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6 20:43:45

정글마우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경주월드/시설
,
,
,
,
,


파일:경주월드 로고(가로).svg
경주월드
GYEONGJU WORL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문서가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롤러코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청룡열차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C
]]
1973~1983
젯트열차
[[에버랜드|
Ev
]]
1976~2004
88열차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C
]]
1984~2012
정글마우스
[[경주월드|
Gy
]]
1985~2006
아토믹 코스터
[[드림랜드(테마파크)#s-1.1|
D
]]
1987~2001
비룡열차
[[에버랜드|
Ev
]]
1987
롤링 엑스 트레인
[[에버랜드|
Ev
]]
1988
은하열차 888
[[서울랜드|
S
]]
1988
달나라 열차
[[서울랜드|
S
]]
1988
88열차
[[부산어린이대공원|
B
]]
1989~2011
후렌치 레볼루션
[[롯데월드 어드벤처|
L
]]
1989
어린이특급
[[롯데월드 어드벤처|
L
]]
1990~2002
블랙홀 2000
[[서울랜드|
S
]]
1990
은하철도
[[가야랜드|
Ga
]]
1991~2011
스페이스 2000
[[경주월드|
Gy
]]
1991~2016
청룡열차
[[광주패밀리랜드|
F
]]
1991
비룡열차
[[경주월드|
Gy
]]
1991~2023
독수리 요새
[[에버랜드|
Ev
]]
1992~2009
환타지아스페셜
[[통도환타지아|
T
]]
1993~2020
블랙홀 특급
[[꿈돌이랜드|
K
]]
1993~2012
그랜드캐년
[[부곡하와이|
H
]]
1994~2017
혜성특급
[[롯데월드 어드벤처|
L
]]
1995
부메랑
[[이월드|
EW
]]
1995
카멜백
[[이월드|
EW
]]
1995
허리케인
[[이월드|
EW
]]
1995
고공회전열차
[[부산 롯데월드 스카이프라자|
LS
]]
1996~1999
아트란티스
[[롯데월드 어드벤처|
L
]]
2003
다이빙 코스터
[[미월드|
M
]]
2004~2013
터스코 싱이레
[[에버랜드|
Ev
]]
2005
스페이스 투어[1]
[[경주월드|
Gy
]]
2006~2015
파에톤
[[경주월드|
Gy
]]
2007
T 익스프레스
[[에버랜드|
Ev
]]
2008
패밀리코스터
[[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C
]]
2014
댄싱 오스카
[[신화테마파크|
ST
]]
2017
드라켄
[[경주월드|
Gy
]]
2018
쾌속열차
[[경남 마산로봇랜드|
R
]]
2019
새로운 항해
[[경남 마산로봇랜드|
R
]]
2019
발키리
[[경주월드|
Gy
]]
2021
자이언트 디거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LB
]]
2022
자이언트 스플래쉬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LB
]]
2022
쿠키 열차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LB
]]
2022
드래곤 코스터
[[레고랜드 코리아 리조트|
LK
]]
2022




둘러보기: 최대 높이 순위 · 최대 속도 순위
최대 낙하 각도 순위 · 길이 순위 · 인버전 순위
[ 각주 ]

[1] 舊 정글마우스
}}}}}}}}}
정글마우스
Jungle Mouse
파일:정글마우스 입구.png
<colbgcolor=#772300><colcolor=#ffffff> 이름 정글마우스 (Jungle Mouse)
개장일 1985년 5월
폐장일 2006년 11월
기종 Wild Mouse
위치 경주월드
제작사 (불명)
탑승 시간 1분 26초
추진 방식 Cable Lift Hill
낙하 횟수 5회 (추정)
탑승인원 1명
인버전 없음
실내 구간 없음

1. 개요2. 특징3. 리뉴얼 오픈: 스페이스 투어

[clearfix]

1. 개요

파일:정글마우스 코스.png
1985년 5월에 경주월드 개장과 동시에 개장한 롤러코스터.

2. 특징

▲ 운행 영상의 일부가 포함된 영상 (10초 부터)[1]
어느 놀이공원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와일드 마우스 기종으로, 180도 헤어핀 턴을 통해 쏠림 현상(laterals)을 극대화시켜 탑승자를 이리저리 흔들고, 거친 움직임으로 열차가 마치 탈선할 듯한 스릴을 주는 기종이다. 기종 특성상 매우 덜컹거림에도 불구하고, 전 연령대가 즐길 수 있어서 주로 어린이들과 가족 단위의 고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옛날에 제작된 기종이다보니 탑승감이 매우 좋지 않았었다. 열차가 흔들리는 건 물론이고 움직일 때마다 덜컹거리는 소리가 나서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것 같은 느낌을 선사하였다. 거기에다가 2인승 비클을 사용했었는데, 좌석의 크기가 작아 성인의 경우 구겨져서 타는 듯한 느낌이 강했다. 거기에다 최악의 탑승감도 더해져 타면 스릴보다 고통이 더 강하게 느껴졌다. 위 탑승 영상 속 방문객들의 반응만 봐도 알 수 있다.

경주월드가 도투락월드였던 시절에 지어진 롤러코스터였으며, 개장 당시 도투락월드의 유일한 롤러코스터로써 최고 인기를 자랑했다. 정보가 적어서 정확하진 않지만 국내에서 4번째로 설치된 롤러코스터로 추정되며, 국내 최초 와일드 마우스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사람들에겐 롤러코스터 자체가 엄청난 센세이션이었기 때문에 단순한 코스에도 인기가 많았었고, 도투락월드를 대표하는 어트랙션이었지만 이후 스페이스 2000이 개장하며 왕좌를 넘겨주었다.

다만 개장 시기만 봐도 알겠지만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롤러코스터 중 하나였고, 그마저도 금방 스페이스 투어로 리뉴얼되면서 남은 정보가 거의 없다.

3. 리뉴얼 오픈: 스페이스 투어

파일:스페이스 투어 입구.jpg
2006년 11월, 기존 정글마우스에다가 가벽을 세워 다크라이드 롤러코스터로 개조하는 리뉴얼을 거쳤다. 가장 큰 차이점은 아무런 테마가 없던 기존의 정글마우스와 달리 우주 테마가 추가된 점이다. 트랙과 지지대의 색상 또한 각각 연한 하늘색과 하얀색에서 모두 회색으로 재도색되었다. 비클도 기존의 형태는 유지되었지만 디자인이 우주 테마로 변경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페이스 투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해당 영상이 정글마우스의 모습이 담긴 거의 유일한 영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