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7:57:55

장안제일고등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기장군 CI_Black.svg 부산광역시 기장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기장고등학교 부산장안고등학교 신정고등학교 장안제일고등학교 정관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학교법인 흥진학숙
장안중학교 장안제일고등학교

장안제일고등학교
長安第一高等學校 | Jang-an Jeil High School
파일:logo장안.png
<colbgcolor=#0000ff><colcolor=white,#191919> 개교 1989년 3월 3일 장안여자고등학교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남녀 공학
형태 사립
학교법인 흥진학숙
교장 제11대 한동호
교훈 내 주변을 맑게 하고, 남과 어울려서,
내 힘으로 살 수 있는 사람이 되자
교화 국화
교목 주목
학생 수 292명 (2024.03)
교직원 수 27명 (2024.03)
관할 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주소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2길 43 (좌천리)
전화번호 051-719-9210 (행정실)
051-719-9200 (교무실)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1]

파일:25장제.jpg

1. 개요2. 연혁3. 교가4. 교육목표5. 학교 생활
5.1. 일과5.2. 학교 규정5.3. 평가5.4. 면학 분위기5.5. 교복 및 체육복5.6. 위치
6. 학교시설
6.1. 본관6.2. 구름다리6.3. 특별실동6.4. 도현관6.5. 운동장6.6. 기숙사 (일원숙)
7. 학교 행사
7.1. 진로체험의 날7.2. 장자골이야기(학교 축제)7.3. 체육한마당(체육대회)7.4. 수업량 유연화7.5. 학교스포츠클럽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시내/마을버스8.2. 시외버스8.3. 도시철도8.4. 셔틀버스

공교육의 성공신화

1. 개요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좌천리에 있는 남녀 공학 사립 일반계 고등학교로 운영 중에 있다. 동일한 재단의 학교로 장안중학교가 형제 학교로 같이 붙어 있다.[2] 때문에 장안중학교에서 장안제일고등학교로 진학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다.

또한 부산에서 유일하게 제일고등학교라는 교명을 명칭으로 사용하는 학교다. 제일고등학교라는 교명은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이후 영구결번 처리해 해당 교명을 사용할 수 없어서 지역명인 "장안"을 앞에 붙혔다.

2. 연혁

2024.03.04 - 제36회 입학식(입학생 4학급 : 89명)
2024.02.08 - 제33회 졸업식(졸업생 91명, 총 졸업생 : 3,696명)
2023.11.05 - 제14회 대한민국 청소년 합창제 대상 수상
2023.03.02 - 제35회 입학식(입학생 4학급 : 114명)
2023.03.01 - 제11대 韓東昊 교장 취임
2023.02.09 - 제32회 졸업식(졸업생 89명, 총 졸업생 : 3,605명)
2021.03.01 - 제10대 崔鉉學 교장 취임
2020.03.01 - 제9대 金東洙 교장 취임
2019.03.01 - 학교법인 흥진학숙 金京姬 이사장 취임
2018.11.23 - 2018년 원북원부산 독서릴레이 모범적 운영 기관으로 본교 표창
2018.03.01 - 제8대 金龍碩 교장 취임
2017.07.17 - 2017학년도 수학능력시험 국·영·수 1·2등급 비율 부산 일반고 1위
2017.01.17 - 2016학년도 학업성취도평가 전국 일반고 1위
2015.12.15 - 토요스쿨 교육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2015.11.12 - 전국 1,614개 일반계고 학교종합평가 부산1위
2015.08.20 - 2015학년도 수학능력시험 부산 일반고 1위, 전국 10위
2015.03.01 - 제7대 張永穆 교장 취임
2014.08.26 - 2014학년도 수학능력시험 부산 일반고 1위
2013.10.07- 전국 1,666개 일반계 고교 학교평가 시도별(부산) 3년연속 1위
2012.12.20 - 학교평가 우수학교 선정 부산교육연구정보원장 표창 수상
2012.12.03 - 2012학년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부산 1위, 전국 1위
2012.11.29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와 MOU 체결
2012.11.20 - 체육실, 급식실, 다목적교실, 극장식 강당으로 구성된 도현관 준공
2012.11.20 - 전국 1,577개 일반계고 학력 , 교육여건, 선호도(평판) 3가지 영역의 학교종합평가에서 부산1위, 전국2위
2012.11.05 - 전국 1,577개 일반계고 학교종합평가 부산1위, 전국2위
2012.01.20 - 다목적 강당동 기공식
2010.12.31 - 생활지도 으뜸학교 선정 교육감 표창 수상
2010.02.28 - 여학생 기숙사 증축(1층 3실)
2010.02.10 - 과학영재학급 설치 및 운영 승인
2010.01.04 -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농산어촌 우수고 운영평가 우수고 선정
2009.12.22 - 교육활동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수상
2008.08.23 - 규모: 3층 12실 남학생 기숙사 리모델링
2008.04.22 - 규모: 3층 12실 여학생 기숙사 증축
2006.12.29 - 교육정보화. 교실수업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장 수상
2006.11.27 - 연구학교 운영성과 보고회(2년간)
2005.03.29 - 농어촌 우수고 모델 개발 연구학교 지정(부산광역시교육청)
2005.02.19 - 제6대 金京姬 교장 취임
2003.12.29 - 자율학교 인가(부산광역시교육청)
2003.12.10 - 농어촌 우수고등학교 선정(교육과학기술부)
2002.02.19 - 제5대 鄭憲澯 교장 취임
2000.03.01 - 제4대 金善根 교장 취임
2000.03.01 - 학교명 변경 (제일고등학교→장안제일고등학교)1997.10.17 - 학교 법인 명칭 변경 (학교법인 興陳學塾 이사장 : 沈亨九)
1997.08.28 - 초대 沈亨九 이사장 취임
1997.08.25 - 제3대 朱尙宇 교장 취임
1997.01.17 - 제2대 朴己鎬 교장 취임
1997.01.08 - 고등학교 신축 교사 기공식 (12실)
1993.09.11 - 학칙 변경 인가 (보통 학과 각 학년 3학급 계 9학급)
1993.03.02 - 학교명 변경 (장안여고→제일고등학교)
1992.02.12 - 제 1회 졸업식 (101명)
1989.03.03 - 초대 金玄玉 교장 취임
1989.03.03 - 개교 및 제1회 입학식 (104명 입학)
1988.11.10 - 학교 설립인가 (보통과 학년당 2학급 계 6학급)

3. 교가


우리들 인문은 하늘에 고해여네

드높은 이상따라 가치를 향하면서

새롭다 우리들 신생의 물결 이루고

다가서자 진선미애로

아 찬란한 우리의 요람

장안제일고교 도도하여라||

4. 교육목표

미래사회를 선도할 능력과 품위를 갖춘 창의적인 민주시민을 육성한다.

5. 학교 생활

5.1. 일과

시간표
기상 및 조식 06:30~07:20
등교[3] ~07:50
자습/조례[4] 07:50~08:10
1교시 08:20[5]~09:10
2교시 09:20~10:10
3교시 10:20~11:10
4교시 11:20~12:10
점심시간[6] 12:10~13:10
5교시 13:10~14:00
6교시 14:10~15:00
7교시[7] 15:10~16:00
자율 1차[8] 16:30~17:40
석식시간[9] 17:40~18:40
자율 2차 18:40~19:50
자율 3차[10] 20:00~21:10
기숙사 자습실 이동 21:10~21:50
자율 4차 21:50~22:50
자율 5차 23:00~24:00
취침 준비 00:00~00:10
취침 00:10~06:30

5.2. 학교 규정

풀려있는 것 같으면서도 빡세기도 한 편.
학생들마다 느끼는 교칙의 강도가 다르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조.

5.3. 평가

지필평가는 예전의 명성을 유지 중인 과목들이 대다수이다.
수행평가는 난이도는 평이한 편. 포트폴리오 과제는 리로스쿨, 구글 클래스룸을 사용한다. 특히 리로스쿨은 출결, 평가, 식사, 학생증 등 많은 용도로 사용되기에 절대 어플을 지우지 말자.

5.4. 면학 분위기

부산 시내 타 고등학교에 비해 왕년의 명성으로 쌓아둔 평판과 현재 재학생들의 노력 덕분에 그래도 분위기가 괜찮은 편, 하지만 2022학년도 입학생 기준으로 학교가 평준화 일반고로 전환되었고, 현재는 야간자율학습 참여 여부도 본인 선택이기 때문에 예전의 장제고 이미지와 달리 많이 자유로워졌다. 방학 특강 및 자습도 본인 선택에 따라 최장 16시 10분이면 마친다.
하지만 공부 하는 사람은 정말 열심히 한다고 생각하자.
거짓말이 아니라 내신 따기 정말 어렵다.

5.5. 교복 및 체육복

공동구매가 아닌 아이비클럽엘리트에서 개인 구매 후 교육청의 비용 지원을 받는다.
동복: 어두운 남색 계열
하복: 상의: 하얀색, 가슴팍에 학교 로고 위치
동복과 하복의 하의는 두께만 다르다.
하의는 삼선, 상의는 삼선+ 허리를 둘러싸는 띠 모양이다.
체육복은 학교에서 공동구매 한다.

5.6. 위치

근처에 상업적 여가시설이 있는 기장군 관내 고교들과 달리, 즐길거리가 1도 없다. 학교가 위치한 좌천리에는 동부산할인마트[11], 더벤티[12] 등 식음료 가게 밖에 없는데, 우스갯소리로 학교 앞 큰길인 좌천로 일대 가게들 매출의 반 이상은 장제고, 장안중 학생들일 것이다.
그래서 시험 후, 방학식 등 학교가 일찍 끝나면 가까운 정관, 일광, 그리고 동해선 좌천역을 통해 시내로 나가서 이 일대가 싹 비워진다.

6. 학교시설

파일:장제고시설.png
학교의 건물은 크게 본관(A동)과 도현관[13], 기숙사(일원숙), 특별실(B동)이 있는 건물로 나뉜다. 보통 A/층수/0/호수로 부른다. 예를 들어 A동 4층 3호에 위치한 강의실은 A403이라고 부른다.

6.1. 본관

파일:장제고본관.jpg

2024학년도에 접어들면서 대대적인 본관동 공사가 진행되었고, 1학기에는 낙후된 화장실의 리모델링 공사를 하여 학생들의 호응을 받았고, 2학기에는 특별실동을 연결하는 구름다리가 설치되었다.
1층부터 3층까지는 건물 이동없이 장안중학교로 갈 수 있다.
보건실장안중학교 건물에서 사용한다.[14]
3학년 1반과 2, 3학년 교무실은 중앙계단 2층에서 올라와서 우측으로 계단 3개를 내려가면 위치해있다.
1반 앞 제외하고 복도에 USB포트와 220V 콘센트가 각각 2구씩 여러 개 설치되어있다.
3학년 교실이 있는 복도는 자습을 위해 테이블과 의자가 설치되어있다.
2024년 2학기에 본관 2층과 특별실동 1층과 2층 사이를 연결하는 구름다리가 설치되어 학생들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담임 이외의 선생님들은 거의 이 곳에 계신다. 교무기획부, 교육과정부, 교육정보부 선생님들이 계신다.
평가실은 보안시스템이 철저하다.
방송실의 시설은 교무실과 연결되어서있고, 정말 좁지만 일개 학교들과 비슷하다.
원어민실은 장안중학교로 통하는 문 바로 옆에 있다.
A301 강의실은 2, 3학년의 선택과목 수업, 교직원 회의 등으로 사용된다.
2층에 3학년 1반이 계단 3개 내려가면 있고, 특별실동에 1학년 1반이 한 층 밑에 있는것 처럼 나머지 2학년반은 5층에 있다.
복도에 USB포트와 220V 콘센트가 각각 2구씩 여러 개 설치되어있다.
보통 A402는 2학년, A403은 3학년의 선택과목 수업이 진행되는 강의실이다.
4층부터는 장안중학교로 이어지는 문이 없다.
2학년 1반 외 나머지 반이 위치해 있다.
복도에 USB포트와 220V 콘센트가 각각 2구씩 여러 개 설치되어있다.

6.2. 구름다리

파일:장제고구름다리.jpg
2024년 2학기에 본관과 특별실동을 연결하는 구름다리가 2층 복층구조로 설치되어 학생들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6.3. 특별실동

파일:장제고특별실동.jpg
건물이 학교 제일 끝에 위치해있다. 그래서 보통 학생들은 1층에서 이동할때는 고등학교 중앙이 아닌 더 빨리 이동 할 수 있는 중학교 중앙현관으로 다닌다.

원래는 3학년이 자습을 할 때 이건물을 썼는데 2023학년도부터 1학년이 그냥 이 건물 자체를 독채로 쓴다. 그리고 이 건물은 엘리베이터가 없어 다리가 아픈학생은 아프더라도 무조건 걸어가야한다. 그리고 다른 학년과 달리 복도에 USB포트와 220V 콘센트가 없다. 대신 앞번호 학생들의 사물함이 있다.
하지만 3개 학년 중 유일하게 전자칠판이 있다.
특별실동 입구에서 반 층을 올라가야해서 실질적으론 입구는 지하0.5층이다. 입구에는 휴지, 청소도구가 보관된 창고, 학교연혁이 기록된 홍보물, 1학년 기숙사생 짐 보관공간이 있다.[15] 독서실 구조로 이뤄져있고, 책은 오른쪽 깊숙이 들어가야한다.[16]
이 곳에서 1, 2학년 야간자율학습이 실시된다.
정수기가 없다.
화장실은 남/여 둘다 있다.
2024년 2학기에 본관 2층과 특별실동 1층과 2층 사이를 연결하는 구름다리가 설치되어 학생들의 이동이 편리해졌다.
1층 도서관에서 목이 마른 학생들이 이 층에서 목을 축인다. 과학실이 이 건물에 있어서 2, 3학년이 과학 관련 수업을 들으러 온다.
화장실은 남자화장실밖에 없다.
1학년이 특별실동으로 와서 반 간판이 없다.
1학년 1반은 B301 강의실이다. 교실 입구에 붙어있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다.
클라우드실은 컴퓨터실이라 생각하면 된다.
화장실은 여자화장실밖에 없다.
다른반과 다르게 3반은 전자칠판이 다르다.
화장실은 남/여 둘다 있다.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피 할 수 있는 완강기가 있다.

6.4. 도현관

파일:장제고도현관.jpg
학교에서 가장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다.[17]
초기에는 기숙사로 운영이 되었고, 현재는 교실과 강당, 식당으로 바뀐 상태다
아래에 후술할 운동장과 작은 농구장을 보유하고 있지만 체육 수업의 9할은 실내 체육실무용실에서 진행된다. 이곳에서 체육 수업이 될까 싶을 정도로 작다. 각종 매트 운동 및 줄넘기, 포크댄스[18]를 주로 수행평가를 진행한다.
2019년 2학기 기말고사를 기점으로 기숙사 옆에 있던 매점을 휴게실 옆 빈공간으로 이동하였다. 매점은 보통 학교보다 작은편이며 카드결제 불가, 계좌이체는 가능하지만, 이체해야하는 계좌가 종종 바뀐다. 원형테이블이 위치해있어 정말 가끔씩 음식을 먹고 가는 학생도 있다. 하지만 언제부턴가 의자를 다 치워버렸다.
장안중학교와 공동으로 사용하며, 수용 인원의 한계로 장안제일고는 장안중학교보다 약 20분 일찍 배식을 시작한다. 3학년 학생들은 5분 일찍 배식을 시작할 수 있고, 학교의 선도부 격인 자율정화위원이 급식실 입구에서 배식을 지도한다. 기숙사 학교인 만큼 아침, 점심, 저녁을 모두 제공한다.
온라인공동교육과정 수강교실과 공강학습실은 고급 의자와 책상으로 구조가 같다.[19] 온라인 수강실은 회의테이블에 큰 컴퓨터가 각 테이블(5개)에 설치되어 있고 교탁에는 온라인 회의가 가능한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다.[20] 온라인 스튜디오와[21] 진로 선생님이 업무를 보시는 진로진학실이 계단 꺾자마자 위치해 있다.
2023년 겨울방학 중 공사를 통해 미술실과 방음부스가 설치된 음악실이 생겼다.
5층에 있는 강당의 계단식 구조로 인해 전층 중 유일하게 화장실이 없다. 교내 창체 동아리 중 공연 동아리가 사용한다.
전교생이 모이는 교내 거의 모든 행사는 도현관 강당에서 진행된다. 개학식, 방학식, 각종 교육 그리고 축제인 장자골이야기의공연까지 강당에서 진행된다. 심지어 음악 수업도 한번씩 강당에서 진행이 된다. 교내 방송 동아리 JBS의 3평 남짓한 엔지니어실방송실이 존재하며 이곳은 놀랍게도 냉/난방 시설이 없다.[22] 방송장비는 학교 차원에서 소홀한 관리, 연식이 오래된 기계로 인해 원활한 작동이 거의 불가했지만, 최근 몇년사이 기계 교체 및 AS, 영상편집, 음원방송용 컴퓨터 설치로 보통의 학교 급까지는 아니더라도 원활한 방송은 문제없게 되었다.
2020년 겨울방학 중 기존의 스피커가 변경되었다. 추가로 무대 양쪽 벽으로 소형 스피커가 설치되었다.

6.5. 운동장

파일:장제중운동장.jpg
장안중학교랑 공동으로 사용하며, 작은 모래 운동장에 트랙 2개, 작은 농구장도 있다.
달리기, 농구 수행평가는 무조건 여기서 친다.
2024년 겨울방학 중 모래를 교체했다.

6.6. 기숙사 (일원숙)

파일:장제일원숙.jpg
파일:장제기숙사.jpg

7. 학교 행사

7.1. 진로체험의 날

7.2. 장자골이야기(학교 축제)

7.3. 체육한마당(체육대회)

7.4. 수업량 유연화

7.5. 학교스포츠클럽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학교 앞 교통이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방향을 잘 보고 이용해야 한다.

8.1. 시내/마을버스

부산 버스 37 -> 고원3차아파트
부산 버스 182 -> 청강리공영차고지
부산 버스 187 -> 반송
부산 버스 188 -> 안평역
부산 버스 302[23]-> 웅상공영차고지
부산 버스 1008 -> 기장군국민체육센터 행
부산 버스 기장3 -> 서생면, 기장
부산 버스 기장8 -> 기장
부산 버스 기장8-1 기장, 판곡[24]
부산 버스 기장9 -> 기장
부산 버스 기장10 -> 학교앞을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는다.
부산 버스 기장57 -> 동해선좌천역 행||
정관읍, 동래역, 노포동, 장안사, 내덕, 대룡마을 방향
부산 버스 37 -> 금정공영차고지
부산 버스 182 -> 정관
부산 버스 187 -> 대룡마을 행
부산 버스 188 -> 정관
부산 버스 302[25]-> 좌천
부산 버스 1008 -> 동래역
부산 버스 기장3 -> 서생면, 기장
부산 버스 기장8 -> 정관
부산 버스 기장8-1 내덕, 판곡[26]
부산 버스 기장9 -> 상장안
부산 버스 기장10 -> 학교앞을 지나가지만 정차하지 않는다.
부산 버스 기장57 -> 월평[27] , 병산[28] 행||

8.2. 시외버스

학교 앞 동부산할인마트에서 하루 4번[29] 운행하는 서울 가는 시외버스를 탈 수 있다.
우등
성인 37,700원
중고생 30,200원[30]
아동 18,900원

8.3. 도시철도

8.4. 셔틀버스


[1] 학생회 운영[2] 때문에 강당, 운동장, 급식실등의 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한다.[3] 셔틀버스는 대부분 7시 38~45분 정도에 학교 앞 시내버스 정류장에 내려준다. 하지만 60m 정도의 언덕은 걸어올라 가야한다.[4] 화/목 영어듣기 실시[5] 생기부 상 등교 마감 시간, 하지만 벌점은 07:50분 이후 부과.[6] 장안중학교 배식이 12시 35분 부터 시작한다.[7] 16:30분 1차 셔틀버스(정관 1호/기장-일광신도시) 출발[8] 특강 선택 수강[9] 18:20분 2차 셔틀버스(전노선) 출발[10] 통학생은 3차시가 마지막이다.[11] 도보 4분, 최대로 수혜를 받는 가게[12] 도보 7분[13] 도현관은 이전 이사장의 호라고 한다.[14] 서쪽 장안중학교 방향이 고등학교 보건실, 동쪽 장안제일고등학교 방향이 중학교 보건실이다. 고등학교 보건실이 운영하지 않을때는 중학교 보건실에서 치료받으면 된다.[15] 말이 보관공간이지, 그냥 계단 옆 공간에 두는거라 질서 있는 짐 보관은 없다고 보아야 한다.[16] 하지만 도서관에 사서도 없을 뿐더러 이곳에 들어가서 책을 꺼내 읽는 학생도 없다. 오히려 학교에서는 YES24 전자도서관 계정을 만들어주었고 전자도서관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17] 부산광역시교육청, 기장군, 학교법인 흥진학숙의 지원으로 완공되었다.[18] 이전에는 학교 축제인 장자골 이야기에서 운동장 가운데 캠프파이어를 설치하고, 그것을 학생들이 둘러싼 대형으로 포크댄스를 추는 것으로 축제를 마무리한다고 전해진다. 이를 연습하기 위함인지 포크댄스를 체육 수행평가에 포함시켰지만 현재는 장자골 이야기도 2일차 오전에 끝나기 때문에 그와 관련없이 1학년 2학기때 무조건 수행평가로 실시하고 있다. 무곡은 이름을 모르는 곡 일명 '무제', 김건모 - 빗속의 여인, 시인과 나.[19] 보통 이곳에서는 동아리와 수행평가 연습을 하고, 자습실로 쓰이는 경우가 적게 있다.[20] 보통 이곳에서는 진로와 직업 수업을 한다.[21] 진공 스튜디오로 교내방송 송출이 가능하고 스튜디오 박스 밖에는 크로마키도 설치되어 있다.[22] 선풍기 하나뿐이다.[23] 정관 방향으로 가려면 여기서 탑승해야 한다. 원자력의학원(좌천) 출발 2분 후에 도착한다.파일:부산302시간표.jpg[24] 판곡은 하루 4번 운행하며 정류장까지 오지 않고 그 앞 교차로에서 우회전 하여 학교 정문 앞을 지나간다.[25] 정관 방향으로 가려면 맞은편에서 탑승해야 한다. 이 정류장에서는 기사님이 탑승을 거절하는 경우도 있다.[26] 판곡은 하루 4번 운행하며 정류장까지 오지 않고 그 앞 교차로에서 좌회전 하여 학교 정문 앞을 지나간다.[27] 좌천역이 기점이기 때문에 실시간 위치를 바로는 안 보인다. 아래 시간표 기준 2분 뒤에 도착한다.파일:기장57번시간표.jpg[28] 병산은 하루 3번 운행하며 실시간 노선을 볼 수 없다.[29] 10:00/14:20/15:30/18:00[30] 학생증이나 청소년증을 지참해야 할인받을 수 있다.[31] 지역별 1호, 2호 통합하교[32] 지역별 1호, 2호 통합하교는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