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22:34:59

재닛 펄스타인

<colbgcolor=#ffff33><colcolor=#000000> 재닛 펄스타인
Janet Perlstein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sb_glis14.png
1994년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버전
성별 여성
첫출현 신기한 스쿨버스 4: 태양계에서 길을 잃다
The Magic School Bus Lost in the Solar System(1990)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레네사 블리츠(Renessa Blitz) | 아넬리스 포브스(Annelise Forbes)(넷플릭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미경(EBS 7기 성우)→ 이소영
파일:일본 국기.svg 아키야마 루나타카모리 나오

1. 개요2. 작중 행적
2.1. 신기한 스쿨버스
2.1.1. 시즌12.1.2. 시즌 22.1.3. 시즌 32.1.4. 시즌 4
2.2. 신기한 스쿨버스2
2.2.1. 시즌 12.2.2. 시즌 2
3. 기타

[clearfix]

1. 개요

신기한 스쿨버스등장인물.

아놀드의 유일한 사촌.[1]

아놀드와 비슷한 외모에 잠자리 안경, 노란색과 하얀색 줄무늬 티셔츠에 남색 치마, 줄무늬 니삭스를 입고있는 유대계 미국인 소녀. 분명 워커빌 초등학교에 다니지는 않는데 꽤나 자주 나온다.

원작 책에서는 등장을 1번 밖에 안하지만 프리즐 선생님이 소행성대에서 사고로 아이들과 헤어지게 되자 다른 아이들이 우왕좌왕할때 프리즐 선생님의 노트를 발견하고 마침내 소행성대로 돌아갈 방법을 찾아내 프리즐 선생님을 구출하는 활약을 보이기도 한다.[2] 그와중에 탑승중이던 버스가 우주선으로 변신해서 날아갈때는 우리 학교 스쿨버스엔 너희 학교 것보다 더 큰 로켓이 달려있다고 했다(...)

2. 작중 행적

생긴건 아놀드와 비슷하지한 성격은 정반대. 도로시 앤보다 더한 잘난척쟁이에 밉상이다. 다만, 도로시 앤은 똑똑하니까 본인 머리에 든 지식을 이야기하다 본인도 모르게 잘난척을 하게되는 거지만 재닛은 "우리 학교 그네가 너희 학교 그네보다 좋아"라는 식의 찌질한 잘난척을 한다는 차이가 있다. 잘난척도 잘난척이지만 질투심도 꽤나 심해 열폭도 하는데다 본인이 잘났다고 생각하는 나르시시스트기도 하다.

본인의 이익을 위해서 주변을 신경쓰지 않는모습도 보인다. 인물평가를 잘 내리지 않는 프로듀서도 대놓고 주의에 둔감하고 온당하지 않다고 말했을정도.

하지만 진짜 못된 아이는 아니라서 그런지 나비 편에서는 피비를 진심으로 응원해주고 빛편에서 사라진 아놀드를 걱정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등장하는 에피소드의 엔딩은 훈훈하게 끝나는 경우가 많은편이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신기한 스쿨버스

2.1.1. 시즌1

2.1.2. 시즌 2

2.1.3. 시즌 3

2.1.4. 시즌 4

2.2. 신기한 스쿨버스2

넷플릭스 버전
파일:newJanet.png

넷플릭스 버전에서는 머리를 볶지 않고 주근깨를 달고 나온다. 때문에 성별말고는 아놀드와 구분이 별로 안가던 원작과 달리 어느정도 차이가 생겼다. 유전자 편에서는 처음으로 변신을 당하기도 한다.

어느정도 훈훈한 장면을 보여줬던 오리지널과는 달리 그딴거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밉상으로 나온다. 조명받는 에피소드가 아닐때는 까메오로 나온다.

오리지널에서 등장했을때와 달리 아놀드와 친한 모습은 보여주지 않고, 아는 사촌사이 정도로만 표현된다.

2.2.1. 시즌 1

2.2.2. 시즌 2

3. 기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3
, 4.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에 자넷이 아놀드에게 "난 너의 가장 좋은 사촌이야 그렇지?" 라고 하자 아널드가 "자넷, 난 사촌이 너 하나밖에 없어" 라고 하는 장면이 있다.[2] 이게 신기하게도 프리즐 선생님은 예견을 했는지 노트에는 목성-토성-천왕성-해왕성-명왕성 순으로 정보가 적혀 있었고 마지막으로 소행성대로 돌아가는 방법이 나와있었다. 심지어 노트에 "아놀드,너 듣고 있니?" 라고 적혀 있자 아놀드는 "이거 완전히 선생님이 꾸민 거잖아!" 라고 생각했을 정도[3] 피비가 나비를 먹지 못하게 막아버리자 나비를 잡아먹고싶어 재닛편을 들고 같이 간다.[4] 빛을 이용한 트릭인데, 배우를 빛으로 비춘뒤 해당 배우를 대각선 방면으로 유리에 비추면 유령처럼 보이는 효과로, 예전부터 무대에서 쓰였던 트릭이다.[5] 별개로 시뉴 선생님은 프리즐 선생님을 격려하거나 도넘은 도발을 하는 자넷을 자재 하는등 매너있는 모습을 보였었다.[6] 펭귄으로 변신했을때 참치 샌드위치가 막땡긴다는 말을 하긴한다(?)[7] 설정붕괴가 있다. 여태 주근깨를 달고 다니다가 이 에피소드 한정으로 주근깨가 없다는 설정이 붙었다. 실수라고 보기엔 중요한 내용으로 나오며, 주근깨를 없엔 뒤인 일부 장면에서 다시 주근깨가 생기는등 작화 실수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