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전갱이목 문서
, 상위 계통에 대한 내용은 극기상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 뒤에 '(☠)'가 있는 항목은 독을 가진 종류.
1. 눈볼개과(Centropomidae)2. 회유전갱이과(Lactariidae)3. 선농어과(Latidae)4. 날가지숭어과(Polynemidae)5. 꼬치고기과(Sphyraenidae)6. 전갱이아목(Carangoidei)
6.1. †블로키우스과(Blochiidae)6.2. †헤밍와야과(Hemingwayidae)6.3. †팔라이오링쿠스과(Palaeorhynchidae)6.4. 전갱이과(Carangidae)6.5. 만새기과(Coryphaenidae)6.6. 빨판상어과(Echeneidae)6.7. 돛새치과(Istiophoridae)6.8. 렙토브라마과(Leptobramidae)6.9. 배불뚝과(Menidae)6.10. 루스터피시과(Nematistiidae)6.11. 날새기과(Rachycentridae)6.12. 물총고기과(Toxotidae)6.13. 빨판매가리과(Trachinotidae)6.14. 황새치과(Xiphiidae)
7. 가자미아목(Pleuronectoidei)7.1. 아메리카서대과(Achiridae)7.2. 남극가자미과(Achiropsettidae)7.3. 둥글넙치과(Bothidae)7.4. 풀넙치과(Citharidae)7.5. 키클롭세타과(Cyclopsettidae)7.6. 참서대과(Cynoglossidae)7.7. 레모넙치과(Oncopteridae)7.8. 얼룩가자미과(Paralichthodidae)7.9. 넙치과(Paralichthyidae)7.10. 가자미과(Pleuronectidae)7.11. 좌대가자미과(Poecilopsettidae)7.12. 마찰넙치과(Psettodidae)7.13. 롬보솔레아과(Rhombosoleidae)7.14. 신월가자미과(Samaridae)7.15. 대문짝넙치과(Scophthalmidae)7.16. 납서대과(Soleidae)
1. 눈볼개과(Centropomidae)
2. 회유전갱이과(Lactariidae)
- 회유전갱이속
3. 선농어과(Latidae)
4. 날가지숭어과(Polynemidae)
- 날가지숭어속
- 네날가지속
- 작은아프리카날가지숭어속
- 인도날가지숭어속
- 난쟁이극락고기속
- 로얄날가지숭어속
5. 꼬치고기과(Sphyraenidae)[2]
6. 전갱이아목(Carangoidei)
6.1. †블로키우스과(Blochiidae)[3]
6.2. †헤밍와야과(Hemingwayidae)
6.3. †팔라이오링쿠스과(Palaeorhynchidae)
6.4. 전갱이과(Carangidae)
- 전갱이아과(Caranginae)
- 카랑고이데스속
- 실전갱이속
- 청전갱이속
- 카란크스속
- 가라지속
- 노란전갱이속
- 노란전갱이(골든트레블리)
- 고등가라지속
- 병치매가리속
- 흑점줄전갱이속
- 셀라르속
- 셀레네속
- 전갱이속
- 민전갱이속
- 동갈방어아과(Naucratinae)
- 가시전갱이아과(Scomberoidinae)
- 가시전갱이속
- 파로나가죽재킷전갱이
6.5. 만새기과(Coryphaenidae)
6.6. 빨판상어과(Echeneidae)
6.7. 돛새치과(Istiophoridae)[4]
6.8. 렙토브라마과(Leptobramidae)
- 렙토브라마속
- 렙토브라마 무엘레리(점지느러미해변연어)
- 렙토브라마 펙토랄리스(긴지느러미해변연어)
6.9. 배불뚝과(Menidae)
6.10. 루스터피시과(Nematistiidae)
- 루스터피시속
- 루스터피시(수탉고기)
6.11. 날새기과(Rachycentridae)
- 날새기속
6.12. 물총고기과(Toxotidae)
6.13. 빨판매가리과(Trachinotidae)
6.14. 황새치과(Xiphiidae)[5]
- 황새치속
7. 가자미아목(Pleuronectoidei)[6]
7.1. 아메리카서대과(Achiridae)
- 아메리카서대속
- 카타티리디움속
- 히포클리네무스속
7.2. 남극가자미과(Achiropsettidae)
7.3. 둥글넙치과(Bothidae)
- 별목탁가자미속
- 아르노글로수스속
- 아스테로롬부스속
- 둥글넙치속
- 엔기프로소폰속
- 검은꼬리넙치속
- 큰입둥글넙치속
- 라이옵스속
- 파라보투스속
- 프세티나속
7.4. 풀넙치과(Citharidae)
7.5. 키클롭세타과(Cyclopsettidae)[7]
- 키클롭세타속
- 키타리크티스속
- 에트로푸스속
- 시아키움속
7.6. 참서대과(Cynoglossidae)
- 참서대아과(Cynoglossinae)
- 심푸루스아과(Symphurinae)
7.7. 레모넙치과(Oncopteridae)
- 레모넙치속
7.8. 얼룩가자미과(Paralichthodidae)
- 얼룩가자미속
7.9. 넙치과(Paralichthyidae)
7.10. 가자미과(Pleuronectidae)
- 화살치가자미아과(Atheresthinae)
- 찰가자미아과(Microstominae)
- 용가자미아과(Hippoglossinae)
- 가자미아과(Pleuronectinae)
7.11. 좌대가자미과(Poecilopsettidae)
7.12. 마찰넙치과(Psettodidae)
7.13. 롬보솔레아과(Rhombosoleidae)
7.14. 신월가자미과(Samaridae)
7.15. 대문짝넙치과(Scophthalmidae)
7.16. 납서대과(Soleidae)
- 솔레아속
- 뿔서대속
- 동서대속
- 얼룩서대속
- 납서대속
- 각시서대속
- 클라인서대속
- 제브리아스속
[1] 스눅이라고도 한다.[2] 이전에는 돛새치목으로 분류되었다.[3] 이전에는 밑의 헤밍와야과, 팔라이오링쿠스과와 함께 돛새치목으로 분류되었지만 돛새치목이 해체되고 전갱이목으로 분류하고 있다.[4] 이전에는 돛새치목으로 분류되었다.[5] 이전에는 돛새치목으로 분류되었다.[6] 예전에는 별개의 목으로 분류되었으나, 형태, 화석, 유전적 요인을 고려하여 전갱이목의 하위 아목이 되었다.[7] 넙치과에서 분리되었다.[8] 같은 아과의 호수가자미속과 독음이 같아서 헷갈릴 수 있다. 가는서대속은 Lyopsetta고 호수가자미속은 Liopsetta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