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엑스맨 (2000년) | 엑스맨 2 (2003년) | 엑스맨: 최후의 전쟁 (2006년) | 엑스맨 탄생: 울버린 (2009년) |
| 울버린 프로페서 엑스 사이클롭스 진 그레이 스톰 로그 아이스맨 파이로 키티 프라이드 주빌리 매그니토 미스틱 세이버투스 토드 | 콜로서스 아티 매딕스 사이퍼 사이린 존스 플리 나이트크롤러 오야마 유리코 뮤턴트 143 | 비스트 엔젤 제임스 매드록스 저거노트 스파이크 아놀 애쉬 팻 아발란치 스타피쉬 칼리스토 사일록 아크라이트 퀼 글롭 허먼 배니셔 지미 | 존 레이스 블롭 에이전트 제로 데드풀 크리스 브래들리 케일라 실버폭스 갬빗 퀵실버 에마 실버폭스 | |
| 엑스맨: 퍼스트 클래스 (2011년) | 더 울버린 (2013년) |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 (2014년) | 데드풀 (2016년) | |
| 하복 밴시 다윈 엔젤 살바도르 세바스찬 쇼 에마 프로스트 아자젤 립타이드 | 유키오 바이퍼 | 선스팟 블링크 워패스 비숍 잉크 다니엘스 | 네가소닉 틴에이지 워헤드 에이잭스 엔젤 더스트 | |
| 엑스맨: 아포칼립스 (2016년) | 로건 (2017년) | 데드풀 2 (2018년) | 엑스맨: 다크 피닉스 (2019년) | |
| 칼리반 아포칼립스 포 호스맨 케빈 맥태거트 미스터 시니스터 | 울버린(지구-17315) 프로페서 엑스(지구-17315) 로라
| 케이블 파이어피스트 오메가 레드 베들럼 자이트가이스트 섀터스타 도미노 | 대즐러 키드 오메가 셀레네 갈리오 | |
| 뉴 뮤턴트 (2020년) | 리전 (2017 ~ 2019) | 더 기프티드 (2017 ~ 2019) | - | |
| 미라지 매직 울프스베인 캐논볼 세실리아 레예스 | 리전 섀도우 킹 | 폴라리스 세이지 썬더버드 | - | }}}}}}}}} |
| 관련 틀 : 엑스맨 멤버 / 엑스맨 빌런 |
| <colbgcolor=#1034a6,#1034a6><colcolor=#ffffff> 엑스맨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저거노트 Juggernaut | |||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 본명 | 케인 마르코 Cain Marko | |
| 이명 | 저거노트 Juggernaut | ||
| 종족 | 뮤턴트[1] | ||
| 국적 | 미국 | ||
| 성별 | 남성 | ||
| 가족 관계 | 찰스 자비에 (의붓형제) | ||
| 소속 | 브라더후드 오브 뮤턴츠 (엑스맨: 최후의 전쟁) | ||
| 등장 영화 | 〈엑스맨: 최후의 전쟁〉 〈데드풀과 울버린〉 | ||
| 담당 배우 | 비니 존스 (엑스맨: 최후의 전쟁) 에런 리드 (데드풀과 울버린) | ||
| 더빙판 성우 | |||
1. 개요
엑스맨 유니버스의 저거노트. 원작에서는 사이토락의 힘을 받아 초인과 같은 힘을 지닌 인간이지만, 마법 관련 설정이 묘사되지 않는 엑스맨 실사영화 시리즈에서는 전부 뮤턴트로 묘사되고 있다.2. 작중 행적
2.1. 엑스맨 유니버스
| |
본명은 케인 마르코. 능력의 경우 원작에서는 사이토락과 계약하여 괴력을 얻었는데, 이 부분을 설명하기도 힘들고 그럴 시간도 없어서인지 그냥 엄청나게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뮤턴트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사실 엑스맨 유니버스에서 모습을 드러낸 우주적 존재는 피닉스 포스를 제외하면 없는데, 애초에 사이토락이 처음 등장한 코믹스가 엑스맨 시리즈가 아니라 Strange Tale의 닥터 스트레인지 이슈라서 판권이 20세기 폭스한테 없다.[2] 그런데 케인 마르코라는 존재가 워낙 프로페서 엑스와 연관이 깊은 인물인지라 무턱대고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캐릭터 판권을 넘겨서 내보낸다고 해도 원작 팬들의 반발을 살 가능성이 매우 크다.[3]
비니 존스의 저거노트는 덩치가 헐크 이상이었던 원작에 비하면 키와 덩치도 별로 크지 않고 근육도 상당히 빈약하다. 물론 만화가 아닌 현실 기준으로는 잘 단련된 신체이고, 저거노트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려 한 건지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의 신체도 위의 이미지처럼 힘줄이 보일 정도로 다부지게 되어있다. 그래도 팬들이 원하던 것은 만화 버전의 거대한 근육 거인이었기에 과장된 덩치를 가진 저거너트가 영화에서 표현되지 않아 매우 아쉬워 했다.
입고 나온 복장도 몸매가 숭숭 드러나는 오묘한 복장이다 보니 시청자들이 보기에는 웬 하드게이 레슬러가 탄생해버렸다. 게다가 작중에서 배우가 가벼운 느낌의 하이톤 목소리를 내는 바람에 다소 경박한 느낌의 캐릭터가 되어버린 것은 덤. 이 당시 CG 수준이면 충분히 데드풀 2 수준의 저거노트를 구현할 수 있었는데도 등장 시간이 많지 않다보니, 너무 비용이 들어간다고 판단한 건지 CG를 쓰지 않았다.
이후 조시 헬먼이 엑스맨: 데이즈 오브 퓨처 패스트에서 어린 저거노트 역으로 출연한 예정이었으나,[4] 각본이 바뀌면서 스트라이커로 출연하게 되었다.
2.1.1. 엑스맨: 최후의 전쟁
| |
"Don't you know who I am? I'm the Juggernaut, bitch!"
"내가 누군지 모르냐? 내가 바로 저거노트다, 쌍년아!"[5]
"내가 누군지 모르냐? 내가 바로 저거노트다, 쌍년아!"[5]
브라더후드 오브 이블 뮤턴츠 소속의 뮤턴트로 등장. 정부에게 구속되어 이송되던 중[6] 에릭에게 구출된다.
작중에서는 무지막지한 괴력을 지닌 뮤턴트로 겉모습처럼 행동도 단순하고 무식한 근육뇌 바보로 나온다. 하지만 강력한 힘은 진짜라서 울버린을 거의 압도적으로 두들겨패는 모습을 보여준다.
삭제된 장면에서는 원작의 초재생능력도 그대로 가지고 나온건지, 울버린이 클로로 왼팔을 관통당했는데도 아파하기는 커녕 바로 반격을 해서 날려버리고 상처가 피 한 방울 없이 멀쩡하게 재생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몇 번 육탄전을 벌이다가 울버린의 역습으로 뒤통수에 클로가 꽂힌 채 그걸 촉매 삼은 스톰의 전기충격을 받고는 그대로 나가떨어져버렸다.
이후 알카트라즈 연구소 습격 때 재등장하여 매그니토의 명령으로 '큐어'의 힘을 가진 지미를 제거하기 위해 연구소 안으로 돌입하고, 이를 알게 된 키티 프라이드가 벽을 통과하는 능력으로 바닥에 하반신을 묻어버리지만, 위의 대사를 외친 다음 금방 빠져나오고 벽을 박치기로 죄다 깨부수며 돌진한 끝에 결국 지미가 있는 방에 도달한다. 이때 그도, 키티도 능력을 쓰지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저거노트 본인은 몰랐기 때문에 키티의 도발에 넘어가서 그대로 돌격하고는 벽에 충돌해 쓰러졌다. 이후 장면은 나오지 않았지만 진의 폭주에 휘말려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2.2.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colbgcolor=#ec1d23,#ec1d23><colcolor=#fff>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등장인물 저거노트 Juggernaut | |
| | |
| 본명 | 케인 마르코 Cain Marko |
| 이명 | 저거노트 Juggernaut |
| 종족 | 뮤턴트 |
| 성별 | 남성 |
| 소속 | 카산드라 일당 |
| 등장 영화 | 〈데드풀과 울버린〉 |
| 담당 배우 | 에런 리드[8] |
| 더빙판 성우 | |
2.2.1. 데드풀과 울버린
엑스맨: 최후의 전쟁 당시 저거노트의 변종으로 등장하지만 비니 존스가 아닌 다른 배우다 보니 데드풀이 "네가 올해의 저거노트구나?"라고 한다.카산드라 일당의 일원이며, 그의 헬멧이 유일하게 카산드라를 제압할 수단이라 데드풀과 울버린, 저항군의 목표물로 정해진다.
이후 저항군과 싸우다가 X-23의 클로에 발목을 잘려 제압 당하고 그대로 손쉽게 목이 베여져 허무하게 죽는다. 무적의 육체인 원작 코믹스와 데드풀 2의 저거노트와는 달리 여기서는 로라의 클로 공격에도 발목과 목이 손쉽게 썰리고 따여 퇴장당하는 카메오 단역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 후 헬멧은 데드풀에게 넘겨져서 울버린을 회유하기 위해 빈틈을 보인 카산드라를 제압하는데 쓰여진다.
3. 능력
원작에 비하면 다소 슬림해졌지만, 현실 기준으로는 비현실적인 근육을 가진 떡대다. 모습에 걸맞은 파워 타입 뮤턴트로, 울버린과 정면에서 싸워 날려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브라더후드 오브 뮤턴츠 중에서도 강력한 축에 드는 뮤턴트로, 작중에서는 매그니토의 호위 혹은 행동 대장 역할로 나온다.4. 기타
- 저거노트 역할을 맡았던 비니 존스는 이후 제작되는 데드풀과 울버린에 저거노트로 출연해달라는 요청을 거절했는데, 다름이 아니라 최후의 전쟁 당시 너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쓰라린 경험을 한 바람에 다시 저거노트로 출연하기 꺼려져서 그렇다고 밝힌 적이 있다. 이유는 바로 CG 처리를 안해준 바람에 입어야 했던 전신 근육 슈트로, 너무 갑갑해서 하루종일 할 수 있는 거라고는 음료수나 쪽쪽 빠는 거밖에 없었다고.
[1] 원작에서는 사이토락에 의해 힘을 얻은 인간이다.[2] 그래서인지 닥터 스트레인지 1편에서 스트레인지가 사용한 마법 도구의 이름 중에 사이토락의 진홍색 밴드라는 구속구 형태의 마법 도구가 등장한다.[3] 사실 원작의 프로페서 엑스는 이중적인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으며 그 중에서도 그의 가족과 관련된 것들이 이 이중성을 부각시킨다. 의붓형제인 저거노트와의 애매모호한 관계라거나, 친아들인 리전에 대한 무관심이라거나, 특히 카산드라 노바 같은 경우를 볼 때, 함부로 내보내면 이제껏 쌓아온 엑스맨 유니버스의 찰스가 가진 캐릭터성이 완전히 무너져 버리기에 함부로 내보낼 수 없었다.[4] 조시 헬먼은 4주 동안 근육을 키우면서 준비했다고 한다.[5] 인터넷에서 엑스맨 TV 시리즈의 저거노트 대사를 더빙한 패러디 영상을 오마주한 것으로 추정. 위협하는 내용인데 저 외모에다가 경박한 톤과 강한 코크니 억양, 뭔가 싼티나는 대사 때문에 오히려 개그 장면이 됐고 서양권에서 밈이 된 대사이다.[6] 이때 이송되던 범죄자들은 금고같이 생긴 캐비닛에 갇혀 있었는데, 저거노트는 캐비닛 안에서 추가로 팔다리가 구속되어 있다. 또한 차에 실려 있던 범죄자 정보에는 '절대 움직이게 두지 말 것'이라고 적혀 있어 매그니토가 이놈 물건이라고 마음에 들어 한다.[7] 진의 폭주 직후 짤막하게 나오는 장면에서, 연구소 내부에서 탈출하는 뮤턴트들이 한꺼번에 휘말려 가루가 되어 사라지는데, 그중 저거노트로 보이는 뮤턴트가 끼어있다.[8] 키 205cm의 최장신 보디 빌더겸 배우로 프리 가이에서 듀드 역할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