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5%; min-height: 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word-break: 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야코뷔스 헨리퀴스 판트호프 | 헤르만 에밀 피셔 | 스반테 아레니우스 | 윌리엄 램지 | |
<rowcolor=#cd9f51> 1905 | 1906 | 1907 | 1908 | |
아돌프 폰 바이어 | 앙리 무아상 | 에두아르트 부흐너 | 어니스트 러더퍼드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빌헬름 오스트발트 | 오토 발라흐 | 마리 퀴리 | 빅토르 그리냐르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4 | 1915 | |
폴 사바티에 | 알프레드 베르너 |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 | 리하르트 빌슈테터 | |
<rowcolor=#cd9f51> 1918 | 1920 | 1921 | 1922 | |
프리츠 하버 | 발터 네른스트 | 프레더릭 소디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 | |
<rowcolor=#cd9f51> 1923 | 1925 | 1926 | 1927 | |
프리츠 프레글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 | 테오도르 스베드베리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 | |
<rowcolor=#cd9f51> 1928 | 1929 | 1930 | ||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 | 아서 하든 | 한스 폰 오일러켈핀 | 한스 피셔 | |
<rowcolor=#cd9f51> 1931 | 1932 | 1934 | ||
카를 보슈 |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 | 어빙 랭뮤어 | 해럴드 클라이턴 유리 | |
<rowcolor=#cd9f51> 1935 | 1936 | 1937 | ||
장 졸리오퀴리 | 이렌 졸리오퀴리 | 피터 디바이 | 월터 호어스 | |
<rowcolor=#cd9f51> 1937 | 1938 | 1939 | ||
파울 카러 | 리하르트 쿤 | 아돌프 부테난트 | 레오폴드 루지치카 | |
<rowcolor=#cd9f51> 1943 | 1944 | 1945 | 1946 | |
조르주 드 헤베시 | 오토 한 |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 | 제임스 B. 섬너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
존 하워드 노스럽 | 웬들 매러디스 스탠리 | 로버트 로빈슨 | 아르네 티셀리우스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윌리엄 지오크 | 오토 딜스 | 쿠르트 알더 | 에드윈 맥밀런 | |
<rowcolor=#cd9f51> 1951 | 1952 | 1953 | ||
글렌 시보그 | 아처 마틴 | 리처드 싱 | 헤르만 슈타우딩거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라이너스 폴링 | 빈센트 뒤비뇨 | 시릴 노먼 힌셜우드 | 니콜라이 세묘노프 | |
<rowcolor=#cd9f51> 1957 | 1958 | 1959 | 1960 | |
알렉산더 R. 토드 | 프레더릭 생어 |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 | 윌러드 리비 | |
<rowcolor=#cd9f51> 1961 | 1962 | 1963 | ||
멜빈 캘빈 | 존 켄드루 | 막스 페루츠 | 줄리오 나타 | |
<rowcolor=#cd9f51> 1963 | 1964 | 1965 | 1966 | |
카를 치글러 | 도러시 호지킨 |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 |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 | |
<rowcolor=#cd9f51> 1967 | 1968 | |||
만프레트 아이겐 |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 | 조지 포터 | 라르스 온사게르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디릭 바턴 | 오드 하셀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센 | 스탠퍼드 무어 |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 | 에른스트 오토 피셔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제프리 윌킨슨 | 폴 플로리 | 존 콘포스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윌리엄 립스컴 | 일리야 프리고진 | 피터 데니스 미첼 | 허버트 찰스 브라운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게오르크 비티히 | 폴 버그 | 월터 길버트 | 프레더릭 생어 | |
<rowcolor=#cd9f51> 1981 | 1982 | 1983 | ||
후쿠이 겐이치 | 로알드 호프만 | 에런 클루그 | 헨리 타우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 허버트 애런 하우프트먼 | 제롬 칼 |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
리위안저 | 존 찰스 폴라니 | 장마리 렌 | 찰스 피더슨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
도널드 J. 크램 | 요한 다이젠호퍼 | 로베르트 후버 | 하르트무트 미헬 | |
<rowcolor=#cd9f51> 1989 | 1990 | 1991 | ||
시드니 올트먼 | 토머스 로버트 체크 |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 |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루돌프 마커스 | 캐리 멀리스 | 마이클 스미스 | 조지 앤드루 올라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
파울 크뤼천 |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 | 마리오 호세 몰리나 | 로버트 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해럴드 크로토 | 리처드 스몰리 | 존 워커 | 폴 보이어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옌스 스코우 | 월터 콘 | 존 포플 | 아메드 즈웨일 | |
<rowcolor=#cd9f51> 2000 | ||||
앨런 히거 | 앨런 맥더미드 | 시라카와 히데키 | ||
}}}}}}}}}
- [ 21세기 ]
- ##
||<-3><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제니퍼 앤 다우드나 Jennifer Anne Doudna | |
출생 | 1964년 2월 19일 ([age(1964-02-19)]세) |
미국 워싱턴 D.C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생화학자 |
현직 | UC 버클리 교수[1] |
학력 | 포모나 칼리지 (생화학 / 1985년 학사) 하버드 대학교 의학대학원 (생화학 · 분자약리학 / 1989년 박사) |
지도교수 | 잭 쇼스택 |
외부 링크 | | |
[clearfix]
1. 개요
제니퍼 다우드나는 미국 UC 버클리에서 교수로 재직 중인 생화학자이다. '유전자 가위'로도 불리는 CRISPR의 개척자로 꼽힌다.2. 업적
2014년 에마뉘엘 샤르팡티에와 함께 크리스퍼 기술에 대한 공로로 2015년 브레이크스루상 생명과학 부문 수상자로 선정되었다.2020년에도 샤르팡티에와 함께 브레이크스루상과 같은 이유로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두 사람은 과학 부문 노벨상의 공동 수상자에 모두 여성이 선정된 첫 사례가 되었다.[2] 샤르팡티에와 다우드나는 2012년에 해당 내용에 대한 발표를 한다. 그 영향력이 생물학계에 끼친 영향이 막대했기에 이례적으로 빠르게 10년도 안 돼서 노벨상 까지 받게 된 셈. 추가로 그녀는 레몬에 들어있는 특이한 비타민 C, 증식하는 비타민 C, Cballious를 연구하여 두번째 노벨화학상의 수상자로 선정 되었다.(2021년)
우리나라에서 출판된 <크리스퍼가 온다(A Crack in Creation)>(공저)로 일반 대중들에게도 인지도가 있는 편이다.
2022년 설립된 Altos Labs의 이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3. 개인적 일화들
- 학부 1학년 시절 프랑스어로 전공을 바꾸려고 프랑스어과 교수를 찾아갔는데 그 교수가 프랑스어를 배우면 될 수 있는건 프랑스어 선생님이 되는 것 뿐이지만 생명 과학을 배우면 세계적인 인물이 될 수 있을 거라고 하며 끝까지 도전해보라고 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녀는 세계적인 과학자가 되었다.
- 크리스퍼 기술의 개척자이기도 하지만 그에 대한 비윤리적인 이용을 막기 위해 학계에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그런 그녀의 행동에는 인문학자였던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 미국의 유명 작가 월터 아이작슨이 쓴 그녀의 전기 소설[3]에 따르면, 워싱턴에서 출생한 후 아버지의 직장을 따라 하와이에서 자랐으며 그 곳에서 생물에 대한 관심을 기르며 생화학에 관한 전공을 구체화 했었던 모양이다. 여성 과학자에 관한 편견 때문에 꿈을 발표할 때 무시당한 적이 있으며[4], 일부 하와이 원주민들에게 Haole(하올리)[5]라고 불리며 배척받는 괴롭힘을 당한 적도 있다고 한다.
- 어린 시절 '이중나선(The Double Helix)'을 감명깊게 읽었다고한다. 그 책의 저자이자 DNA의 발견과 분자생물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제임스 왓슨을 훗날 실제로 만나며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제임스 왓슨이 유전자와 인종 간의 지능을 연관짓는 과격한 발언을 해 인종차별주의자로 낙인찍힌 후였음에도 그의 초대에 응했는데, 다우드나 박사는 왓슨의 인종차별적 견해에 동의하지 않으면서 '이중나선'이 자신에게 지닌 의미를 얘기하며 안타까워했다.
[1] 화학대학, 분자세포생물학과 교수[2] 이전까지는 노벨평화상에서만 2번(1976년, 2011년) 공동 수상자 전원이 여성이었던 바 있다.[3] 코드 브레이커(원제: The Code Breaker: Jennifer Doudna, Gene Editing, and the Future of the Human Race).[4] 그녀를 가르쳤던 어느 교사가 대놓고 'No, no'를 외치며 여자는 과학자가 될 수 없다고 했다고 한다. 사족으로 다우드나 박사와 관련된 분야는 특히나 여성 과학자의 활약이 유명하기도 하다. 마리 퀴리는 물론이고, 로절린드 프랭클린, 바바라 매클린톡의 사례가 유명하다. 그리고 뒤의 두 사람과는 제임스 왓슨 얘기가 또 빠질 수 없다.[5] 이방인, 백인이라는 의미를 지닌 원주민 언어인데, 상당히 배타적인, 나아가 차별적인 단어로 쓰인다. 참고로 하와이는 과거 주 승격 직전에 백인계 이주민들에게 원주민들이 무수하게 착취당하고 차별당하며 살아온 설움 때문에, 그 보복으로 역으로 원주민계가 사회의 상류층으로 올라간 뒤로는 인종에 관계없이 백인들을 철저히 왕따시키는 상황이다. 미국에서 백인이 일방적인 인종차별의 피해자로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