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유물수집상
다키스트 던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마을 | 마을 · 마을 이벤트 · 마을 구획 |
던전 | 캠핑 · 골동품 · 던전(폐허 · 사육장 · 삼림지대 · 해안 만 · 안뜰 · 농장 · 가장 어두운 던전) | |
영웅 | 영웅(대사) · 기벽 · 조합 · 조합명칭 · 도살자의 서커스 버전 | |
상태 | 상태 · 질병 · 붕괴 | |
아이템 | 아이템 · 장신구 | |
기타 | 나레이션 · 도전 과제 · 일지 · 팁 · 도살자의 서커스 | |
모드 | 모드(캐릭터 · Marvin Seo · Moonlit Dungeon · 태양을 향한 섬들 · Black Reliquary · Vermintide)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Antiquarian |
1. 개요
본 문서는 유물수집상의 도살자의 서커스 버전 성능을 적었다.서커스에서는 모든 스킬이 5레벨 고정이므로 5레벨 기준으로 설명한다.
2. 능력치
기본 능력치 | ||||||||
체력 | 회피 | 방어력 | 명중률 보정 | 치명타 확률 | 공격력 | |||
29 | 15 | 0% | 0 | 5% | 6 - 11 |
원본이 그랬듯 회피율은 준수하지만 체력은 영웅 중 최하위권이다. 대미지도 낮은 편. 치명타 시 버프는 회피 +10.
저항력 | ||||||||
기절 | 이동 | 중독 | 출혈 | 약화 | 죽음의 일격 | |||
10% | 20% | 45% | 10% | 45% | 75% |
저항력도 낮은 편인데, 중독과 약화 저항이 그나마 나은 편이다.
이동 가능 범위는 앞 2칸, 뒤 2칸이다.
3. 스킬
스킬 목록 | |||||||
서툰 칼질 (Nervous Stab)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피해량 보정 | 치명타 보정 | 특이사항 |
5 | ● ● ● ● | ● ● ● ○ | 근접 | 90 | - | +7% | - |
유물수집상의 근접 공격 스킬. 모든 열에서 사용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나 똑같이 전열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장점이 더 많은 부패의 연막이 있기 때문에 사용율은 낮다. 가끔 악귀의 발톱을 채용해서 예능용으로 쓰이는 정도.
부패의 연막 (Festering Vapours)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피해량 보정 | 치명타 보정 | 특이사항 |
5 | ● ● ● ● | ●-●-●-● | 원거리 | 90 | -80% | 4% | 중독 (기본 100%) 피해 2 x 3 라운드 스트레스 공격 +8 |
서커스로 오면서 전체 광역기로 변경되었다. 유물수집상의 주력기이자 스트레스 뎀딜기. 중독뎀으로 짭짤하게 딜을 넣을 수 있고 종결자를 장착해서 광역으로 죽음의 일격을 거는 용도로도 쓰인다.
숨기 (Take cover)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피해량 보정 | 치명타 보정 | 특이사항 |
5 | ● ● ● ● | 자신 | 버프 | - | - | - | 전투당 3회 사용 가능 자신: 은신 (2차례) 강화: 죽음의 일격 저항 +20% (3차례) |
본편에서는 엎드려!라는 이름이 였으며 본편과는 특성이 완전히 뒤바뀐 스킬이다. 2보 후퇴기이자 죽음의 일격 저항기이다. 주로 유물수집상이 끌어오기에 끌려가버렸거나 죽음의 일격을 버티기 위해 쓰인다.
섬광분말 (Flashpowder)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피해량 보정 | 치명타 보정 | 특이사항 |
5 | ● ● ● ● | ● ● ● ● | 원거리 | 90 | -100% | 치명타 없음 | 대상 약화 (기본 100%): 명중 -15 은신 해제 / 무시 스트레스 공격 +20 |
역병 의사의 실명 기체 열화판. 그래도 은신을 무시하기 때문에 은신을 벗겨내는 용도로도 좋고 스트레스 피해도 높은 편이다.
활력의 연막 (Rejuvenating Vapours) | |||||||
레벨 | 공격 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대미지 보정 | 치명타율 보정 | 특이 사항 |
5 | ● ● ○ ○ | ●-●-●-● | - | - | - | - | 원정대: 복구 3 x 3 라운드 |
본편에서는 강화의 연막(Fortifying Vapours)이라는 이름이며 유물수집상의 광역 지속 회복 스킬. 서커스의 특성 상 힐은 보통 죽음의 문턱을 해소할 경우에만 쓰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은데, 이 스킬을 깔아두면 특정 영웅이 체력이 0이 되었을 때, 바로 다음 차례에 그 영웅을 선택해 주는 것만으로도 도트힐이 되어 죽음의 문턱을 해소할 수 있다. 일정 이하의 광역 출혈/중독 스킬을 카운터 치는 데에도 탁월하다. 당장 받는 회복량은 적어보이지만 3턴간 온전히 회복을 받으면 파티 전체 체력 +9로 성녀의 광역힐 '신성한 위무'보다 거의 두배 가까이 회복량이 높다. 알게 모르게 결정적인 위험을 피할수 있게 해주는, 유물수집상이 팀의 숨은 에이스가 될 수 있게 해주는 주력 스킬.
고양의 연막 (Invigorating Vapour) | |||||||
레벨 | 공격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대미지 보정 | 치명타율 보정 | 특이 사항 |
5 | ● ● ○ ○ | ●-●-●-● | 버프 | - | - | - | 원정대 강화: 회피 +10 |
유물수집상의 회피 버프 스킬. 스트레스 샤워를 날리거나 '활력의 연막'으로 지속 힐링을 해야 하는 유물수집상의 특성상 쓸 짬이 그리 나지는 않지만, 회피율을 올린 장신구들을 채용했을 때 2턴 정도 중첩시켜주면 조련사의 '사냥개 습격' 등의 스킬을 2~3명이 회피하는 진풍경을 보여줄 수도 있다.
동료 방패 (Protect Me) | |||||||
레벨 | 시전 위치 | 대상 위치 | 스킬 타입 | 명중률 | 대미지 보정 | 치명타율 보정 | 특이 사항 |
5 | ● ● ● ● | ● ● ● ● | 버프 | - | - | - | 전투당 3회 사용 가능 대상 아군에게 보호받음 (3차례) 강화: 회피 +10, 방어 +20% (3차례) |
유물수집상의 프렌드 실드 스킬. 영지에서와 똑같이 지정 대상에게도 상당한 안정성을 준다.
4. 전용 장신구
검은 금강석 거울 (Black Diamond Mirror) | 단장 | 유물수집상 | 최대 체력 +15% 회피 +15 받는 스트레스 +10% 위신 단계 8에 해금 |
잊힌 자의 눈물 (Tears of the Lost) | 단장 | 유물수집상 | 영웅의 기상 확률 +30% 받는 스트레스 -15% 약화 저항 +20% 복구 지속 +33% 위신 단계 36에 해금 |
악귀의 발톱 (Ghoul Claw) | 단장 | 유물수집상 | 근접 기술 피해 +25% 근접 기술 치명타 +6% 명중 +10 근접 기술 적중 시: 공포 (매 차례마다 스트레스 +6, 2차례) 위신 단계 44에 해금 |
불가능한 문자 (Impossible Glyph) | 단장 | 유물수집상 | 가하는 스트레스 +20% 약화 기술 확률 +30% 명중 +6 위신 단계 65에 해금 |
해로운 물질 (Materia Pestis) | 단장 | 유물수집상 | 중독 기술 확률 +20% 중독 지속 +33% 위신 단계 69에 해금 |
5. 운용법
원래 전투 요원이 아니었던 만큼, 공격 스킬들이 모두 깡딜, 도트딜, 스트레스 어느 것이든 썩 좋은 편은 아니다. 다만 알게 모르게 작은 공헌을 쌓아 큰 그림을 그리는 전략성이 부각된다. 주로 '부패의 연막'을 통한 중독/스트레스 광역딜, '섬광 분말'을 통한 디버프/스트레스 공격을 사용한다. 이외엔 자체 공격력은 낮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위협적인 견제를 받는 일이 적어, 1~3열의 딜러들을 상대하느라 방심한 상대의 허를 찌르기 위해 공용 장신구 '종결자'를 장착해 광역으로 죽음의 일격을 먹이는 피니셔로 쓰이기도 한다.[1]서커스의 전투에 더욱 걸맞게 바뀐 광역 지속 회복 스킬 '활력의 연막'의 공헌도도 높은 편. 작정하고 수비용으로 활력만쓰면 파티체력면에서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표식파티, 특히 현상금사냥꾼 카운터로 활용되는데 정작 유물수집가를 끌고와도 본인은 숨기로 뒷열이동 + 은신하기 때문에 잡기도 까다롭다
중보병과 함께 사용하면 좋은데, 중보병의 회피 버프와 유물수집상의 회피 버프를 동시에 사용해서 회피율을 끌어올린 뒤 함께 스트레스 광역딜을 끼얹는 조합도 보편적이다.
주의해야 할 상대는 끌어오기 스킬을 보유하고 있거나, 3~4열에 제대로 된 공격을 걸 수 있는 딜러. 양쪽 모두에 해당하는 방패 파괴자와 신비학자에게는 특히 쥐약이 된다.
상대하는 입장에선 회피와 도트힐이 쌓이고 우리편이 독 도트딜에 녹아내리기 전에 빨리 공격적 행동을 취하는것이 강요된다. 첫 두세턴에 한명을 처치하지 못하면 그판은 곧 힘겨워진다.
[1] 다만 이 경우, 유물수집장의 낮은 기본 공격력과 -80%의 보정이 맞물려 즉발 딜은 거의 없다시피 한 '부패의 연막'으로는 상대가 중보병의 '포효', 혹은 성전사의 '빛의 방패' 등을 사용했을 경우 공격 데미지가 0이 되어 죽음의 일격을 먹일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같은 이치로 '두려움' 등의 데미지 감소 붕괴가 걸렸을 때도 똑같은 불이익을 당할 수 있으니 주의.