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제의(祭衣, 라틴어: Casula)는 전례복 중의 하나로 제일 마지막에 입는 겉옷이다. 가톨릭과 정교회, 성공회는 물론이요, 루터교회, 감리회 등에서도 으레 착용한다[1]. 정교회에서의 제의는 따로 펠로니온(Φαιλόνιο, Phelonion)이라고 한다.2. 관련 규정과 제의의 유래
미사나 미사와 직접 연결된 다른 거룩한 예식 때 주례 사제가 입어야 할 고유한 옷은 제의이며,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제의는 장백의와 영대 위에 입는다.
『로마 미사 경본』 84면,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337항. 전자책 링크. 전례문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제의에 관한 규정은 위와 같으며, 영대와 같이 제의도 전례의 형태에 따른 색깔을 따라야 한다. 또한 사제가 죽으면 제의를 수의로 입힌다.『로마 미사 경본』 84면, 「로마 미사 경본 총지침」 337항. 전자책 링크. 전례문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제의는 로마 제국 후반에 여행용 복장으로 쓰였던 원통형의 판초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진다. 이 판초는 라틴어로 까술라(Casula) 혹은 '작은 집'으로 불렸는데, 모든 면이 무릎까지 닿고 팔부분에는 주름이 잡혀 있어서 팔을 자유롭게 모을 수 있었다. 초대교회 성직자들은 구약시대 유대교 제사장들이 예복을 갖췄던 선례를 본받아, 그 당시 로마 시민들의 외출복 내지는 정장이었던 의복을 전례복으로 사용한 것이다. 이에 대해 교부 예로니무스는 에제키엘서 주석에서 "우리 역시 지성소에 들 때마다 일상에서 더럽혀진 일상복을 입을 것이 아니라, 깨끗한 마음가짐과 의복을 갖추고 주님의 성사를 거행해야 할 것이다."[2]라고 언급하며 당대에도 성찬례를 거행할 때만을 위한 전례복을 마련했음을 보여준다.
시대가 지나고 제의는 갖가지 화려한 무늬와 장식이 추가되거나 재단 방법이 변하기도 했다. 서방교회에서는 원래 고딕식 제의라고 하는 펑퍼짐한 고깔모양 판초 형태였다가 13세기 초반에는 제의의 측면을 조금 짧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3]. 지금의 소매가 늘어지지 않고 팔끝까지만 오는 반원형 형태를 띠게 된 건 15세기 이후이며,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는 팔부분을 움직일 수 있게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두 손을 모을 수 있도록 앞부분이 잘려나가 바이올린 꼴로 만들어졌는데, 이런 형태를 로마식 제의라 한다. 반면에 동방교회에서는 서방교회가 양 소매를 줄인것과 달리 앞부분을 트여 망토와 비슷한 형태로 만들었는데 이를 펠로니온(φαιλόνιον)이라고 부른다. 서방교회에서 제의를 신부와 주교가 모두 사용하는 것과 달리 동방교회에서 주교는 동로마 제국 멸망 이후 황제의 예복인 사코스(σάκκος)를 착용한다.
▲ 그리스식 제의. 이 제의를 입은 사람은 교황 프란치스코. |
▲ 이제는 구경하기 힘들어진 로마식 제의. 왼쪽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4], 오른쪽은 교황 베네딕토 16세.[5] |
▲ ▲ 정교회의 제의인 펠로니온. 왼쪽은 그리스식이고, 오른쪽은 슬라브식이다. |
3. 전례력에 따른 제의의 색깔들
사제는 미사를 집전할 때 전례력을 따져 전례법에 의해 지시된 색의 제의를 맞춰 입어야 한다.색상 | 용도 | 상징[6] | |
녹색 | <colbgcolor=#FFFFFF,#191919>가톨릭에서는 연중 시기. 곧 주님 세례 축일 다음 날부터 사순 시기 전까지, 성령 강림 대축일 이틀 후부터 대림 시기 전까지의 연중 시기 주일과 평일 성무일도와 미사에서 입는다. 정교회에서는 주님 수난 성지 주일과 성령 연관 축일과 수도사 연관 축일과 십자가 관련 축일(예루살렘 총대주교청)에 이 색을 입는다. | <colbgcolor=#FFFFFF,#191919> 생명의 희열, 희망 | |
흰색 | 성탄·부활 시기, 성모 마리아와 천사들의 축일, 수난주일 외의 예수 그리스도 관련 축일, 순교자가 아닌 성인의 축일, 모든성인대축일(11월 1일)[7]·세례자 요한(6월 24일)·사도 요한(12월 27일)·사도 베드로의 주교좌(2월 22일)·사도 바오로의 회심(1월 25일) 축일의 성무일도 및 미사, 한국 가톨릭에서는 죽은 이를 위한 미사, 특히 장례 미사. 정교회에서는 연중 주일 전례색인 금색 대신 사용하기도 하며 장례 때도 사용한다. | 기쁨, 부활의 영광 | |
홍색 | * 성령과 관련된 때, 곧, 성령 강림 대축일이나 견진성사, 성령 신심 미사 등의 전례 거행 때 착용한다. * '피'와 관련된 전례 거행 때도 착용한다. 주님 수난 성금요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성 십자가 현양 축일, 순교성인의 기념일(e.g., 사도 요한을 제외한 사도들, 복음사가들 등). * 교황의 장례미사 때도 입는다. * 정교회에서는 주님 부활 대축일과 주님 탄생 대축일과 추가로 성 베드로와 바울로 사도 축일에도 사용하며 슬라브권(특히 러시아)의 경우, 성찬예배의 전에는 흰색 제의를 입었다가 성찬예배를 시작하면서 빨간색 제의로 환복한다. | 사랑, 고통과 순교의 피, 성령 | |
자색 | 대림 시기, 사순 시기, 위령 성무일도, 죽은 이를 위한 미사 정교회에서는 이 전례색에 대한 규정이 살짝 복잡한데, 만약 비잔틴계 전례색 규정을 따라간다면, 사순 시기의 토요일과 주일에 보라색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때 보라색 아닌 흰색을 사용한다면 보라색을 평일에 사용하는 대신 검은색을 사용하지 않는다. 반면 슬라브계 전례색 규정을 따라간다면 사순 시기의 토요일과 주일에는 보라색만을 사용하며 검은색을 연중에 사용한다. | 통회, 보속 | |
장미색 | 대림 시기 제3주일, 사순 제4주일 | 고통과 기쁨으로 가는 단계 | |
황금색 | 대축일 미사의 규모가 클 경우 입는다. 정교회에서는 이 색이 연중 주일 전례색이다. | 환희 | |
검은색 | 전통적으로 위령미사, 장례미사 때 입는다. 가톨릭에서는 과거 성금요일에도 입었으며 정교회에서는 여전히 성 대 금요일을 비롯한 성 대 주간 몇몇 의식에서 이 색을 사용한다, 다만 규정에 따라 성 대 목요일에는 입지 않는다. | 슬픔, 죽음 | |
하늘색 | 전통적으로 성모 마리아 축일 미사 때 입는다. 정교회에서는 그리스도의 세례를 기념하는 예수 신현 축일과 드물지만 대천사 연관 축일에도 입는다. | 순결 |
4. 기타
상대적으로 급이 낮은 미사(평일미사 등)에 장백의와 전례력에 맞는 영대만 착용하고 미사를 집전하는 사제도 있다. 물론 주일미사 등 급이 높은 미사에서는 제대로 다 입는다.[1] 기타 개신교, 특히 장로회에서 목사들이 입는 예복은 제의가 아니다. 종교개혁 당시 제네바의 법관들이 입었던 법복에서 유래된 "가운"이다. 이 가운은 "제네바 가운", "목사 가운", "클러지가운"이라고 불린다.[2] Phillips 1911, pp. 1056-1057[3] 양팔 부분이 정통 고딕식 제의에 비해 다소 짧은 것은 '세미고딕'이라고 한다.[4] 김 추기경이 사제서품을 받은 직후, 어머니(서중하 마르티나)와 함께 찍은 사진.[5] 교황이 제의 안에 입은 것은 차부제가 입는 투니카(tunica)와 부제가 입는 달마티카인데 이때는 제의 안에 입는 것이므로 원래 차부제, 부제가 입는 것들과 달리 얇고 간소하다. 장엄미사 때 주교는 사제와 부제를 포함한 모든 성직(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전례의 경우 차부제까지)을 총괄하는 이라는 의미에서 로마식 제의 안에 투니카와 달마티카까지 껴입었다. 어휴 여름이었으면......[6] 서방 교회 기준으로 서술됨[7] 이 날 전야제가 바로 할로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