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9:08:20

전설의 포켓몬(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1. 개요2. 특징
2.1. 전투력
3. TVA에 고정출연한 전설/환상의 포켓몬4. 그 외 주연과 연관된 전설 & 환상의 포켓몬

1. 개요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전설의 포켓몬을 다루는 문서.

2. 특징

편의상 환상의 포켓몬도 합쳐서 서술한다.

위엄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다른 포켓몬들에 비해서도 원작 설정보다 훨씬 덩치가 크게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애니메이션의 대다수 포켓몬들이 대부분 자기 이름을 울음소리로 사용하는 것에 반하여, 일부 전설의 포켓몬들은 특이한 울음소리를 사용한다.[1] 극장판의 경우에는 텔레파시 등을 사용하여 아예 인간의 언어를 구사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평범하게 자기 이름으로 우는 전설의 포켓몬도 많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파워밸런스를 고려할 필요가 적기 때문에, 도감의 설정이나 전설이 그대로 반영되면서 특별함을 강조한다. 개중에는 도감의 설정들이 그대로 반영되어서 진짜로 으로 나오는 포켓몬들도 존재한다.

2.1. 전투력

상기한 능력에 힘입어 매우 강하게 그려진다. 개체마다 편차가 있긴 하지만 강한 개체는 준전설 포켓몬만 되어도 정말 강하게 그려진다.

단 약하게 묘사되거나 인간에게 제압당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보통 인간에게 지는 경우는 인간이 특수한 기계장치 혹은 그 전설의 포켓몬을 컨트롤할 수 있는 도구를 가져오는 것이 대부분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일부 트레이너가 전설/환상의 포켓몬을 소지하고 다루거나 친밀한 관계를 맺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포켓몬보다는 훨씬 강력하나, 격전 끝에 쓰러지기도 하는 등 초월적인 레벨은 아닌 것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 중에서 다투라의 프리져 및 쿠쿠이박사카푸꼬꼬꼭은 야생의 개체이므로 예외고, 무한다이노의 포획은 봉인에 가깝게 묘사되었으므로 누군가의 소유로 취급하기에는 무리다.

환상의 포켓몬들은 강력함보다는 신비로운 힘을 가진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환상쪽에는 귀여운 이미지의 포켓몬들이 많이 몰려있기에 그런 듯. 세레비, 시간을 초월한 만남, 아름다운 소원의 별 지라치, 포켓몬 레인저와 바다의 왕자 마나피가 대표적. 물론 전부 그런 건 아니고 초전설 포켓몬과 대등하게 싸운 뮤나 테오키스, 오히려 더 강한 모습을 보여준 아르세우스처럼 강력한 환상의 포켓몬들도 있다.

일부 트레이너는 전설의 포켓몬과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전투력을 가진 일반 포켓몬을 다루기도 한다. 당연한 것이, 전설의 포켓몬은 하나의 큰 카테고리일 뿐이고 전투력 편차가 매우 크다.

전설/환상의 포켓몬 사이의 격차는 애매한데, 애당초 이들은 특별한 존재인데다 서식하는 지방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모여있는 것조차 보기 어렵다. 합을 나누는 묘사가 있는 경우에는 그란돈 - 가이오가, 디아루가 - 펄기아처럼 서로 대등한 것처럼 묘사되므로 서열을 가를 수 없다. 그나마 상하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난 경우는 상술한 아르세우스 - 삼룡신 정도 뿐이다.

본격적으로 전설/환상의 포켓몬이 다수 등장하는 작품은 포켓몬 더 무비 XY 후파: 광륜의 초마신포켓몬스터 W 정도인데, 두 작품 모두 문제가 매우 많은 실패작들인데다 밸런스 붕괴가 수도없이 발생한 작품이다보니 작중 묘사만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수가 많다. 당장 W 53화의 스이쿤 사태 하나만 봐도 답이 나온다.

3. TVA에 고정출연[5]한 전설/환상의 포켓몬

일시적으로라도 몬스터볼로 포획된 경우 볼드체
포켓몬 시리즈 시기 등장 기간 관련된 중심 인물
메로엣타 BW 시즌2 초반 약 3개월 한지우
말랑이(지가르데) XY&Z XY&Z 시즌 내내 약 1년 유리카
타입:널실버디 SM 중반 이후 글라디오
별구름(솔가레오) SM 에테르재단편 약 3개월 한지우
베베놈아고용 SM 울트라가디언즈편 약 6개월 한지우
멜탄멜메탈 SM 알로라 일상편4 ~ 알로라리그편 약 10개월 한지우
쉐이미 SM 알로라 일상편4 ~ 알로라리그편 약 1년 마오
카푸꼬꼬꼭 SM 시리즈 전반[6] 한지우
라티아스 MP 노려라 포켓몬 마스터 전반 약 3개월 한지우
테라파고스 LR 포켓몬스터(2023) 리코

주역 인물의 경우 전설/환상의 포켓몬과 동행까지만 했을 뿐 정식으로 포획한 적은 없었지만 썬문 편에서 2018년 3월 22일 한지우가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20년 356일 만베베놈을 자기 멤버로 잡으면서, 한지우 사상 처음으로 전설의 포켓몬을 잡았으나 이후 방생되었다. 2019년 3월 10일 한지우가 멜탄을 손에 넣으면서 최초로 환상의 포켓몬을 정식 포획했다. 그리고 2019년 9월 22일 방생되었던 베베놈이 아고용으로 진화한 채 복귀했다.

썬문 편에는 지우가 3마리의 전설의 포켓몬, 1마리의 환상의 포켓몬과 인연을 가지고[7], 마오가 쉐이미와 정식 동행, 릴리에는 마기아나와의 인연이 드러나고 수련이 가이오가와 엮이는 단발성 에피소드가 나오는 등 전설/환상의 포켓몬의 요소가 비교적 타 시리즈에 비해 자주 등장하는 편이다. 애초에 울트라가디언즈 에피소드는 울트라비스트를 포획하는 에피소드인데 그 울트라비스트도 전원 전포 취급이고 자주 등장하는 카푸꼬꼬꼭 이외의 다른 수호신들도 최소 1화는 중심 화로 배정받는 등 사실상 전설의 포켓몬이 가장 자주 등장하는 시리즈. 이는 대부분의 시리즈가 전설/환상의 포켓몬의 등장을 극장판으로 미룬 것과 달리 7세대의 극장판이 전원 썬문 애니와는 별개로 진행되었기에 애니메이션에서 해당 세대 전설/환상의 포켓몬 등장을 메꿨기 때문이다.[8] 메인 전설의 포켓몬인 솔가레오, 루나아라, 네크로즈마를 다룬 에피소드 역시 극장판이 아닌 본편에 등장하며 관련된 에피소드가 약 1쿨로 진행된 에테르재단편과 총 4화로 구성된 울트라가디언즈편의 네크로즈마 에피소드.

포켓몬스터W에서는 고우의 목표가 포켓몬을 전부 포획해 를 잡는 것이고 한지우 역시 초장부터 망나뇽, 팬텀 같은 강력한 포켓몬들을 손에 넣었고 전설의 포켓몬이 많이 등장하고 있어서 한지우, 고우 둘 다 전설의 포켓몬 포획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다만 고우의 스이쿤 포획에 대한 논란 때문인지 고우가 잡은 전설의 포켓몬은 무한다이노[9], 스이쿤[10], 레지에레키[11] 뿐이었으며 지우는 W 시즌에선 전설의 포켓몬을 포획하진 않았다.

포켓몬스터(2023년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인공 리코가 초전설 포켓몬 테라파고스와 크게 엮였는데 초반부터는 정식으로 잡지 않고 동행만 하다가 마침내 75화에서 정식으로 몬스터볼로 테라파고스를 잡았다.

4. 그 외 주연과 연관된 전설 & 환상의 포켓몬

포켓몬 시리즈 관련된 인물
칠색조 무인편, 리부트 극장판 한지우
뮤츠 극장판, 스페셜, BW 극장판 한지우
극장판, 스페셜 한지우
W 고우
루기아 극장판 한지우
세레비 극장판 한지우
스이쿤 극장판 한지우
W 고우
라티아스 극장판 한지우
지라치 AG 극장판 정인
테오키스 AG 정인
마나피 AG 극장판 봄이
아그놈 DP 한지우
엠라이트 DP 나빛나
유크시 DP
기라티나 DP 극장판 한지우
쉐이미 DP 나빛나, 한지우
아르세우스 DP 극장판 한지우
비크티니 BW 극장판 한지우
제크로무 BW, BW 극장판 한지우
레시라무 BW 극장판 한지우
케르디오 BW 극장판 한지우
게노세크트 BW 극장판 한지우
디안시 XY 극장판 한지우
후파 XY 극장판 한지우
레쿠쟈 XY 극장판 한지우
LR 리코, 로드
볼케니온 XY 극장판 한지우
카푸브루루 SM 한지우
매시붕 SM 한지우
차곡차곡 SM 한지우
철화구야 SM 마마네
가이오가 SM 수련
자시안 W 한지우
자마젠타 W 고우
레지에레키 W 고우
크레세리아 W 채하루
텅비드 W 릴리에
라티오스 극장판, MP 한지우
가라르 파이어 LR 리코


[1] 레지시리즈는 어느 정도 자기 이름을 사용하지만 울음소리보다는 기계음에 가까운 괴상한 소리를 내며, 디아루가갸라도스와 같은 괴수 소리를 낸다.[2] 파괴광선이 구형이다.[3] 섬 하나를 개조하고, 인간의 것보다 훨씬 강력한 몬스터볼을 제작하며, 복제 포켓몬 및 그 제작에 필요한 설비를 만드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몇 달도 안 되는 시간에 혼자서 했다! 게다가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함정을 파는 등 심리전에서도 강력하고, 자신의 존재를 고민하며 성장하는 등 철학적인 면에서도 어지간한 인간 이상이다.[4] 그것도 그냥 분함의발구르기가가 아닌 이전 기술이 빗나가면서 부가 효과가 발동해 위력이 2배로 증가한 분함의발구르기다.[5] 최소 1분기(12화) 이상 출연한 포켓몬만 기재.[6] 주역 인물 중 한 명의 곁에서 내내 고정출연하지는 않지만 시즌 초기부터 후기까지 꾸준히 계속 등장하며 높은 출연률을 자랑한다.[7] 그 중 3마리는 지우의 소유[8] 20기 극장판에 마샤도, 21기 극장판에 제라오라가 등장하긴 하지만 이전 시리즈처럼 작품의 주역은 아니다. 이 중 마샤도는 TVA에선 카메오 등장만 했으며 제라오라는 악식킹 특별편에 등장했다. 마기아나는 19기 극장판의 주역을 맡았지만 그와는 별개로 릴리에의 과거와 연관지어 등장한다.[9] 고우의 몬스터볼로 잡아서 고우의 도감에 등록되기는 했다지만 엄연히 따지면 봉인에 가까우며 이후 매그놀리아박사에게 맡긴다. 추후 포켓몬 월드 챔피언십 편에서 정식으로 단델에게 양도한다.[10] 그러나 고우와 동행하거나 채박사파크에 남아있지 않아 실질적인 소지 포켓몬으로 보긴 애매하다.[11] 프로젝트 뮤의 미션 도중 잡게 된다. 스토리 후반에나 잡는 만큼 소지 포켓몬다운 역할은 그다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3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