발| ]][[틀:깃발| ]]
- 미군정 종료 이후 성립, 4.19 혁명으로 붕괴.
2.1.4. 1951년 ~
- \ [[틀:깃발|몰디브 제1공화국 (1953 ~ 1954) ]][[틀:깃발| ]][[틀:깃발| ]]
- 왕정복고로 몰디브 술탄국이 성립되면서 소멸.
- \ [[틀:깃발|이집트 제1공화국 (1953 ~ 1958) ]][[틀:깃발| ]][[틀:깃발| ]]
- 아랍 연합 공화국 결성으로 소멸.
- \ [[틀:깃발|베트남 제1공화국 (1955 ~ 1963)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튀니지 제1공화국 (1957 ~ 2014) ]][[틀:깃발| ]][[틀:깃발| ]]
- 튀니지 혁명으로 개헌이 이뤄지며 소멸.
- \ [[틀:깃발|이라크 제1공화국 (1958 ~ 1963)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마다가스카르 제1공화국 (1958 ~ 1975)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가나 제1공화국 ,(1960 ~ 1966),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니제르 제1공화국 ,(1960 ~ 1974),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중앙아프리카 제1공화국 (1960 ~ 1966)
- 장 베델 보카사의 황제 즉위로 소멸.
- \ [[틀:깃발|우간다 제1공화국 (1963 ~ 1971)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나이지리아 제1공화국 (1960 / 1963 ~ 1966)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캄보디아 제1공화국 (1970 ~ 1975)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시에라리온 제1공화국 ,(1971 ~ 1992),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카자흐스탄 제1공화국 (1990 ~ 2022) ]][[틀:깃발| ]][[틀:깃발| ]]
- \ [[틀:깃발|코소보 제1공화국 (1991 ~ 1999) ]][[틀:깃발| ]][[틀:깃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