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남여자고등학교 全南女子高等學校 Chonnam Girls' High School | |
| |
| |
<nopad> | |
개교 | 1927년 4월 25일 ([age(1927-04-25)]주년) |
교훈 | 건강하고 예의 바르며 예지에 찬 일할 줄 아는 새 한국의 여성 |
교목 | 히말라야시다 |
교화 | 개나리 |
교색 | 노란색 |
성별 | 여학교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운영 형태 | 공립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158번길 8 (장동) |
관할 | 광주광역시교육청 |
웹 사이트 | |
1. 개요
광주광역시 동구 장동에 위치한 공립 일반계 여자고등학교이다. 흔히 전여고라고 약칭한다. [age(1927-04-25)]년의 오랜 역사를 품고 있다.부속 방송통신고등학교도 운영한다.
2. 학교 연혁
- 1927. 4. 25.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인가
- 1927. 5. 25. 광주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개교
- 1929. 11. 3. 광주학생독립운동 참가
- 1938. 4. 1. 광주아사히(旭)공립고등여학교로 교명 변경
- 1945. 6. 12. 전남공립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
- 1946. 6. 12. 6년제 18학급 및 전수과(2학급) 병치
- 1951. 8. 30. 광주중앙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
- 1954. 5. 19. 전남여자고등학교 인가(6학급)
- 1955. 1. 18. 전남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
- 1959. 1. 13. 학생 독립운동 여학도 기념비 건립
- 1967. 12. 23. 과학관 및 생활관 준공
- 1970. 12. 10. 고등학교 2학급 증설 인가(36학급)
- 1972. 2. 29. 중학교 평준화에 따라 전남여자중학교 폐교
- 1972. 5. 25. 여학생 독립운동기념회관 준공
- 1974. 12. 31. 전남여자고등학교 부설 방송통신고등학교 인가
- 1977. 10. 8. 다목적 대강당 준공
- 2001. 2. 28. 제7차 교육과정 대비 신교사(新校舍) 준공
- 2011. 5. 25. 광주학생독립운동 여학도기념 역사관 개관
- 2015. 9. 1. 제28대 김덕중 교장 선생님 부임
- 2016. 2. 12. 제86회 졸업식(졸업생 360명, 총 29,005명)
- 2016. 3. 2. 제89회 신입생 312명 입학
- 2017. 2. 10. 제87회 졸업식(졸업생 316명, 총 29,321명)
- 2017. 3. 2. 제90회 신입생 256명 입학
- 2017. 9. 1. 제29대 강정란 교장 선생님 부임
- 2018. 2. 7. 제88회 졸업식(졸업생 286명, 총 29,607명)
- 2018. 3. 2. 제91회 신입생 206명 입학
- 2019. 1. 30. 제89회 졸업식(졸업생 290명, 총 29,897명)
- 2019. 3. 4. 제92회 신입생 222명 입학
- 2020. 1. 31. 제90회 졸업식(졸업생 236명, 총 30,133명)
- 2020. 3. 2. 제93회 신입생 183명 입학
- 2021. 3. 2. 제94회 신입생 190명 입학
- 2024. 3. 4. 제97회 신입생 198명 입학
3. 출신 인물
- 강사채: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김강자
- 김금연: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김윤남
- 나순덕: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남협협: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로켓펀치 연희[1]
- 드림노트 라라[2]
- 박계남: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박기옥: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박옥련: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박채희: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박선영 : 학생운동가
- 박혜자(전 국회의원) : 42회
- 수지(1994)[3]
- 이광춘: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이보나(사격)
- 윤정희(연극인)
- 장경례: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장매성: 독립운동가. 광주학생항일운동 참가.
- 장하진(전 여성가족부장관) : 37회
- 정강자
- 정은경(질병관리청장) : 52회
- 정현애
- 천경자(미술가)
- 홍종희
4.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4.1. 버스
- 학교 앞 : 금남58, 봉선37, 운림54, 419, 518, 금남57, 두암81, 석곡87, 송암74, 수완49, 지원52, 지원152, 715
- 예술의거리입구 정류장 : 문흥39, 대촌70, 대촌170, 용전184, 매월06, 좌석02[4]
- 동구노인복지회관 정류장 : 1187
4.2. 지하철
5. 기타
- 1929년 일어난 광주학생항일운동을 주도한 4개 학교 중 유일한 여학교이다. 교과서에서 배울 때 운동을 직접적으로 촉발한 일본인 학생들의 조선인 여학생 희롱 사건에서 피해자가 바로 이 학교 3학년생이던 박기옥과 이광춘이기도 하다.
- 1928년 개교한 전남여고 본관 건물은 학생독립운동 당시 교사(校舍)로 유일하게 현존하며, 지난 1999년 4월 광주시 지정 기념물 제26호로 지정됐다. 교내 한 켠에는 광주학생독립운동여학도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2011년에는 학생독립운동 역사관이 개관했다.
- 매점은 없지만 구도심과 대인시장 사이에 위치해 있어서 근처에 먹을거리가 많다. 물론 외출증을 안 끊어주면 답이 없다. 하지만 학교 바로 앞에 위치한 전여고서점이 매점과 서점 역할을 하고 있고 담거래가 흔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전여고서점은 없어지고 브런치 가게가 되었다.
- 서울교육방송이 '아름다운 학교'로 선정하였다. 도서 기사
-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전에는 시험을 통해 입학하는 학교였고 광주뿐만 아니라 전라도 전체에서 지원했다고 하며 성적순으로 커트했다고 한다. 입학시험에서 낙방하여 재수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졸업생 선배들이 빵빵하고 동문회가 엄청나서 학교에 동상도 세우고 플래너도 배부하며 캠퍼스 견학도 매년 하고 있다. 하지만 광주 지역은 평준화 제도가 시행되어 현재는 일반계고이다.
- 화장실에 생리대와 칫솔치약 자판기가 있다.
- 체육복이 생활복으로 교체되어 2021년 입학생부터 남색 생활복를 입는다.
- 교칙이 다른 학교에 비해 자유로운 편이다.
- 2018년부터 광산구 출신 신입생의 비율이 높아졌다. 2017년에는 10명 이하였는데 2018년에 20명을 조금 상회했다.
- 근방에 예술의 거리(미술), 충장로(음악, 춤) 등 예체능 전공생들이 많다.
- 전남여고 정류장 바로 앞 교문이 막혀있다. 이유는 불명. 따라서 전남여고에서 하차하면 위로 쭉 걸어서 등하교를 해야한다.
- 교실 크기가 천차만별이다. 어떤 교실은 엄청 넓어서 (보통 3반,7반이 매우 넓음) 교실 중간에 책상이 옹기종기 모여있고, 또 다른 교실은 (보통 1,4,5,6,8반) 좁아서 책상을 놔도 교실에 꽉 찬다. 넓은 교실은 티비가 안 보이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러나 2022년에 모든 교실에 칠판이 있던 자리를 전자칠판(인터넷이 되는 터치스크린 식 칠판 겸 TV) 이 생겨서 안보일 일이 없다.
2022년부터 기준 2023년까지 인테리어 공사를 거치며 매우 시설이 발전했다. 1층 행정실 옆에는 카페식 휴게실(교사용)이 있으며 급식실 옆에는 갤러리(가끔 행사를 진행하기도 함), 복도는 홈베이스가 자리해 있으며 자습할 수 있는 책상들과 독서실형 책상, 편히 쉬며 잠도 잘 수 있는 빈백이 있는 넓은 휴게 공간, 탈의실 등이 생겼다. - 각 교실마다 비번없는 무료 와이파이가 2021년에 생겼다. 전남여고는 핸드폰을 수거하지 않기에 수업시간에 자유시간이 주어진다면 대부분의 학생은 스마트 태블릿이나 핸드폰으로 자유시간을 갖는다. 현재는 비밀번호가 걸렸다.
- 학교가 충장로, 동명동과 가까워서 끝나고 놀러가기 쉽다.
- 일본에서 열린 만화 고시엔에서 2번 우승한 적이 있는 학교다.기사 2022년
- 2024년 기준 공사중이어서 경관이 좋지 않지만 건물이 아름답다.
- 매점은 없다.
- 일진이 없다. 타 여고들과 마찬가지로 면학 분위기는 좋은 편. 학교에서 공부를 많이 시키지 않고 스스로 하는 느낌이다.
- 2023년 축제에서는 모델부 공연 때문에 T자형 무대를 설치해 주었고, 2024년 축제에서는 음악방송 같은(...) 대형 스크린 설치와 함께 응원봉을 나눠주는 등 축제에 힘을 들이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