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강동고등학교 | ◈ 달구벌고등학교 | ◈ 대구공업고등학교 | ◈ 대구관광고등학교 | ||
대구동부고등학교 | ▣ 대구일과학고등학교 | ▣ 대구일마이스터고등학교 | 영신고등학교 | ||
정동고등학교 | ◈ 조일고등학교 | 청구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고등학교 | 전문대학교 |
정동고등학교 | 호산대학교 |
<colbgcolor=#0062ad><colcolor=white> 정동고등학교 正東高等學校 Jungdong High School | |
| |
<nopad> | |
개교 | 1981년 3월 5일 |
유형 | 인문계 고등학교 |
성별 | 남학교 |
형태 | 사립 |
학교법인 | 학교법인 호산교육재단 |
교장 | 이경석 |
교감 | 이○엽 |
교훈 | 꿈을 가진 사람(理想), 공부하는 사람(努力), 행하는 사람(實踐) |
교화 | 목련 |
교목 | 향나무 |
학생 수 | 609명[기준] |
교직원 수 | 69명[기준] |
관할 교육청 |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로1길 37 (용계동) |
홈페이지 | # |
[clearfix]
1. 개요
정동고등학교는 대구광역시 동구 용계동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1981년 3월에 개교되었다.2. 역사
https://jungdong.dge.hs.kr 홈페이지 참조
3. 오는 길
- 시내로 가는 방면의 정류장인 정동고등학교 정류장에서 내리면 정면에 빌라의 벽면이 보인다. 거기서 고개를 좌측으로 돌리면 작은 길이 보이는데 그곳으로 20m쯤 들어가면 양갈래로 나뉘는데 좌측으로 돌아간다. 계속 가면 양갈래와 cctv가 보이는데[3] 그곳에서 아트숲 어린이집[4]이 보이는 쪽으로 꺾어 들어가면 30도 정도의 경사와 교문이 보인다. 바로 보이는 건물은 호산관으로 강당이다.
- 율하역에서 1번 출구로 나와 다리를 건너 율하천을 따라 걸어서 오거나, 3번 출구로 나와 길을 건너 북구3번으로 환승해 한정거장만 가면 정동고등학교 정류장에 내릴 수 있다.
3.1. 이용 가능한 버스 노선
정동고등학교앞 | 급행5, 708, 805, 808, 814, 818, 836, 849-1, 980, 동구2, 동구5, 북구3, 55, 555 |
정동고등학교건너 | 급행5, 708, 805, 808, 814, 818, 836, 849, 980, 동구2, 북구3, 55, 555 |
LG물류센터앞 | 708, 805, 808, 814, 818, 836, 849-1, 980, 동구2, 동구5, 북구3, 55, 555 |
LG물류센터건너 | 708, 805, 808, 814, 818, 836, 849, 980, 동구2, 북구3, 55, 555 |
4. 교육활동
4.1. 신입생
- 신입생들을 위해 비포스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정된 날짜에 배정된 교실로 등교하여 자기소개와 진로 관련 동영상 시청 시간을 갖는다.[7]
4.2. 수련회
매년 5월 쯤 1, 2학년은 수련회에 참여한다.- 1학년
1학년은 포항 해양 수련원으로 체험을 가는데, 홀수 년도에는 야영장에서, 짝수 년도에는 수련원 건물 내부에서 취침하는 듯하다.[8]
- 2학년
2학년은 제주도로 체험 활동을 가는데, 비행기를 타고 이동한다.
4.3. 1학년 진로탐색과정
- 꿈 UCC 만들기
1, 2학년 희망자를 대상으로 "나의 꿈, 나의 길 발표" UCC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학생들이 5분 이내로 자신의 꿈이나 진로에 대한 동영상을 제작하여 심사 받고 종합 예술제 때 전교생이 볼 수 있게 각 반에 방송되는 것인데, 학생들이 활동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해보고 열정을 키울 수 있다는 좋은 점도 있지만 예술제 때 각 반에 강제 방송되고, 또 우수작은 중앙 현관 모니터에 거의 매일마다 방송된다.
- 직업인 초청 강연
거의 매년마다 실시하는 것으로, 사회 각 분야의 전문 직업인 20명을 학교로 초청해서 1, 2학년 전교생이 전문직업인의 강연을 선택해 듣는 것이다. 세무사, 사회복지사, 방송인, 군인, 경찰관, 은행 등 초청받아 오는 직업인의 분야도 나름 다양한 편이고, 무엇보다 자신이 관심있는 진로에 종사하는 사람에게 조언을 받거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으나, 오는 사람에 따라 강연이 미치도록 지루하기도 할 수도 있고 매우 재밌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학생 호응도 그에 따라 나뉜다. 당연히 강연을 듣고 나면 이에 대한 보고서를 써서 담임에게 내야 한다.
4.4. 2, 3학년 진로집중과정
- 과제 연구
1학년 성적 우수자 또는 예체능 특기자 등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자율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문과의 경우 2학년은 사회과제연구, 3학년은 심화영어독해 수업을 듣고, 이과의 경우 과학과제연구와 고급수학 수업을 듣는다. 문과보다 이과 학생들의 수가 더 많다. 사회과제연구의 경우 잦은 보고서 제출과 발표 수업, 기타 모둠 수업 등을 진행하면서 하루도 쉬는 경우가 없다고 한다. - 7클러스터 거점학교 운영
클러스터라고 각 학교마다 특성화된 강좌를 개설하여 타학교 학생들도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2017년 기준으로 정동고의 강좌 참여 학생은 4개 고교(정동고, 대구동부고, 대구중앙고, 청구고)의 134명이다.
4.5. 교내 대회
크게 교과 시간 중 1시간을 빼서- 과학 독후감 공모전
말 그대로 과학 도서를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는 대회이다.
- ICT 활용 포스터 공모전
우리 동네의 문제점을 SDGs와 관련지어 분석하고 문제점 및 해결책을 제시하는 PDF 포스터를 만들어 제출하는 대회이다.
- 정동제 포스터 그리기 대회
정동 예술제 홍보 포스터를 그리는 대회이다.
- Pop Song 대회
- Ad Maker 대회
- 단어 마일리지 대회
- Best Teacher 대회
- 인성함양 글쓰기 대회
4.6. 모의유엔대회
정동고에서 2016년 1회 정동모의유엔대회(JYDMUN)를 개최하였다. 수성구에 편중되어있는 모의유엔대회를 동구권 학생들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 만들어 졌으며, 타 모의유엔 대회 경험이 있는 의장단과 사무국으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2017년 2회 모의유엔대회까지 현재 2번의 모의유엔대회가 있었다. 3회 대회는 2018년 8월에 개최되었다.4회 대회는 없어질뻔 했으나 규모를 줄이는 등 고통을 겪으면서도 개최되긴 했다.
4회 이후 폐지되었다.
4.7. 축제(정동 예술제)
- 매년 정동 예술제[10]를 개최한다. 동아리별 부스 전시와 콘서트를 운영한다.
- 축제 공연 영상들은 대부분 정동고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다.
5. 특징
- 비행기가 많이 날아다닌다. 아무래도 전투기들의 착륙 전 선회 포인트가 학교 뒷산인듯 하다.
- 운동장은 산 중턱 쯤 위치한 학교 본 건물보다 위에 있으며, 특이하게 엄청 넓은데 정식 축구장 규격이라고 한다. 덕분에 여러 중학교에서 와서 학교 운동장과 강당에서 체육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체육대회때는 의자와 비품들을 들고 올라가야 하는데, 학생들이 아주 죽어난다.
- 학교 바로 앞에 닭과 공작을 기르는 유치원이 있었으나, 카페로 변경되었다가 최근에는 요양원으로 바뀌었다.
- 산 주변[11]이라 그런지 공기가 쾌청하다. 대신 여름에는 무성한 나무들 덕분에 교실 안에서도 벌레와 매일 조우할 수 있고, 겨울에는 살을 깎는 추위를 경험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에는 겨울에 히터를 아주 빵빵하게 틀어주는 덕분에 더워서 창문을 여는 진풍경을 볼 수도 있다.
- 화장실 소변기의 크기는 높은 층일수록 작다. 그런고로 정동고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작은 소변기를 쓰게 되는 것.[12] 1층 교직원 화장실의 소변기는 엄청 크고 2층 소변기는 평범 내지 조금 작은 크기이며 4층 3학년 소변기는 무릎을 구부리고 싸야 할 정도로 작다. 이 문제는 선생님들도 인지하고 있다카더라. 현재는 4층 서편 화장실에 크기가 큰 소변기가 확대 설치 및 소변기 칸막이가 설치되었다.
- 학교 화장실마다 비데가 있는 변기는 2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마지막 한 칸은 화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 휴지는 1달마다 점보 롤 휴지를 각 교실별로 지급한다. 생각보다 부족하니 아껴쓰자
물론 누군가 왕창 써버리면 말짱 도루묵이지만
6. 출신 인물
7. 사건사고
- 2024년 1월 13일 정동고등학교 화학실에서 로켓관련 화학실험을 하던도중 폭발사고가 일어나 2명이 부상을 입었다. https://www.mk.co.kr/news/society/10920438
8. 관련 문서
[기준] 2024년[기준] 2024년[3] 대구선(철도)이설 전에는 반야월역(대구선)으로 향하는 철도를 건너야 학교로 갈 수 있었다[4] 2024년 기준 지니 해피안 실버타운이라는 요양원으로 바뀌었다[5] 다만 북구 3번은 율하를 거쳐 가므로 시간이 꽤 오래 걸리는 편[6] 경산시내를 뜻한다[7] 참고로 비포스쿨에서 배정된 반은 어디까지나 임시로 편성된 것으로, 1년 동안 생활할 반과는 다르다.[8] 2023년도에는 야영장, 2024년도에는 수련원 건물 내부에서 취침했다.[9] 대부분 후자이다.[10] 보통 정동제라는 줄임말로 불린다.[11] 산의 일부가 학교 소유이며, 봉우리의 이름은 '돈지봉'이다.[12] 소변기에 그려진 파리의 크기는 그대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