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삼각선 益山三角線 | Iksan Triangular Junction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번호 | 30805 |
노선명 | 장항선 익산삼각선 (長項線 益山三角線) |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영업거리 | 3.4㎞ |
궤간 | 1,435㎜ |
역 수 | 2 |
기점 | 목천신호소 |
종점 | 동익산역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신호장비 | ERTMS Lv.1 |
선로최고속도 | 150km/h |
선로 수 | 2 |
개업일 | 2020년 12월 |
운영노선 | 화물열차 |
1. 개요
익산삼각선은 장항선과 전라선을 잇는 삼각선이다. 정식 노선명을 보면 알 수 있듯 장항선의 지선으로 취급된다. 총 2개소의 역 및 신호소가 위치하고 있다.2. 상세
이 노선이 생기기 전까지 기관차 견인 방식의 화물열차가 전라선에서 군산선→장항선으로 넘어가려면 익산역에서 방향을 반대로 돌려야 했기 때문에 운행상 불편함이 존재했다.원래 두 노선을 넘나드는 화물 수요는 거의 없는 수준이었어서 이 문제는 주목을 덜 받았으나, 군산항선 개통 및 군장산단 개발로 전라선 쪽에서 장항선-군산항선을 경유해 군산항으로 가는 화물 수요가 다수 예측되면서 직결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계획된 노선이 바로 이 익산삼각선이다.
장항선 쪽에는 본선과 삼각선의 분기점에 목천신호소가 신설되었으며, 전라선의 경우 동익산역이 분기점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양방향 모두 삼각선 진입 시와 장항선/전라선 합류 시 각각 평면교차를 수행해야 한다.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익산삼각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2023년 익산삼각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 |||||||||
운행구간 | 선로용량 | 일반여객 | 전동차 | 컨테이너 | 일반화물 | 운행총계 | |||
목천신호소 - 동익산 | 174 | 0 | 0 | 5 | 3 | 8 |
현재까지는 화물열차만 익산삼각선을 따라 정기운행하고 있고, 여객열차는 운행하지 않고 있다. 주된 이유는 삼각선을 경유하면 전북 지역 철도교통 최대 수요처인 익산역을 경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1]
3. 역 목록
<rowcolor=#fff> 일러두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여객, 화물 취급 | |||
K | KTX 필수정차 | k | KTX 선택정차 | |
R | SRT 필수정차 | r | SRT 선택정차 | |
iC | ITX-청춘 필수정차 | ic | ITX-청춘 선택정차 | |
iM | ITX-마음 필수정차 | im | ITX-마음 선택정차 |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필수정차 | is | ITX-새마을/진입 시 새마을호 선택정차 |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필수정차 | s | ITX-새마을 진입불가구간 새마을호 선택정차 | |
M | 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 | m | 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 |
X | 동해산타열차 정차 | V | 백두대간협곡열차 정차 | |
N | 남도해양열차 정차 | G | 서해금빛열차 정차 | |
A | 정선아리랑열차 정차 | |||
T | 광역철도 급행 정차 | t | 광역철도 정차 | |
H | 화물취급 | ─ | 여객/화물 미취급 | |
<rowcolor=#fff> 역 등급 | ||||
⊙ | 관리역 | |||
○ | 보통역 | ◐ | 운전간이역 | |
● | 배치간이역 | ◑ | 무배치간이역 | |
◎ | 임시승강장 | ◇ | 을종위탁발매소 | |
‡ | 신호장 | † | 신호소 | }}}}}}}}} |
- 2020년 11월 24일 기준[2]
<rowcolor=#fff>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 목 천 | 木 川 | ─ | ─ | † | 장항선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
3.4 | 동익산 | 東益山 | ─ | H | § | 전라선 |
[1] 만약 동익산역이 현재의 위치가 아닌 종전의 위치에 남았다면 장항선-전라선 여객열차 직결 노선 신설이 훨씬 수월했을 것이다. 사실 기존 동익산역에서 약 300여 미터 떨어진 동익산 사거리는 동산동발 함열, 황등, 금마 방면 및 원대발 삼례 방면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및 서울, 대전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경유하는 익산 동남부의 교통 요지다.
만약 익산역 복합환승센터가 개설되고 익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이 이곳으로 이전된다면 평화동 현 익산터미널 자리에 용산-장항선, 전라선 경유 여객열차 전용 승강장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2]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34호
만약 익산역 복합환승센터가 개설되고 익산시외고속버스터미널이 이곳으로 이전된다면 평화동 현 익산터미널 자리에 용산-장항선, 전라선 경유 여객열차 전용 승강장을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2]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3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