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7-14 22:49:42

이계윤/여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계윤
한국 성우의 여담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00"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극회 성우
KBS 성우극회 강수진, 남도형
MBC 성우극회 김영선, 류승곤, 정재헌
EBS 성우극회 엄상현
CJ E&M 성우극회 김가령, 김현지, 신용우, 이호산
대원방송 성우극회 김혜성, 서유리, 심규혁
}}}}}}}}}}}} ||

1. 개인사 관련2. 활동 관련3. 기타

1. 개인사 관련


* 동기들에 비해 언급은 덜 되지만 이분 역시 나이에 비해 상당한 동안이다. 미혼으로 보일수도 있지만 결혼기혼자로 남편이 있다.

2. 활동 관련

3. 기타

당시 맡았던 앤과 죠안이라는 캐릭터는 저의 성우 생활을 돌아보게 만드는 그런 캐릭터들인 것 같아요. 뭐랄까, 과거와 현재를 공유하는 작품이라고 할까. 이번에도 녹음을 하면서 옛날 생각이 참 많이 나더라고요.


저에게 있어서 게임 더빙은 단순한 녹음 작업이 아니라 추억이 담겨 있는 공간이기도 해요.

[1] 2014년부터는 김승준이 칼럼을 연재한다.[2] 비슷한 예로 모두 만화가 지망생이었던 쿠와타니 나츠코치하라 미노리, 이노우에 마리나, 소연이 있다.[3] "조금만 더!", "현명치 못해." 등.[4] '마그나카르타: 눈사태의 망령'에선 1인 3역을 맡더니 '주사위의 잔영 for Kakao'에선 무려 1인 4역을 소화했다.[5] 물론 엘리사의 목소리 역시 해외 유저들에게 '너무 할머니 같다'고 까이곤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