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3:36:43

이조(삼국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후한 말의 도적}}}에 대한 내용은 [[이조(후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조(후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이조(후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후한 말의 도적: }}}[[이조(후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조(후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이조(후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이씨삼룡
,李氏三龍,
이조 이소 이□


<colcolor=#fecd21>
李朝
이조
최종직위 <colbgcolor=#fff,#000>별가종사(別駕從事)
본관 (李)
(朝)
위남(偉南)
생몰연도 ?년 ~ 222년
고향 익주(益州) 광한군(廣漢郡) 처현(郪縣)[1]
사망지 익주(益州) 파동군(巴東郡) 영안현(永安縣)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역임한 관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 .93em;"
촉한
,(유비),
군의 공조(郡 功曹)→ 효렴(孝廉)→ 임공현령(臨邛縣令)
→ 별가종사(別駕從事)
}}}}}}}}}

1. 개요2. 생애3. 창작물에서

1. 개요

삼국시대 촉한의 인물로 는 위남(偉南). 이소의 형, 이막과도 형제이지만 어느 쪽이 서열이 높은지 알 수 없다. 이단의 아버지, 이의의 조부. 익주 광한군 처현 사람.

2. 생애

재능과 명성이 있어 일찍 죽은 다른 형제, 이소와 함께 이씨삼룡 중의 한 사람으로 불리었다.[2][3] 군의 공조가 되었다가 효렴으로 천거되었다. 임공현의 령이 되었다가 중앙으로 들어가 별가종사가 되었으며, 219년한중 공방전에서 유비가 조조를 격파하면서 천하삼분지계를 달성했다. 조조가 위왕이라 칭한 것에 맞서서 유비가 한중왕을 칭하자 여러 신하들은 유비가 한중왕(漢中王)이 되어야 한다고 한중왕표를 올렸다. 이 때, 그 표문의 작성은 이조에 의한 것이다. 이를 볼 때 글재주가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유비가 이릉대전을 일으켜 동쪽의 오나라를 공격할 때 수행했는데, 222년에 영안에서 세상을 떠났고 이를 미루어볼 때 이릉대전으로 인한 영향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양희는 그에 대해 항상 후덕하다고 평가했다.

224년제갈량두미를 등용하기 위해 그에게 보낸 글에서도 언급이 된다. 이 편지에서 이조는 왕모, 비관, 왕련, 양홍, 정군간, 이소, 문공과 함께 두미의 고결한 뜻을 찬탄했다고 한다.

3. 창작물에서

파일:이조.jpg
삼국지 14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37, 지력 57, 정치 69, 매력 75이며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있다. 개성은 명성과 문화,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정란, 전법 역시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생년은 18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1] 처현은 이조 사후 224년에 동광한군으로 분리된다.[2] 이막의 경우 성질이 더러워서 아예 같은 형제임에도 이 분류에서 제외되었다.[3] 이막은 이조 사후 제갈량을 1차 북벌 실패 때 항명으로 실책을 범한 마속을 처형하려고 하자 오랑캐에 빗대 제갈량이 용서의 개념을 모른다고 돌려 비방하였으며 인재가 없어 마속을 변호한 장완과 다르게 군기를 어지렵히는 행위라 제갈량에 의해 지방으로 쫓겨난다.(참고로 유비가 익주 평정 이후 유비가 유장을 쓰러트려 익주를 취한 것을 비방했는데 유비 휘하의 관리가 이막을 죽이려고 하자 제갈량이 간청해서 살았다. 사실상 목숨을 구해준 은인을 비방한 것.) 이에 이막은 제갈량에 대해 원망하는 마음을 품고 있었는데 제갈량이 사망하고 슬퍼하는 황제 유선에게 "황제께선 제갈량이 살아있을때 눈치나 보고 사셨는데 제갈량이 죽었으니 기뻐하시죠"라는 표문을 올렸다가 진노한 유선에게 처형당한다. 이막은 고결함으로 알려진 이조,이소 형제의 명성에 먹칠을 한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