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3:34:43

일어날 기에서 넘어옴
일어날 기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お-きる, お-こる, お-こす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특징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

1. 개요

起는 '일어날 기'라는 한자로, '일어나다', '일으키다'를 뜻한다.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일어나다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hei2
객가어
민동어
민남어 khí
오어 qi (T2)
일본어 음독
훈독 お-きる, お-こる, お-こす
베트남어 khỉ, khởi

유니코드에는 U+8D7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土人口山(GORU) 혹은 土人尸山(GOSU)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달릴 주)와 소리를 나타내는 (몸 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성부가 (여섯째 지지 사)인 형태도 존재한다.

본래 이 글자는 성부가 己(몸 기)가 아니라 (여섯째 지지 사)였다. 성부가 己(몸 기)인 글자는 한(漢)나라 때부터 나타난다.

현재 대만과 홍콩에서는 走+ 형태의 자형을, 한국·일본·중국대륙에서는 走+(몸 기) 형태의 자형을 표준으로 삼고 있다.

천간법, 지지법 항렬을 쓰는 집안에서는 己나 巳에 해당하는 항렬자로 쓰이기도 한다.

중화권 전반에서 위 글자는 꽌시 차원에서 곧게 서 있는 마음(체면)의 철학적인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타인과 터부없이 나아가자는 뜻으로 一起(같이, 함께)를, 큰 잘못으로 수치스러워 차마 똑바로 상대를 바라볼 수 없다면서 对不起(미안해)라는 표현이 가능한 것.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