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2:26:31

인휴먼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colbgcolor=#ec1d23,#ec1d23><colcolor=#fff>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종족 및 집단
인휴먼스
Inhumans
파일:external/pbs.twimg.com/C-_cXPpXsAA3Dcr.jpg
명칭 인휴먼스
Inhumans
모성 지구
(이전)
등장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등장 드라마 에이전트 오브 쉴드
인휴먼즈
등장 웹 에이전트 오브 쉴드: 슬링샷

1. 개요2. 특징3. 주요 인물4. 행적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인휴먼스.

2. 특징

판권 때문에 뮤턴트가 등장할 수 없어서 사실상 인휴먼이 뮤턴트를 대체하고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인휴먼들의 취급이 뮤턴트만큼이나 좋지 않다. 인휴먼 혐오 단체가 활동하며 정치인이 그들과 비공식적으로 협력할 정도.

원작대로 크리의 생체병기로 수 천년 전 일부 급진파 크리 종족에 의해 여러 행성에서 실험되고 있었으나 지구에서만 성공을 거두었다고 한다. 이 실험은 크리 입장에서도 흑역사인 듯하지만 크리인 빈 탁은 '만약 크리 제국이 지구에서의 성공을 알면 다시 찾아올 것'이라는 식으로 말했다.

원작처럼 테리젠 수정(Terrigen Crystal)에서 흘러나오는 테리젠 안개(Terrigen Mist)에 노출되어 각성하며, 각성 전까지는 보통 사람들과 동일하다. 각성 과정은 온 몸이 돌로 감싸진 후 돌이 천천히 깨지며 각성한 모습으로 변한다. 인휴먼이 아닌 사람이 테리젠 안개에 노출되면 그 즉시 석화해 사망한다. 다만 정확히 말해서 이는 디바이너의 성분이 분리되지 않은 탓이었고 안개 자체는 인체에 무해한 듯하다.[1]

인휴먼 혈통은 원래 자잉을 중심으로 '내세(Afterlife)'라 불리는 곳에 모여서 서로를 돕고 살았으며, 선택받은 소수의 인원만이 각성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각성 후엔 자잉이 혼란스러워하는 이들을 지도했지만 자잉이 사망하면서 뿔뿔이 흩어졌다. 에이전트 오브 쉴드 시즌 2 마지막에 바다에 테리젠 수정이 유출되면서 일반 사회에서 인휴먼으로 각성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즌 3에서 나오는 인휴먼들은 거의 다 이때 각성한 것이다.

원작과 달리 외계 기원 종족 정도가 아니라 쉴드도 인휴먼즈 스스로도 외계인 혼혈로 여기는데, 아마 크리인 유전자도 더러 섞여있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인휴먼을 만들려면 크리인 혈액이 필요한듯 보인다. 일단 유전자상으론 크리와 인간의 혼혈이 맞다.

3. 주요 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블랙아가르 볼타곤 / 블랙 볼트 - 달의 인휴먼들의 왕. 능력은 음파 공격.

4. 행적

4.1. 에이전트 오브 쉴드

극이 중심으로 다루고 있던 떡밥이 결국 크리와 인휴먼즈로 밝혀졌고 시즌 2에서 등장인물인 스카이(데이지 존슨)레이나가 인휴먼즈로 각성했다.

20화에서 스카이의 어머니가 로버트 곤잘레스를 죽이고 쉴드에게 전쟁을 선포했지만 다음 에피소드에서 우여곡절 끝에 제압당했다. 이후 모든 것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콜슨이 스카이(데이지 존스)에게 새로운 팀을 제안하는 것으로 볼 때 영화 인휴먼스는 종족으로서의 인휴먼스가 아니라 쉴드의 비밀팀으로서의 인휴먼스를 다루지 않을까..

이 와중에 테라진 수정 무더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이에 영향을 받은 물고기가 통조림이나 물고기기름 등으로 마트에서 팔리는 의미심장한 장면이 나왔다. MCU에서 인휴먼스들이 곳곳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우려와 달리 물에 희석된 테라진 안개 자체는 보통 인류 자체엔 해를 안 주기 때문에 일반인에겐 피해는 없다는듯. 자이잉이 사용한 수정은 내세에서 자체적으로 오리지널 수정을 복제하는 과정에서 디바이너를 완전히 제거해 내지 못했기 때문에 사망하는 것이다.

결국 시즌 3에서 지구 곳곳에서 인휴먼들이 나타났다고 밝혀졌다. 해류를 조사한 결과 테리젠 안개가 거의 전 세계의 바다에 퍼져 있다고. 증가하는 인휴먼 관련 사건에 소코비아 사태까지 겹쳐 매슈 엘리스 대통령이 외계위협에 성명을 발표하고 특수 위협 대응 부대 ATCU가 발촉하는 계기가 되는 등 쉴드도 꽤나 애를 먹는 듯하다. 인휴먼들을 사냥하는 인휴먼 래쉬까지 등장해 파장이 꽤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시즌 3 2화 중 외계 유물(포탈)에 빨려들어간 제마 시먼스를 구하는 미션에서, 베르세르크의 지팡이 사건 때 격리되어있었던 아스가르드인 엘리엇 랜돌프 교수가 도움을 주었는데, 미션 성공 후 필 콜슨에게 데이지의 정체를 묻자 인휴먼스라고 답했다. 그러자 교수가 오랫동안 들어보지 못했다면서 놀라는 것을 보면 뭔가의 복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8]

시즌 3 8화에서 히드라와 인휴먼들 간에 깊은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먼 옛날 크리인들에 의해 인휴먼들이 탄생했을 때 그들의 강력함에 의해 공포를 느낀 다른 인간들은 인휴먼들을 모노리스를 통해 다른 세계로 보냈다. 히드라는 보내진 인휴먼들, 그 중에서도 그들의 세계를 통치할 강력한 인휴먼 한 명을 데려오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었다. 이를 위해 그들은 모노리스를 갖고 수천년 간 되돌릴 방법을 찾기 위해 실험을 했지만 한번도 성공한 적이 없었다. 그리고 히드라는 일종의 제물을 바치는 피의 의식(사람을 모노리스를 통해 다른 세계로 보내는 일)을 치렀는데 이 과정에서 나사와도 깊은 연관을 맺게 된다. 지금의 수장인 기디언 맬릭은 제마 시먼스가 포탈을 통해 돌아온 사실을 알고 있었고 그랜트 워드의 복수를 돕는 대가로 그 방법을 알아내는 것을 거래로 삼는다.

4.2. 인휴먼즈

달에 아틀란을 건설하고 블랙 볼트를 왕으로 하는 인휴먼즈 사회가 등장한다. 하지만 마지막화에서 막시무스에 의해 아틀란이 붕괴되고 블랙 볼트와 아틀란의 인휴먼들은 지구로 이동하여 뉴 아틀란을 건설한다.

4.3.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지구-838블랙 볼트가 등장한다.

5. 기타

6. 관련 문서



[1] 그래서 시즌 4부터는 디바이너의 성분을 분리시킨 인체에 무해한 테리젠 안개가 개발되었다.[2] 자잉에 의해 사망.[3] 리오 피츠에 의해 사망.[4] 금속제 작은 캐비닛을 녹여 구체로 만든다.[5] 무려 (하이브와 더불어 몇 안되는) 하이드라 소속의 인휴먼이다.[6] 능력은 다르지만 능력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선글라스를 끼고 다니는 엑스맨의 사이클롭스가 떠오르는 부분.[7] 나중에 하는 말을 보면 본인도 인휴먼이라던지 외계의 기술이라던지에 거부감이 있는 듯 하다.[8] 작중 아스가르드인들은커녕 크리인 본인들도 최근까지 실험 성공에 대해 몰랐다. 게다가 종족명도 인휴먼들이 스스로를 칭한 이름. 즉 교수는 지구권에 살면서 다른 인휴먼들과 과거에 접촉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9] 당장 2022년에 개봉하는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프로페서 X의 출연이 확정되었다.[10] 다만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에서 블랙 볼트가 등장한 것으로 보아 아예 손을 놓은 것은 아닌 모양이다. 그리고 더 마블스에서 잠시동안 등장한 S.A.B.E.R.의 카말라 칸의 프로필에서 카말라 칸의 혈통이 인휴먼스라고 나오는 장면이 표착되었지만 해당 장면의 설정이 진실인지는 논란이 있다. 정확한 설명은 카말라 칸의 기타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